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향찰
1.향찰이란
2.향찰표기의 기본
1)차자표기
2)훈주음종의 기본
3)국주한종의기본
3.향찰과 이두
나오며
1.향찰이란
2.향찰표기의 기본
1)차자표기
2)훈주음종의 기본
3)국주한종의기본
3.향찰과 이두
나오며
본문내용
현재 전하고 있으며 훈민정음 이전의 국어사 자료는 이 차자표기법에 의하여 정착된 것이 그 주종(主宗)을 이룬다. 이와 같이 오랜 동안 사용되어 오면서 차자표기는 여러 변천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그 사용 범위를 중심으로 이두, 향찰, 구결, 고유명사표기(어휘표기)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이들은 단순히 예전에 우리 선조들이 사용하던 잊힌 문자가 아니다. 이는 구어와 문어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되는 불편함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기 위한 우리 선조들의 노력의 결실로 볼 수 있다. 더불어 이들은 훈민정음이라는 언문일치의 큰 개혁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전초작업으로서 존재하며, 또한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인 삼국시대를 거쳐 통일신라시대 및 고려시대까지의 문자생활의 면모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