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취증이불취맥
빙맥 태양증리허
소음증표울
복맥
무맥
선온
선해
반표반리
한삼음하삼양
전도육경
반복한하
빙맥 태양증리허
소음증표울
복맥
무맥
선온
선해
반표반리
한삼음하삼양
전도육경
반복한하
본문내용
감초탕으로 약간 발한한다.
是는 三陰의 未入於臟者는 皆可汗之오.
시는 삼음의 미입어장자는 개가한지오.
이는 3음이 아직 5장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모두 발한한다.
太陽의 忌下는 常也로다.
태양의 기하는 상야로다.
태양에 사하를 금기함은 일상이다.
有曾汗吐下而小便이 數하고 大便이 閉者는 太陽陽明이니 宜大承氣(湯)이오.
유증한토하이소변이 삭하고 대변이 폐자는 태양양명이니 의대승기탕이오.
일찍이 발한 구토 사하가 있고 소변을 자주 보고 대변이 막히는 환자는 태양병 양명병이니 대승기탕이 의당하다.
少陽陽明은 小承氣(湯)이오.
소양양명은 소승기이오.
소양 양명병은 소승기탕이요.
正陽陽明은 調胃承氣(湯)이니 是는 三陽의 已入於臟者는 皆可下之니라.
정양양명은 조위승기이니 시는 삼양의 이입어장자는 개가하지니라.
정양 양명은 조위승기탕이니 이는 3양병이 이미 5장에 들어가면 모두 사하할 수 있다.
胃與大小腸이 爲三陽이니 臟은 乃藏物之臟也라.
위여대소장이 위삼양이니 장은 내장물지장야라.
위와 대장 소장이 3양이 되니 5장은 음식물을 저장하는 5장이다.
顚倒六經은 非眞見이면 不敢이오.
전도육경은 비진견이면 불감이오.
6경이 넘어지고 거꾸러짐은 진짜 봄이 아니면 감히 못한 것이다.
脈絡이 貫通故也라.
맥락이 관통고야라.
맥락이 관통하기 때문이다.
百證에 云하되 均一頭痛 身熱也로다.
백증에 운하되 균일두통 신열야로다.
백증에서 말하길 모두 한결같이 두통과 신열이 있다.
內實하여 不大便者는 宜下하고 外實하여 小便淸者는 宜汗이라 하니라.
내실하여 부대변자는 의하하고 외실하여 소변청자는 의한이라 하니라.
내부가 실하여 대변보지 못하면 의당 사하하고 외부가 실하여 소변이 맑은 환자는 의당 발한한다.
盡皆不拘常法이 如此하니 非眞見이면 能如是乎아.
진개불구상법이 여차하니 비진견이면 능여시호아?
모두 일상법에 구애받지 않음이 이와 같으니 진짜 본 것이 아니면 이와 같을 수 있겠는가?
反覆汗下는 有神手면 何妨가?
반복한하는 유신수면 하방가?
땀내고 사하함을 반복하면 신묘한 수단이 있으면 무엇을 방해하겠는가?
以表裏邪 未淨也니라.
표사와 이사가 아직 깨끗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右[上]一段은 論傳陽變陰之極이니 變病變法을 推究融會하여 以盡其妙니라.
상일단은 논전양변음지극이니 변병변법을 추구융회하여 이진기묘니라.
위 일단은 양이 전해서 음으로 변하는 궁극을 논의함이니 변병과 변법을 연구하여 완전히 이해하여 그 오묘함을 다해야 한다.
是는 三陰의 未入於臟者는 皆可汗之오.
시는 삼음의 미입어장자는 개가한지오.
이는 3음이 아직 5장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모두 발한한다.
太陽의 忌下는 常也로다.
태양의 기하는 상야로다.
태양에 사하를 금기함은 일상이다.
有曾汗吐下而小便이 數하고 大便이 閉者는 太陽陽明이니 宜大承氣(湯)이오.
유증한토하이소변이 삭하고 대변이 폐자는 태양양명이니 의대승기탕이오.
일찍이 발한 구토 사하가 있고 소변을 자주 보고 대변이 막히는 환자는 태양병 양명병이니 대승기탕이 의당하다.
少陽陽明은 小承氣(湯)이오.
소양양명은 소승기이오.
소양 양명병은 소승기탕이요.
正陽陽明은 調胃承氣(湯)이니 是는 三陽의 已入於臟者는 皆可下之니라.
정양양명은 조위승기이니 시는 삼양의 이입어장자는 개가하지니라.
정양 양명은 조위승기탕이니 이는 3양병이 이미 5장에 들어가면 모두 사하할 수 있다.
胃與大小腸이 爲三陽이니 臟은 乃藏物之臟也라.
위여대소장이 위삼양이니 장은 내장물지장야라.
위와 대장 소장이 3양이 되니 5장은 음식물을 저장하는 5장이다.
顚倒六經은 非眞見이면 不敢이오.
전도육경은 비진견이면 불감이오.
6경이 넘어지고 거꾸러짐은 진짜 봄이 아니면 감히 못한 것이다.
脈絡이 貫通故也라.
맥락이 관통고야라.
맥락이 관통하기 때문이다.
百證에 云하되 均一頭痛 身熱也로다.
백증에 운하되 균일두통 신열야로다.
백증에서 말하길 모두 한결같이 두통과 신열이 있다.
內實하여 不大便者는 宜下하고 外實하여 小便淸者는 宜汗이라 하니라.
내실하여 부대변자는 의하하고 외실하여 소변청자는 의한이라 하니라.
내부가 실하여 대변보지 못하면 의당 사하하고 외부가 실하여 소변이 맑은 환자는 의당 발한한다.
盡皆不拘常法이 如此하니 非眞見이면 能如是乎아.
진개불구상법이 여차하니 비진견이면 능여시호아?
모두 일상법에 구애받지 않음이 이와 같으니 진짜 본 것이 아니면 이와 같을 수 있겠는가?
反覆汗下는 有神手면 何妨가?
반복한하는 유신수면 하방가?
땀내고 사하함을 반복하면 신묘한 수단이 있으면 무엇을 방해하겠는가?
以表裏邪 未淨也니라.
표사와 이사가 아직 깨끗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右[上]一段은 論傳陽變陰之極이니 變病變法을 推究融會하여 以盡其妙니라.
상일단은 논전양변음지극이니 변병변법을 추구융회하여 이진기묘니라.
위 일단은 양이 전해서 음으로 변하는 궁극을 논의함이니 변병과 변법을 연구하여 완전히 이해하여 그 오묘함을 다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