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 - 은희경은 누구인가
2. 소설의 특징 - 인물의 성격창조
2-1. 어긋나는 대화와 오해
(예: 특별하고도 위대한 연인,타인에게 말걸기)
2-2. 결혼의 좌절
(예: 아내의 상자, 빈처)
2-3. ‘희망’의 모습 - 부정적
(예: 아내의 상자, 열쇠)
2-4. 가족에서의 소외
(예: 빈처, 이중주)
2-5. 착한 여자와 나쁜 여자
(예: 그녀의 세번째 남자, 아내의 상자)
2-6. ‘불임’의 이미지
(예: 아내의상자)
3. 마치면서
2. 소설의 특징 - 인물의 성격창조
2-1. 어긋나는 대화와 오해
(예: 특별하고도 위대한 연인,타인에게 말걸기)
2-2. 결혼의 좌절
(예: 아내의 상자, 빈처)
2-3. ‘희망’의 모습 - 부정적
(예: 아내의 상자, 열쇠)
2-4. 가족에서의 소외
(예: 빈처, 이중주)
2-5. 착한 여자와 나쁜 여자
(예: 그녀의 세번째 남자, 아내의 상자)
2-6. ‘불임’의 이미지
(예: 아내의상자)
3. 마치면서
본문내용
. 많은 소설들에서 은희경은 공통된 반항의 방식을 보여준다. 자유분방한 사랑과 불륜, 이혼이 그것이다. 그런데 그런 방식들이 다시 자신을 고립시키고 상처 내는 방법이 된다는 것이 문제이다. 여성들은 남편이나 연인에게 자신의 불만을 말하지 않고 적극적인 관계 맺기를 시도하지 않으며, 포기도 빠르고 쉽게 절망한다. 가족이나 친구와의 연대도 없고 여자친구와의 우정도 없다. 새로운 일을 찾거나 빠지기는커녕 다니던 직장마저 그만둔다. 사회나 주변의 인간관계가 두절된 상태에서의 상처 회복과 일탈은 더 심한 고립과 소외를 자초할 뿐이다. 그러므로 여성 주인공이 당당한 홀로 서기에 성공하고 그러한 상태에서 자신이 주도적인 인간관계를 만들어 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더 많은 다양한 방식으로써의 삶의 길을 제시해 주지 못했다는 점도 아쉬운 점이다.
은희경은 여성에 대한 이데올로기, 순결 이데올로기로부터 넘어선다. 자신의 욕망을 죽이고 무성적이고 불감증인 삶을 강요하는 폭력적 순결로부터 그녀는 벗어난다. 그리고 기존의 가족 제도와 결혼을 거부한다. 소설의 결말에서 여성들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사회적 지위마저 잃으려 한다. 다시 그녀를 절망에 빠뜨리는 가부장제 사회에 맞서 그녀는 자기 나름의 견딤의 방식-냉소와 일탈, 무계획-으로 오늘을 살아가지만 결과는 냉혹하다. 이렇듯 어둡고 불확실한 결말은 여성들이 겪는 절망적 현실 상황을 표현한다고 해석할 수 있으나, 발전적인 삶의 대안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여성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기 위함이라고 하더라도 다양한 삶의 방식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은희경은 여성에 대한 이데올로기, 순결 이데올로기로부터 넘어선다. 자신의 욕망을 죽이고 무성적이고 불감증인 삶을 강요하는 폭력적 순결로부터 그녀는 벗어난다. 그리고 기존의 가족 제도와 결혼을 거부한다. 소설의 결말에서 여성들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사회적 지위마저 잃으려 한다. 다시 그녀를 절망에 빠뜨리는 가부장제 사회에 맞서 그녀는 자기 나름의 견딤의 방식-냉소와 일탈, 무계획-으로 오늘을 살아가지만 결과는 냉혹하다. 이렇듯 어둡고 불확실한 결말은 여성들이 겪는 절망적 현실 상황을 표현한다고 해석할 수 있으나, 발전적인 삶의 대안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여성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기 위함이라고 하더라도 다양한 삶의 방식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