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2. 연구사 검토
Ⅱ.지시어의 개념
1. 지시어의 사전적 의미
2. 거리 지시어로서의 ‘이, 그, 저’
3. 지시상황과 거리
Ⅲ.話者 近距離 指示語 ‘이’
1. 지시어 ‘이’의 개념
2. ‘이’의 지시 기능과 대용 기능
3. 지시 대상에 따른 의미 기능의 분류
4. 현장·관념 지시의 의미 기능 분류
Ⅳ.聽者 近距離 指示語 ‘그’
1. 지시어 ‘그’의 의미 기능
2. ‘그’의 지시 기능과 대용 기능
3. 현장 지시 기능의 분류
4. 지시물에 따른 의미 기능의 분류
5. 구상 지시어의 하위 분류
Ⅴ.話·聽者 遠距離 指示語 ‘저’
1.지시어 ‘저’의 의미기능
2.현장 지시 기능의 ‘저’
Ⅵ.결론
<참고문헌>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2. 연구사 검토
Ⅱ.지시어의 개념
1. 지시어의 사전적 의미
2. 거리 지시어로서의 ‘이, 그, 저’
3. 지시상황과 거리
Ⅲ.話者 近距離 指示語 ‘이’
1. 지시어 ‘이’의 개념
2. ‘이’의 지시 기능과 대용 기능
3. 지시 대상에 따른 의미 기능의 분류
4. 현장·관념 지시의 의미 기능 분류
Ⅳ.聽者 近距離 指示語 ‘그’
1. 지시어 ‘그’의 의미 기능
2. ‘그’의 지시 기능과 대용 기능
3. 현장 지시 기능의 분류
4. 지시물에 따른 의미 기능의 분류
5. 구상 지시어의 하위 분류
Ⅴ.話·聽者 遠距離 指示語 ‘저’
1.지시어 ‘저’의 의미기능
2.현장 지시 기능의 ‘저’
Ⅵ.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9-346
김일웅(1982), <우리말 대용어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金政文(1980), <韓國語 再歸代名詞 "자기"에 관한 硏究>
, 慶南大學校 大學院 碩師學位論文
김정대(1988), <기능 통어와 재귀사의 쓰임>, "경남 어문 논집"1, 89-129
김형철(1983), <인칭 대명사 『저』에 대하여>, "文學과 言語"4,3-30
金興洙(1987), <대상 인식과 시각 경험의 양상>, "國語學"16,543-566
金興洙(1988), <현대 국어 심리 동사 구문에 관한 연구>, 서울 大學校 博士學位論文.
都守熙(1965), <{그러나, 그러고, 그러니, 그러면 } 等 語辭攷>, "韓國言語文學"3,82-105.
都守熙(1967), <'代用語'에 對하여>, "語文硏究" 5,67-98.
都守熙(1976), <'이, 그, 저'의 品詞 問題>, "語文硏究" 9,81-96.
文珷永(1984), <指示辭 '이, 그, 저' 考>, "語文硏究" 12-4, 577-590.
朴良圭(1985), <국어의 再歸動詞에 대하여>, "國語學"14, 361-382
박영환(1986), <국어의 대용 현상>, "國語學新硏究"(서울:탑출판사) 508-520
박영환(1987), <국어 재귀 대용의 원리>, "雪苔 朴堯順 先生 華甲紀念論叢"
(대전:韓南大學校 國語國文學會), 817-840.
박영환(1989), <지시어 '이'의 의미 기능>, "韓南語文學"15,47-70.
박영환(1990), <지시어 '그'의 의미 기능>, "한남대충청문화연구" 2
(대전:충청 문화 연구소), 159-190.
朴英煥(1990), <指示語 '저'의 의미 기능>, "韓南語文學" 16
박영환(1991), <國語 指示語의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朴英煥(1992), <國語 指示語의 類型>, "홍익어문"10 11
박진욱(1985), <현대 국어의 대명사에 대한 연구>, 고래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정목(1989),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1)., "國語學" 17,97-151
成光秀(1975), <國語 代名詞에 대하여>, "語文論集" 16,101-118.
성광수(1988), <한국어 문법의 내용과 설명>, "말" 13, 53-78.
신지연(1993), <口語에서의 指示語의 用法에 대하여; '그러-, 이러-, 저러-'를 中心으로>, "서울大語學硏究"29
신현숙(1989), <담화 대용 표지의 의미 연구>, "國語學" 19, 427-451.
양동휘(1980), <기능적 대용화론>, "한글" 170, 49-99.
梁東暉(1981), <無形代用化論 序說>, "언어" 6-1, 39-55.
양동위(1989), <영어와 한국어의 대명적 표현 비료 여구>, "한글" 204, 164-215.
우형식(1986), <국어 대용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혜경(1993), <교과서의 변천과정과 지시어의 분석연구:국민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이기동, <意味論 序說:沈在箕 外著'書評'>, "서울大語學硏究"22
李基文(1978), <國語의 人稱代名詞>, "冠岳語文硏究" 3, 325-338.
