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성의 세가지 의미
2.성의 내용
3.본성과 인위
4.마음과 본성
5.맺음말
2.성의 내용
3.본성과 인위
4.마음과 본성
5.맺음말
본문내용
성은 원료이며 인위는 가공된 것이다. 그러므로 인격이란 가공되어 이루어진 성품인 것이다.
-성악-에 나오는 인용문을 살펴보자.
인간의 본성은 악하니, 반드시 스승의 가르침이 있은 후에 바르게 되고 예의로 교화를 받은 후에 다스려진다. 만약 스승이 없다면 편벽되고 음험하여 부정해질 것이요, 예의가 없다면 도리에 어긋나고 난폭해져서 다스리지 못할 것이다. 성인은 인간의 본성이 악하기 때문에 편벽되고 음험하여 바르지 못하고 도리에 어긋나며 난폭해져 다스려지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래서 예의를 일으키고 법도를 제정하여 인간의 본성을 교정시켜 바르게 하였고, 인간의 본성을 유순하게 변화 계도해 감으로써 비로서 본성이 다스림 속에서 나오게 하고 도에 부합되게 하였다.
즉 스승의 교훈을 전수 받아 인간은 인위적이지만 선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말이다.
4.마음과 본성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순자에 의하면 본성은 부정적인 것이고, 마음은 긍정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순자 사상에 있어서 마음과 성의 관계계는 마음으로 본성을 다스리는 ‘이심치성’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마음으로 직접 본성을 다스리는 데 불과한 것이 아니라, 예의를 통하여 본성을 다스리는 것까지 포함한다. 순자가 말하는 마음은 맹자의 마음과는 다르다. 맹자가 말하는 인의지심은 도덕심이며, 도덕의 주체이다. 순자가 말하는 사물을 인지하고 시비를 분별하는 마음은 인지심이며, 지성의 주체이다. 순자는 ‘마음은 나면서부터 사물을 인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라고 하였다.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는 마음은 사물을 인지하여 지식을 쌓아 갈 뿐만 아니라 도를 인지할 수 있다.
사
-성악-에 나오는 인용문을 살펴보자.
인간의 본성은 악하니, 반드시 스승의 가르침이 있은 후에 바르게 되고 예의로 교화를 받은 후에 다스려진다. 만약 스승이 없다면 편벽되고 음험하여 부정해질 것이요, 예의가 없다면 도리에 어긋나고 난폭해져서 다스리지 못할 것이다. 성인은 인간의 본성이 악하기 때문에 편벽되고 음험하여 바르지 못하고 도리에 어긋나며 난폭해져 다스려지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래서 예의를 일으키고 법도를 제정하여 인간의 본성을 교정시켜 바르게 하였고, 인간의 본성을 유순하게 변화 계도해 감으로써 비로서 본성이 다스림 속에서 나오게 하고 도에 부합되게 하였다.
즉 스승의 교훈을 전수 받아 인간은 인위적이지만 선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말이다.
4.마음과 본성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순자에 의하면 본성은 부정적인 것이고, 마음은 긍정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순자 사상에 있어서 마음과 성의 관계계는 마음으로 본성을 다스리는 ‘이심치성’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마음으로 직접 본성을 다스리는 데 불과한 것이 아니라, 예의를 통하여 본성을 다스리는 것까지 포함한다. 순자가 말하는 마음은 맹자의 마음과는 다르다. 맹자가 말하는 인의지심은 도덕심이며, 도덕의 주체이다. 순자가 말하는 사물을 인지하고 시비를 분별하는 마음은 인지심이며, 지성의 주체이다. 순자는 ‘마음은 나면서부터 사물을 인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라고 하였다.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는 마음은 사물을 인지하여 지식을 쌓아 갈 뿐만 아니라 도를 인지할 수 있다.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