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적 인식의 학으로서의 미학/ 동양예술과 비례의 원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성적 인식의 학으로서의 미학/ 동양예술과 비례의 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과제 1) 미학이 ‘감성적 인식의 학’이라고 할 때, 미각, 후각, 촉각과 같은 소위 저급 감각에 관한 학문은 어떻게 가능한가?

과제 2) 원시 예술이나 아프리카 예술 혹은 동양 예술을 황금분할과 같은 비례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가?

본문내용

표현의 한 방법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만일, ‘비례의 원리’ 에 집착하여 그것을 설명하고자 한다면 형식적 속성에만 치우친 나머지 무량수전의 전체적인 아름다움, 한국인의 독특한 미의식(美意識)을 놓쳐버리고 말 것이다.
한 가지 잣대로 예술을 설명하려는 행위는 정해진 틀에 그것을 가두어 놓으려는 것일 뿐이다. 이것은 예술의 ‘창조적 측면’ 에 반하는 것은 물론, ‘예술의 다양성’마저 해치는 일이다. 특정한 공간적, 시간적 배경을 가지는 예술은 그만의 독특한 특성이 있기 마련이다. 만일, 양귀비(楊貴妃)가 같은 시대의 그리스에 태어났다면 과연 경국지색(傾國之色)으로 역사에 기록될 수 있었을까? 양귀비가 당대의 미녀로 인정받을 수 있었던 것은 “왕성한 생명력을 중시하던 중국인들의 미의식” 민주식, 아름다움, 그 사고와 논리, 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p19 - 워싱턴 프리아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말에 오르는 양귀비’ 사진을 보면 그녀가 그리 호리호리한 몸매는 아니라는 것 을 알 수 있다.
에 기초한다. 이렇듯 예술을 올바르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그에 따른 미적 기준, 표현 방식 등에 대한 이해가 선행(先行)되어야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2.30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2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