이승후(1991), <指示語 '이, 그, 저'의 意味 연구>, 명지대 석사논문
이정희(1995), <한국어와 일본어 지시어 구조>, 한남대 석사논문
張京姬(1980), <지시어 '이, 그, 저'의 意味 硏究>, "語學硏究" 16-2, 167-183.
장경희(1989), <지시사 '이, 그, 저'의 범주 지시>, "人文論叢" 17
(漢陽大學校 人文科學大學校), 5-26.
張奭進(1976), <對話의 分析:情報와 照應>, "應用言語學" 8-2, 105-121.
정무주(1991), <指示表現의 話用的 意味分析>, 경북대 박사논문
崔尙鎭(1990), <國語指示語의 距離 視點>, "국어국문학"104
韓國語學硏究會, 韓國語學新硏究, 서울:翰信文化社, 1990
洪淳性(1986), <國語代名詞의 照應現象에 關한 硏究>, 嶺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高永根, 國語文法의 硏究, 서울:塔出版社, 1983.
고영근 남기심, 국어의 통사 의미론, 서울:탑출판사, 1983.
高永根, 國語學硏究史, 서울:學硏社, 1985.
金承然, 國語語順硏究, 서울:한신문화사, 1988
金敏洙, 國語文法論, 서울:一潮閣, 1971
金敏洙, 新國語學史(改訂版), 서울:一潮閣, 1980.
金敏洙, 國語意味論, 서울:一潮閣, 1981.
金敏洙, 新國語學(改訂版), 서울:一潮閣, 1983.
김석득, 우리말 연구사, 서울:정음 문화사, 1983.
김영희, 한국어 통사론의 모색, 서울:탑출판사, 1988.
金宗澤, 國語話用論, 서울 大邱:螢雪出版社, 1982.
南廣 , 國語學論文集, 서울:一潮閣, 1974.
南廣 , 現代 國語學文의 諸問題(改訂版), 서울:一潮閣, 1979.
南基心 外, 現代國語文法, 大邱:啓明大學校 出版部, 1975.
남기심 고영근, 표준 국어 문법론, 서울:塔出版社, 1985.
都守熙, 國語 代用語의 硏究, 서울:塔出版社, 1987.
朴炳采 外, 新國語學槪論, 서울 大邱:螢雪出版社, 1980.
朴勝允, 機能文法論, 서울:翰信文化社, 1990.
朴榮順, 韓國語統辭論, 서울:集文堂, 1985.
朴英煥, 指示語의 意味 機能, 대전:한남대학교 출판부, 1991
송병학, 현대 국어의 분석, 서울:한신 문화사, 1984.
沈在箕, 國語語彙論, 서울:集文堂, 1982.
沈在箕 外, 意味論序說, 서울:集文堂, 1984.
李奎浩, 말의 힘, 서울:제일출판사, 1968
이기문, 國語史槪說, 서울:民衆書館, 1972.
李翊燮 任洪彬, 國語文法論, 서울:學硏社, 1983.
李益煥, 意味論槪論, 서울:翰信文化社, 1985.
李廷玟 외 2인, 意味論序說, 서울:집문당, 1984
任洪彬, 國語의 再歸詞硏究, 서울:신구문화사, 1987
張京姬, 現代國語의 樣態帆柱硏究, 서울:塔出版社, 1985.
張奭鎭, 話用論硏究, 서울:塔出版社, 1985.
정렬모, 신편 고등 문법, 서울:한글 문화사, 1946.
周時經, 國語文法, 京城:博文書館, 1910.
최현배 外, 國語意味論, 서울:開文社, 1986.
洪思滿, 國語語彙意味硏究, 서울 大邱:學文社, 1985.
김일웅(1982), <우리말 대용어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金政文(1980), <韓國語 再歸代名詞 "자기"에 관한 硏究>
, 慶南大學校 大學院 碩師學位論文
김정대(1988), <기능 통어와 재귀사의 쓰임>, "경남 어문 논집"1, 89-129
김형철(1983), <인칭 대명사 『저』에 대하여>, "文學과 言語"4,3-30
金興洙(1987), <대상 인식과 시각 경험의 양상>, "國語學"16,543-566
金興洙(1988), <현대 국어 심리 동사 구문에 관한 연구>, 서울 大學校 博士學位論文.
都守熙(1965), <{그러나, 그러고, 그러니, 그러면 } 等 語辭攷>, "韓國言語文學"3,82-105.
都守熙(1967), <'代用語'에 對하여>, "語文硏究" 5,67-98.
都守熙(1976), <'이, 그, 저'의 品詞 問題>, "語文硏究" 9,81-96.
文珷永(1984), <指示辭 '이, 그, 저' 考>, "語文硏究" 12-4, 577-590.
朴良圭(1985), <국어의 再歸動詞에 대하여>, "國語學"14, 361-382
박영환(1986), <국어의 대용 현상>, "國語學新硏究"(서울:탑출판사) 508-520
박영환(1987), <국어 재귀 대용의 원리>, "雪苔 朴堯順 先生 華甲紀念論叢"
(대전:韓南大學校 國語國文學會), 817-840.
박영환(1989), <지시어 '이'의 의미 기능>, "韓南語文學"15,47-70.
