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판소리의 정체

2. 판소리의 기원

3. 판소리 공연

4. 판소리 유파

5. 판소리 창법

6. 판소리 더늠

본문내용

으로는 심청가의 범피중류, 적벽가의 삼고초려, 춘향가의 긴사랑가 등을 꼽을 수 있다. 평조는 화평스럽고 명랑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기쁜 장면, 흥겨운 장면에 주로 쓰인다. 춘향가의 천자뒷풀이와 적벽가의 장승타령이 대표적인 대목이다. 이 밖에 서울지역의 민요가락을 판소리화한 경쾌한 선율의 경드름, 양반광대 권삼득이 창조했다는 경쾌하고 씩씩하며 호탕한 느낌을 주는 설렁제, 염계달이 지었다고 하는 추천목, 가야금병창제와 비슷한 석화제 등도 판소리의 예술세계 구축에 일정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장단은 우리 음악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음악적 개념이다. 서양음악의 박자와 다른 것으로 주기성, 속도, 강약, 리듬의 형태 등을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어 말로 설명하기가 무척 거북하다. 진양은 판소리 장단 중에서 가장 느린 것으로 3분박 느린 6박자가 1각이 되고 4각(24박)이 모여 1장단을 이룬다. 춘향가의 적성가, 심청가의 범피중류, 적벽가의 고당상 등 극적 상황이 한가하거나 장엄하며, 슬피 우는 서정적인 대목에 자주 쓰인다. 중머리는 판소리의 기본장단인데 2분박으로 진양에 비해 보통 빠르기 12박자이다. 서정적인 장면과 서술적인 장면에 많이 쓰이는데, 춘향가의 쑥대머리, 흥보가의 가난타령 등이 대표적인 대목이다. 중중모리는 중머리보다 조금 빠른 12박자다. 춘향가의 자진사랑가, 흥부가의 제비노정기, 수궁가의 고고천변 등 대개 흥겨운 대목에 쓰인다. 자진모리는 매우 빠른 장단이다. 무엇을 길게 나열하거나 긴박한 장면에 흔히 쓰인다. 암행어사 출도, 놀보 심술, 적벽화전 등에 쓰이고 있다. 휘모리는 2분박으로 자진모리보다 더 빠른 4박자 장단이다. 매우 분주한 대목에 쓰이는데 흥보가의 박타령이 유명하다. 엇모리는 10박자의 매우 빠른 장단인데, 중 내려오는 장면과 같이 주로 어떤 인물이 등장하는 경우에 쓰인다.
6. 판소리 더늠
한 편의 판소리는 수많은 명창들에 의해 오랜 기간에 걸쳐 갈고 닦여진 다양하기 그지 없는 주옥같은 더늠들로 짜여져 있다. 더늠은 명창이 오랜 세월에 걸쳐 피눈물로 피워올린 꽃이다. 판소리 사설이 양적으로 길어지면서 전체를 온전히 불러내기 어려워지게 되어 한 토막을 따로 떼어 부분창으로 부르면서 더늠이 태어났다. 판소리는 이를 중심축으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룩하였고, 창자는 이를 통해 독특하고 개성적인 예술세계를 마음껏 펼쳤다. 어디 눈물 속에 피는 꽃이 여자만이겠는가, 더늠이야말로 정녕 피눈물 속에 핀 판소리의 꽃이다. 더늠이란 이와 같이 어떤 명창이 사설과 음악 그리고 너름새 등 모든 영역에 걸쳐 독특하게 창조하여 뛰어나게 잘 불렀거나, 스승이나 선배의 더늠을 전수받아 뛰어나게 잘 불러서 그의 장기로 널리 인정받은 대목을 말한다. 우리끼리 흔히 말하는 18번이 더늠인 셈이다. 이 말은 원래 '내기하다, 겨루다'란 뜻의 중세국어 '던다', '더느다'에서 온 것으로, 창자가 재주를 뽐내기 위해서 다른 창자와 소리역량을 겨루는 자리에서 자신있게 내놓는 대목이기 때문에 그런 말이 붙었다.

키워드

판소리,   소리,   동편제,   서편제,   ,   너름새,   추임새,   금오공대
  • 가격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1.0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9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