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주음종(訓主音從)의 원리(原理)
훈주음종(訓主音從)의 원리는 말 그대로 우리말을 향찰로 표기할 때는 우선 그 뜻을 가진 훈차자를 써 놓고 이어서 그 표기하려는 어형의 끝부분과 같은 음을 가진 글자를 첨가하는 식의 원리이다. 이 말음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주음종(訓主音從)의 원리(原理)
훈주음종(訓主音從)의 원리는 말 그대로 우리말을 향찰로 표기할 때는 우선 그 뜻을 가진 훈차자를 써 놓고 이어서 그 표기하려는 어형의 끝부분과 같은 음을 가진 글자를 첨가하는 식의 원리이다. 이 말음첨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주음종(訓主音從)의 원리(原理)
3. 일자일음(一字一音)의 원리(原理)
Ⅶ. 향가의 작가층
Ⅷ. 향가의 작품집
참고문헌
Ⅰ. 개요
신라향가의 존재를 알려주는 기록은 실상에 비해 그다지 많지 않다. 『삼대목』의 편찬사실 등을 적은 『삼국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주음종(訓主音從,) 맥락일치 등의 원리를 원용, 뛰어난 직관력을 발휘하여 이 작품을 새롭게 해독해냈고, 그 결과는 상당한 설득력을 지닌다. 이러한 해독은 기존의 해독과는 크게 다른 것으로 특히 1~3행과 5행의 해석은 매우 독창적이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쳐 통일신라시대 및 고려시대까지의 문자생활의 면모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본다. 향찰
1.향찰이란
2.향찰표기의 기본
1)차자표기
2)훈주음종의 기본
3)국주한종의기본
3.향찰과 이두
나오며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