박영환(1990), <지시어 '그'의 의미 기능>, "한남대충청문화연구" 2
(대전:충청 문화 연구소), 159-190.
朴英煥(1990), <指示語 '저'의 의미 기능>, "韓南語文學" 16
박영환(1991), <國語 指示語의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朴英煥(1992), <國語 指示語의 類型>, "홍익어문"10 11
박진욱(1985), <현대 국어의 대명사에 대한 연구>, 고래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정목(1989),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1)., "國語學" 17,97-151
成光秀(1975), <國語 代名詞에 대하여>, "語文論集" 16,101-118.
성광수(1988), <한국어 문법의 내용과 설명>, "말" 13, 53-78.
신지연(1993), <口語에서의 指示語의 用法에 대하여; '그러-, 이러-, 저러-'를 中心으로>, "서울大語學硏究"29
신현숙(1989), <담화 대용 표지의 의미 연구>, "國語學" 19, 427-451.
양동휘(1980), <기능적 대용화론>, "한글" 170, 49-99.
梁東暉(1981), <無形代用化論 序說>, "언어" 6-1, 39-55.
양동위(1989), <영어와 한국어의 대명적 표현 비료 여구>, "한글" 204, 164-215.
우형식(1986), <국어 대용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혜경(1993), <교과서의 변천과정과 지시어의 분석연구:국민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이기동, <意味論 序說:沈在箕 外著'書評'>, "서울大語學硏究"22
李基文(1978), <國語의 人稱代名詞>, "冠岳語文硏究" 3, 325-338.
이승후(1991), <指示語 '이, 그, 저'의 意味 연구>, 명지대 석사논문
이정희(1995), <한국어와 일본어 지시어 구조>, 한남대 석사논문
張京姬(1980), <지시어 '이, 그, 저'의 意味 硏究>, "語學硏究" 16-2, 167-183.
장경희(1989), <지시사 '이, 그, 저'의 범주 지시>, "人文論叢" 17
(漢陽大學校 人文科學大學校), 5-26.
張奭進(1976), <對話의 分析:情報와 照應>, "應用言語學" 8-2, 105-121.
정무주(1991), <指示表現의 話用的 意味分析>, 경북대 박사논문
崔尙鎭(1990), <國語指示語의 距離 視點>, "국어국문학"104
韓國語學硏究會, 韓國語學新硏究, 서울:翰信文化社, 1990
洪淳性(1986), <國語代名詞의 照應現象에 關한 硏究>, 嶺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高永根, 國語文法의 硏究, 서울:塔出版社, 1983.
고영근 남기심, 국어의 통사 의미론, 서울:탑출판사, 1983.
高永根, 國語學硏究史, 서울:學硏社, 1985.
金承然, 國語語順硏究, 서울:한신문화사, 1988
金敏洙, 國語文法論, 서울:一潮閣, 1971
金敏洙, 新國語學史(改訂版), 서울:一潮閣, 1980.
金敏洙, 國語意味論, 서울:一潮閣, 1981.
金敏洙, 新國語學(改訂版), 서울:一潮閣, 1983.
김석득, 우리말 연구사, 서울:정음 문화사, 1983.
김영희, 한국어 통사론의 모색, 서울:탑출판사, 1988.
金宗澤, 國語話用論, 서울 大邱:螢雪出版社, 1982.
南廣 , 國語學論文集, 서울:一潮閣, 1974.
南廣 , 現代 國語學文의 諸問題(改訂版), 서울:一潮閣, 1979.
南基心 外, 現代國語文法, 大邱:啓明大學校 出版部, 1975.
남기심 고영근, 표준 국어 문법론, 서울:塔出版社, 1985.
都守熙, 國語 代用語의 硏究, 서울:塔出版社, 1987.
朴炳采 外, 新國語學槪論, 서울 大邱:螢雪出版社, 1980.
朴勝允, 機能文法論, 서울:翰信文化社, 1990.
朴榮順, 韓國語統辭論, 서울:集文堂, 1985.
朴英煥, 指示語의 意味 機能, 대전:한남대학교 출판부, 1991
송병학, 현대 국어의 분석, 서울:한신 문화사, 1984.
沈在箕, 國語語彙論, 서울:集文堂, 1982.
沈在箕 外, 意味論序說, 서울:集文堂, 1984.
李奎浩, 말의 힘, 서울:제일출판사, 1968
이기문, 國語史槪說, 서울:民衆書館, 1972.
李翊燮 任洪彬, 國語文法論, 서울:學硏社, 1983.
李益煥, 意味論槪論, 서울:翰信文化社, 1985.
李廷玟 외 2인, 意味論序說, 서울:집문당, 1984
任洪彬, 國語의 再歸詞硏究, 서울:신구문화사, 1987
張京姬, 現代國語의 樣態帆柱硏究, 서울:塔出版社, 1985.
張奭鎭, 話用論硏究, 서울:塔出版社, 1985.
정렬모, 신편 고등 문법, 서울:한글 문화사, 1946.
周時經, 國語文法, 京城:博文書館, 1910.
최현배 外, 國語意味論, 서울:開文社, 1986.
洪思滿, 國語語彙意味硏究, 서울 大邱:學文社,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