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1.연구사 검토
2.연구 목적과 의의
Ⅱ.1930년대 전향소설의 등장배경
1.전향의 개념과 그 원인
2.한설야의 전향유형
Ⅲ.전향전의 소설경향
1.귀향으로서의 「과도기」
2.관념적 노동자와 노동조합
1)「씨름」
2)「공장지대」
Ⅳ.한설야의 전향소설
1.일상으로의 회귀 -「태양」
2.전향자의 내적 갈등
1)「딸」의 경우
2)「이녕」의 경우
3.관념에서 현실로의 전환
1)「임금」
2)「철로교차점」(후미끼리)
Ⅴ.한설야의 전향소설의 의의
Ⅵ.결 론
*참고문헌
1.연구사 검토
2.연구 목적과 의의
Ⅱ.1930년대 전향소설의 등장배경
1.전향의 개념과 그 원인
2.한설야의 전향유형
Ⅲ.전향전의 소설경향
1.귀향으로서의 「과도기」
2.관념적 노동자와 노동조합
1)「씨름」
2)「공장지대」
Ⅳ.한설야의 전향소설
1.일상으로의 회귀 -「태양」
2.전향자의 내적 갈등
1)「딸」의 경우
2)「이녕」의 경우
3.관념에서 현실로의 전환
1)「임금」
2)「철로교차점」(후미끼리)
Ⅴ.한설야의 전향소설의 의의
Ⅵ.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지만 작가의식의 성장 측면에서 본다면 당연히 위의 순서로 배치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한설야의 전향소설은 어떠한 意義를 가질수 있을 것인가? 당시의 대부분의 전향작가들의 소설은 출옥 후의 사회생활의 시작에서 새로운 생활의 발견으로 끝난다. 한설야의 경우에도「태양」,「딸」,「이녕」에서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지만 이들 작품 전반의 내면에 나타나 있는 것은 전향자로서의 자아비판과 현실사회의 문제점들이다. 한설야는 출옥후 전향자라는 낙인을 안고 살아가는 것을 누구보다도 힘들어 하였으며, 이러한 갈등의 모습은 그의 작품들을 통하여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앞에서 한설야의 전향유형을 분석해 보았는데, 한설야의 작품들은 그의 전향유형을 밝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친일파로 돌아선 작가들에 대한 비판과 일상인으로 돌아선 아내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은 그가 아직 전향전의 모든 사상을 버리지 않았음을 알려주고 있다.
「임금」과「철로교차점」에서 과거의 자신의 정체성을 차츰 회복하게 된다. 그런데 이 회복의 과정은 전향전에 막연하게 가졌던 지적인 사상가로서의 모습이 아니다. 그의 각 소설의 주인공들은 현실의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건강한 노동자의 모습으로 거듭나 있으며, 문제의 해결방식도 관념적이지 않고 현실적이며 실천적인 모습이다. 이는 한설야가 전향후 작품활동을 하면서 항상 역사 속에서의 자신의 모습을 생각했으며, 때가 오면 다시 투사의 길을 걸으리라는 다짐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볼 때 한설야의 전향소설의 의의는 다른 카프문인들이 이룩하지 못한 문학에서의 자기 극복의 과정을 보여 주었으며, 그것이 작품의 내용과 형식면에서 고른 발전의 양상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한설야의 전향소설은 발전적인 과정으로의 길을 걷고 있고, 해방과 더불어 한설야가 프로예맹 등의 결성을 주도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의 전향소설 전반에 걸쳐 아직 저항의식이 남아 있었고, 이 때문에 김윤식은 한설야의 전향소설이 <오기>를 지닌 문학이라 한 바도 있다. 한설야의 장편소설『황혼』이 그의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 소설이 나오기까지 전향소설의 단계를 거치지 않았다면 이러한 문학적 성과는 불가능 했으리라 여겨진다.
Ⅵ.결 론
지금까지 한설야의 전향소설 연구라는 주제하에 논의를 전개시켜 왔다. 한 작가에 있어 특히 카프작가들에 있어서는 사상의 문제가 중요시 되어 왔다. 처음의 혁명가로서의 삶이 사상탄압으로 인해 좌절되고, 또다시 이 좌절을 극복하는 문제는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과정이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카프문학 작가들에 대한 연구가 경향성을 지닌 작품들에 비중을 두어 진행되어 왔다면 앞으로는 그들의 전향과 관련한 연구들이 더욱 많이 진척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향소설의 문학사적 의의는 대부분의 카프문학들이 가지고 있었던 도식성을 탈피했다는 데에 있다. 카프문학이 지향했던 것이 현실의 진실한 반영과 전망을 내어오는 것이었지만 대부분의 작품들이 사회주의 사상을 담아야 한다는 강박관념때문이었는지 그 문학적 성취도는 그리 높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시기 전향소설들에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상이 진정 가치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자성과 검증으로 많은 작품들이 현실로 돌아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문제는 이 자성의 과정이 때로는 현실과의 타협으로, 진정한 전향으로 나아간다는 데에 있다. 한설야의 경우에는 끊임없이 자신의 삶과 사고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하는 노력을 보인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소설에 그대로 반영이 되어 전향자의 의식적 회복 과정이 눈에 띄나 나타나기에 그의 전향소설의 발달과정에 대하여 이 논문에서 살펴본 것이다.
