[특수교육] 일본 특수(장애인) 교육의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Thomas Kuhn의 「과학혁명의 구조」
1. 패러다임의 형성기
2. 패러다임의 우선기
3. 패러다임의 변환기

Ⅲ. 장애아 교육의 패러다임 이동
1. 패러다임 우선의 시대
2. 제3의 패러다임 이동 : 완전통합교육( Inclusion )
3. 완전통합교육이 왜 필요한가 : 일반교육의 사정

Ⅳ. 결론

본문내용

구를 지닌 아동들에게는 서비스를 하지 않는다고 하는 전체적으로 보면 변측적인 상황이고, 규제완화라는 점에서도 특수학급의 교사나 특수교육 제 학교의 교사가 순회하거나, 교사에 대해서 조언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닐까. 게다가 장기결석까지는 아니지만 수업을 이해 못하는 아동들이 많이 있는 사실이 지적되고 있다. 이 그룹 내에 장애아가 있는 것은 통계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 그룹에 대해서도 특수교육 쪽에서 지원이 필요하다. 중앙교육심의회의 답신 등에서 특수교육 제 학교 특히 맹학교나 농학교의 리소스센터화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 제 학교 자격증 취득을 전문성의 지표로 한다면, 전문성은 꼭 오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특수학급에 있어서는 전문성이나 지속성을 무시한 인사를 예측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것은 인사이동의 문제인지 혹은 교원의 의식의 문제인지 물어보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아무튼 당분간 특수교육자격증이 없어도 교사로서 활동할 수 있는 상황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통합은 장애아와 비장애아의 문제이고 통합은 장애아 뿐만 아니라 모든 아동과 사회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장애아만의 특수교육을 행하고 있던 때에 경제적 발전의 이유에서 대량의 해외이주자가 들어 왔고, 특별한 배려가 장애아에게만 행해지는 것이 허락되지 않게 되고, 일반 수업이 다양화되고, 특수교육에서의 자원이 일반교육 안에 들어와서 경계가 없어져 통합이 개시된 나라도 있다. 이러한 나라에서는 비교적 통합을 이해하는 것이 쉽다고 여겨진다. 한국과 일본과 같이 이주자가 대량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적은 나라에서는 그 이해가 어려운 것은 아닐까. 그러나 한 민족에, 하나의 언어를 말하는 한국인과 일본인에게서 각각의 독자성이나 개성이 있고 그것을 살리면서 협력연휴해 간다는 방법은 새로운 노동관으로서 경제전략 분야에서도 필요한 것일 것이다.
일본은 세계의 특수교육을 비교하면, 중도중복, 중도(重度) 더구나 중도(中度) 장애아 교육에 있어 극히 소수의 아동들이 충분한 교육적 배려를 받고 있다고 말해도 좋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교사는 반드시 일에 보람을 느끼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자격증의 취득률이나 소지율, 또는 특수학급교원의 재직 년수를 보면, 일정한 장소에서 고정된 활약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보다 다이나믹한 활동이 기대되는 직업으로서의 특수교육교원인 편이 일본인의 직업의식에서는 타당한 것이 아닐까. 일반교육 안에서 다양한 과제를 특수교육적인 방법이나 철학에 의해 해결하기 위해서도 특수교육교원에게 새로운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21세기의 일본은 인류가 경험한 적이 없는 초고령화 사회, 적은 아이들을 뒤떨어지지 않도록 확실히 교육하는 통합에 합리적인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닌가.
참고자료
일본교육의 이해 일본연구총서위원회 시사일본어사 1998년
세계 특수교육의 신동향 박화문외 박화문 외역 학지사 1999년
21세기 장애인복지론 남상만 홍익재 2004
일본은 지금 몇 시인가? 유재순 소담출판사 2001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2.20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