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효상 (감각의단면 빈자의 미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승효상 (감각의단면 빈자의 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또 하나의 세기말에 서서

장소성
토지 속에 담겨진 흔적을 발견해 내는 것, 그리고 이들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 또한 그 속에서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는 것, 이러한 것들이 침묵하는 토지로 하여금 말하게 하고 토지에 생명을 갖게 하며, 이에 비로소 그 장소성은 회복된다.

합목적성
적절한 기능과 규모의 배분, 이를 뒷받침하는 합리적인 테크놀러지 그리고 이들을 싸안는 표정이 그 건축의 성립목적을 정당히 수행할 때, 합목적적 건축이라 한다. 이것은 인간의 구체적 삶에 근거를 두고, 그 삶이 지향하는 목적에 적극적으로 부합해야 한다.

시대성
건축가의 작업을 합목적과 장소에 관계없이 일관짓게 하는 것은 그 건축가가 가진 역사의식 에서 비롯된 작의이다. 따라서 이 건축가의 항성이라고 일컫는, 시대를 관조한 작의가 투영된 건축의 사상적 배경 이를 건축의 시대성이라 한다. 문제의식이 높을수록 그 건축을 생명력 있는 존재로 인식한다.

땅이 가지고 있던 흔적과 고유함을 이해하고 그 건축의 성립목적들을 마땅히 수행해야 한다. 여기에 그 시대를 바
라보는 건축가의 정신이 곁들어질 때, 이를 건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건축은 시대의 거울’ 이란 말은 시대의 모습만을 비추는 거울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시대가 지녀야 할 덕목을 당연히 내비추어야 하는 거울이라는 뜻인데, 이를 위해 우리 시대에 어떠한 형식의 건축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깊은 사려가 필요하다.
p.503
건축을 함에 있어서 단지 흐름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가 요구하는 바에 대해 건축하는 이의 시각이 중요
하다고 생각된다.


우리가 건축을 마주할 때 그 건축이 배경으로 하는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의 접근, 그 건축을 만든 이들의 역사의식과 시대성에의 믿음에 대한 이해가 우리로 하여금 그 건축에 정확히 접근하게 할 것이다. p.505 건축을 바라봄에 있어서 단지 물리적인 요소들만이 아니라 공간을 창조하며 깃들어지는 건축가의 정신과 믿음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중요해 지는 대목이라고 생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5.10.20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984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