개인의 문학적 삶은 그 사회에 의해 규정을 받기 때문에 한 작가의 작품과 시대상과의 연결 속에서 작품의 의미를 찾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한설야의 경우 남북한 문학에서 모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이기에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한설야의 작품 중 전향前 소설 3편과 전향소설로 분류되는 작품 5편만을 선별하여 연구를 하였다. 하지만 이 시기에 쓰여진 다른 작품들은 어떠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지, 어떤 내적논리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총체적 접근이 없었기 때문에 아직 그의 전향소설이 어떠하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성급하다는 생각이다. 전향후에 한설야가 쓴 작품들 중 여기서 다루지지 못한 작품들까지 총체적으로 분석하고『황혼』까지의 발전과정을 살피는 작업이 있을때에 한설야의 전향소설의 성격을 보다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 고 문 헌
Ⅰ.자 료
《조광》,《신동아》,《문장》,《조선일보》,《동아일보》
『한설야 단편 선집 1-3』, 김외곤 편, 태학사, 1989.
Ⅱ.단행본
권영민,『越北文人硏究』, 문학사상사, 1989.
김재용,『민족문학운동의 역사와 이론 2』, 한길사, 1996.
김윤식,『한국근대문학사상사비판』, 일지사, 1984.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1984.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출판부, 1992.
,『김윤식 선집 2-3』, 솔출판사, 1996.
, 정호웅,『한국근대리얼리즘 작가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8.
, ,『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민음사, 1989.
서경석,『한설야』, 건국대출판부, 1996.
Ⅲ.논 문
김동환,「1930년대 韓國 轉向小說 硏究」, 서울대 석사, 1987.
김용선,「김남천 전향소설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 1991.
김윤식,「한설야論」,『현대문학』, 1989.8.
김외곤,「1930년대 한국 현실주의 소설 연구」, 서울대 석사, 1990.
서경석,「1920-30년대 한국 경향소설 연구」, 서울대 석사, 1987.
,「한국 경향소설과 '귀향'의 의미」,『한국학보』48, 1987. 가을.
윤문상,「한설야 소설과 愛情觀의 변모 양상」, 인하대 석사, 1995
윤종택,「한설야 연구-해방이전 작품세계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경북대 석사, 1993.
장석홍,「한설야 소설에 나타난 계급의식의 변모양상 연구」, 건국대 박사, 1996.
진영일,「일제 강점기 전향소설 연구」, 계명대 석사, 1989.
그렇다면 한설야의 전향소설은 어떠한 意義를 가질수 있을 것인가? 당시의 대부분의 전향작가들의 소설은 출옥 후의 사회생활의 시작에서 새로운 생활의 발견으로 끝난다. 한설야의 경우에도「태양」,「딸」,「이녕」에서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지만 이들 작품 전반의 내면에 나타나 있는 것은 전향자로서의 자아비판과 현실사회의 문제점들이다. 한설야는 출옥후 전향자라는 낙인을 안고 살아가는 것을 누구보다도 힘들어 하였으며, 이러한 갈등의 모습은 그의 작품들을 통하여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앞에서 한설야의 전향유형을 분석해 보았는데, 한설야의 작품들은 그의 전향유형을 밝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친일파로 돌아선 작가들에 대한 비판과 일상인으로 돌아선 아내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은 그가 아직 전향전의 모든 사상을 버리지 않았음을 알려주고 있다.
「임금」과「철로교차점」에서 과거의 자신의 정체성을 차츰 회복하게 된다. 그런데 이 회복의 과정은 전향전에 막연하게 가졌던 지적인 사상가로서의 모습이 아니다. 그의 각 소설의 주인공들은 현실의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건강한 노동자의 모습으로 거듭나 있으며, 문제의 해결방식도 관념적이지 않고 현실적이며 실천적인 모습이다. 이는 한설야가 전향후 작품활동을 하면서 항상 역사 속에서의 자신의 모습을 생각했으며, 때가 오면 다시 투사의 길을 걸으리라는 다짐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볼 때 한설야의 전향소설의 의의는 다른 카프문인들이 이룩하지 못한 문학에서의 자기 극복의 과정을 보여 주었으며, 그것이 작품의 내용과 형식면에서 고른 발전의 양상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한설야의 전향소설은 발전적인 과정으로의 길을 걷고 있고, 해방과 더불어 한설야가 프로예맹 등의 결성을 주도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의 전향소설 전반에 걸쳐 아직 저항의식이 남아 있었고, 이 때문에 김윤식은 한설야의 전향소설이 <오기>를 지닌 문학이라 한 바도 있다. 한설야의 장편소설『황혼』이 그의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 소설이 나오기까지 전향소설의 단계를 거치지 않았다면 이러한 문학적 성과는 불가능 했으리라 여겨진다.
