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
1. 존 테일러 개토가 보고 있는 현재의 교육
2. 학교 교육의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
- 교육을 삶 속으로 되돌려 놓기
- 조합교회의 원리를 통한 학교 문제의 해결
結. 나의 생각 - 현재의 교육에 적용하기
1. 존 테일러 개토가 보고 있는 현재의 교육
2. 학교 교육의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
- 교육을 삶 속으로 되돌려 놓기
- 조합교회의 원리를 통한 학교 문제의 해결
結. 나의 생각 - 현재의 교육에 적용하기
본문내용
수 있다. 또한 개토의 말처럼 교육이라는 사업을 자유주의의 시장 원리에 맡겨서 개인의 일로만 치부한다면, 빈부격차에 따른 교육 불평등이 심화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의무교육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원과 과외열풍이 성행하고 있는데, 의무교육마저 개인에게 맡긴다면 큰 사회적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겠다. 물론 현재 학교 교육에 문제가 많이 있고, 개토의 주장이 많은 부분 공감이 가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그의 주장을 우리 교육 현실에 맞게 결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것의 예로 학교에서 가르칠 때 교과를 단편적으로 나눠서 학생들에게 주입시키기 보다는 좀더 통합적으로 실생활과 접목시켜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가르친다면 각자의 개성도 살리면서 기본 소양도 다양하게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그가 말했듯이 봉사활동이나 다양한 경험을 갖도록 여행, 견학, 견습 등의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게 한다면 많은 아이들이 경험을 통해 성장하면서 새로운 목적과 가치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진정한 교육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광고문화비평
젊을 때 시작하라-부자가 되고 싶은 젊은 바보들을 위한-
'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중 '바보이반'> 을 읽고...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구조주의 비평적 접근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
소수의 천재가 만들어 낸 문명 속에서 바보가 되어 가는 다수의 일반인
바리공주 - 효녀인가 바보인가
[서평/비평]테이레시아스의 역사 Vs영웅만들기-신화와 역사의 갈림길
[우수평가자료](독후감)바보처럼 공부하고 천재처럼 꿈꿔라(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세계의 ...
[사회학의 이해]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비평문
[독후감] 안소영의 <책만 보는 바보>를 읽고
[독후감] 세상을 바꾸는 힘 BE YOURSELF - 바보빅터 _ 호아킴 데 포사다 저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구조주의 비평적 접근
[ 광장 독후감 ] 포기가 가장 바보 같은 짓이 아닐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