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림의「농무」에 나타난 죽음 의식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 목적

Ⅱ. 죽음의 유형
1. 초기시의 유형
2. 공백기 이후의 시의 유형

Ⅲ. 죽음과 연결되는 이미지

Ⅳ. 죽음을 통해본 사회 현실 인식

Ⅵ.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고 아내는 어린 자식을 업고 직장을 나가는 것이다. 앞에서 보여지는 아버지의 모습에 거울 비추기가 농민이었고, 삼촌의 모습에 거울 비추기가 광산촌이었다면, 내 모습의 거울 비추기는 아내를 통한 도시 하층민이다. 하지만 아내와 나의 모습은 앞에서 보여지는 두 가지 모습과 차이를 보인다. 그것은 가장이라는 지위가 지니고 있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의무를 내가 포기해 버린 채 아내에게 떠넘겨 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의무의 전이는 이미 나라는 인물이 가지고 있는 남편이라는 가장으로서 가질 수 있는 모든 것들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의무포기를 통해 무기력한 남편과 생계유지를 위해 일을 나가야 하는 아내의 뒤바뀐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산업화로 인한 도시 하층민들의 삶의 모순을 나의 부재로 나타내고 있다. 이런 극단적인 모습은 나의 부재를 통해 보여지는 도시 하층민인 '나'라는 이의 아버지의 상의 추락이, 어릴 적 내가 겪었던 아버지와 삼촌의 초라한 죽음과 연결되어지고 있음을 알게 한다. 아버지, 삼촌, 나(아내)는 죽음의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다. 집안을 이끌어 가는 노동력들이 상실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을 해야하는 노동력의 상실은 농촌, 광산촌, 도시 모두의 위기를 이야기하기 위해서 신경림은 죽음을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죽은 이가 대부분 남자가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신경림의 『農舞』 시집에 나타나는 죽음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등단할 무렵의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모습이 약 10년간 작품 활동의 공백기를 거쳐 구체적인 현실 문제에 대한 추구로의 변화하며 죽음 또한 구체성을 획득한다. 그 구체성은 농민, 떠돌이 노동자, 도시빈민 등으로 대표되는 소외된 민중들의 삶의 모습과 정서의 문제를 가리킨다.
신경림 시인이 아직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작가이며 『農舞』이외에도 많은 시집을 펴냈으나 본고의 논의에서는 『農舞』만은 다뤄 많은 부분에서 제한적인 의미밖에 가질 수 없다. 진정한 의미에서 신경림이 추구하는 시세계의 죽음을 조망하고 정리하며, 그 의의를 가늠하는 작업은 추후의 과제로 남는다.
참 고 자 료
1. 기본자료
신경림, 시집(1975) 『農舞』, 창작과비평사
2. 보조자료
신경림, 시선집(1992) 『신경림 문학앨범』, 웅진출판, 1992.
수필집(1988) 『진실의 말 자유의 말』, 세계문학사, 1988.
평론집(1983) 『삶의 진실과 시적 진실』, 전예원, 1983
3. 학위논문 및 평론
김강태(1997) 「신경림 시 연구 -'길' 모티브를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김광섭(1974) 「시집『농무』에 대하여」, 창작과 비평사
구중서(1980. 2) 「역사 속의 우리말 가락 -신경림론」,『현대문학』
(1995) 「신경림 문학의 세계」, 창작과비평사
(1982. 2) 「신경림의 시세계」,『소설문학』
민혜령(1998. 2) 「신경림 시의 시적 특성 고찰」, 『초등국어교육 제8호』
박명자(1996) 『신경림 시 연구 -서정의 확산과 심화』, 수원대 대학원 석사논문
박수민(1996) 『신경림 시 연구 -민중적 서정시를 중심으로』, 대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박연욱(1999. 8) 「신경림 시의 서사적 읽기와 그 지도 방안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백낙청(1975) 『農舞』발문, 창작과비평사
송상일(1988. 여름) 「『農舞』의 두 시점」,『문학과 비평』
신경림(1987) 「나는 왜 詩를 쓰는가」, 『씻김굿』, 나남
신현춘(1994) 「신경림 시의 민중적 서정성과 그 방법론」,『서울교대초등학교 4』
장백일(1995) 「농무의 정한, 그 의미」,『한국 현대시 평설』
유종호(1982. 5) 「쓸쓸한 삶과 시적 상상력 -「농무」작가 신경림의 시 세계」,『정경문 화』
(1995) 「서사 충동의 서정적 탐구」, 『신경림 문학의 세계』, 창작과 비평사
양문규(1999) 「신경림 시 연구」, 명지대 대학원 석사논문
염형운(1999. 12) 「신경림의 농무론」,『한국외대한국어문학연구 10』
윤홍용(1991) 「신경림의 시세계 : 치열한 민중의식과 준열 한 서사의 힘」,『한국 현대시의 구조와 의미』, 시와 시학사
(1993. 2)「신경림 시에 나타난 민중의식」,『대전어문학 제10집』
이은봉(1993. 봄) 「신경림 시인을 찾아서」, 시와 시학
오성호(1988. 여름) 「『農舞』의 세 가지 목소리」,『문학과 비평』
o이광호(1988. 여름호) 「농무의 세 가지 목소리」, 『문학과 비평』
이규석(1996) 『신경림 시의 리얼리즘적 성취에 관한 연구』, 인하대 대학원 석사논문
오규원(1997) 『현대시작법』, 문학과지성사
이동순(1998) 「민족시에 정착된 민중언어 -신경림론」,『시정신을 찾아서』, 영남대학교 출판부
이승훈(1996) 「한국 현대시 새롭게 읽기 -신경림편」, 세계사
(1995) 『문학 상징 사전』, 고려원
이재무(1992) 「우리 시대의 민족시인」,『신경림 문학앨범』, 웅진출판사
이종대(1995. 12) 「신경림 시의 서사성 연구」, 동악어문론집(제30집)
이종대(1997) 「고단하고 슬픈 사람드의 사연」,『우리 시대의 시집, 우리 시대의 시인』,
계몽사
이한직(1955. 12, 1956. 2, 1956. 4) 「詩薦記」, 『문학예술』 참조
이희중(1992. 6) 「죽음, 증오, 그리고 사랑 -신경림론」,『현대시』
장권순(1998. 12) 「신경림 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논문
장시기(1996.8)「중심화와 탈중심화 -신경림의 『농무』와 『쓰러진 자의 꿈』에 나타난 담론 분석」, 『현대시』
전도현(1993) 「신경림 시 연구 -시세계의 변모양상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논문
조남현(1988. 여름) 「『農舞』의 시사적 의미」,『문학과 비평』
조태일(1972. 봄) 「민중 언어의 발견」, 『창작과 비평』
한길자(1996) 「신경림 시집 『農舞』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o한만수(1995) 『삶속의 문학, 독자속의 비평』, 나남출판사
한만수(1997. 12)「서정, 서사, 서경성의 만남 -신경림론」,『순천대논문집 인뭄사회과학
16』
한금화(1999. 7) 「신경림의 시세계 연구」, 『건국대교육논총 23』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6.01.0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