Ⅵ.결 론
지금까지 한설야의 전향소설 연구라는 주제하에 논의를 전개시켜 왔다. 한 작가에 있어 특히 카프작가들에 있어서는 사상의 문제가 중요시 되어 왔다. 처음의 혁명가로서의 삶이 사상탄압으로 인해 좌절되고, 또다시 이 좌절을 극복하는 문제는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과정이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카프문학 작가들에 대한 연구가 경향성을 지닌 작품들에 비중을 두어 진행되어 왔다면 앞으로는 그들의 전향과 관련한 연구들이 더욱 많이 진척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향소설의 문학사적 의의는 대부분의 카프문학들이 가지고 있었던 도식성을 탈피했다는 데에 있다. 카프문학이 지향했던 것이 현실의 진실한 반영과 전망을 내어오는 것이었지만 대부분의 작품들이 사회주의 사상을 담아야 한다는 강박관념때문이었는지 그 문학적 성취도는 그리 높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시기 전향소설들에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상이 진정 가치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자성과 검증으로 많은 작품들이 현실로 돌아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문제는 이 자성의 과정이 때로는 현실과의 타협으로, 진정한 전향으로 나아간다는 데에 있다. 한설야의 경우에는 끊임없이 자신의 삶과 사고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하는 노력을 보인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소설에 그대로 반영이 되어 전향자의 의식적 회복 과정이 눈에 띄나 나타나기에 그의 전향소설의 발달과정에 대하여 이 논문에서 살펴본 것이다.
개인의 문학적 삶은 그 사회에 의해 규정을 받기 때문에 한 작가의 작품과 시대상과의 연결 속에서 작품의 의미를 찾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한설야의 경우 남북한 문학에서 모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이기에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한설야의 작품 중 전향前 소설 3편과 전향소설로 분류되는 작품 5편만을 선별하여 연구를 하였다. 하지만 이 시기에 쓰여진 다른 작품들은 어떠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지, 어떤 내적논리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총체적 접근이 없었기 때문에 아직 그의 전향소설이 어떠하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성급하다는 생각이다. 전향후에 한설야가 쓴 작품들 중 여기서 다루지지 못한 작품들까지 총체적으로 분석하고『황혼』까지의 발전과정을 살피는 작업이 있을때에 한설야의 전향소설의 성격을 보다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 고 문 헌
Ⅰ.자 료
《조광》,《신동아》,《문장》,《조선일보》,《동아일보》
『한설야 단편 선집 1-3』, 김외곤 편, 태학사, 1989.
Ⅱ.단행본
권영민,『越北文人硏究』, 문학사상사, 1989.
김재용,『민족문학운동의 역사와 이론 2』, 한길사, 1996.
김윤식,『한국근대문학사상사비판』, 일지사, 1984.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1984.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출판부, 1992.
,『김윤식 선집 2-3』, 솔출판사, 1996.
, 정호웅,『한국근대리얼리즘 작가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8.
, ,『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민음사, 1989.
서경석,『한설야』, 건국대출판부, 1996.
Ⅲ.논 문
김동환,「1930년대 韓國 轉向小說 硏究」, 서울대 석사, 1987.
김용선,「김남천 전향소설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 1991.
김윤식,「한설야論」,『현대문학』, 1989.8.
김외곤,「1930년대 한국 현실주의 소설 연구」, 서울대 석사, 1990.
서경석,「1920-30년대 한국 경향소설 연구」, 서울대 석사, 1987.
,「한국 경향소설과 '귀향'의 의미」,『한국학보』48, 1987. 가을.
윤문상,「한설야 소설과 愛情觀의 변모 양상」, 인하대 석사, 1995
윤종택,「한설야 연구-해방이전 작품세계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경북대 석사, 1993.
장석홍,「한설야 소설에 나타난 계급의식의 변모양상 연구」, 건국대 박사, 1996.
진영일,「일제 강점기 전향소설 연구」, 계명대 석사, 1989.
추천자료
카프란 무엇인가?
[현대문학사]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의 문학사적 분석
데미안을 읽고
프리드리히 뒤렌마트의 <사고-그래도가능한이야기> 분석
임화의 낭만주의론 연구
조지오웰(George Orwell)의 동물농장
[카프(KAPF)][카프(KAPF)문학][카프][KAPF][신경향파][문인][문예운동]카프(KAPF)와 카프(KAP...
<동물원 이야기> 북리뷰
2009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작가들의 문학 특징과 시대적 의미)
2010년 1학기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사진기법과이론] 제나 할러웨이(ZenaHolloway)_UK Underwater Photographer.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