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 례
Ⅰ. 해외경제동향.................................................... 2
1. 주요국 경제...................................................... 2
2. 국제금융 시장.................................................. 3
3. 국제유가 및 원자재가격................................ 5
Ⅱ. 국내경제동향............................................. 6
1. 국내 경제 종합지표......................................... 8
2. 수요 및 산업 활동........................................... 8
3. 고용...................................................................... 11
4. 물가 및 부동산 가격....................................... 12
5. 대외 거래........................................................... 14
Ⅲ. 향후 전망.................................................. 16
1. 경제 전망........................................................... 16
* 참고 문헌...................................................... 17
Ⅰ. 해외경제동향.................................................... 2
1. 주요국 경제...................................................... 2
2. 국제금융 시장.................................................. 3
3. 국제유가 및 원자재가격................................ 5
Ⅱ. 국내경제동향............................................. 6
1. 국내 경제 종합지표......................................... 8
2. 수요 및 산업 활동........................................... 8
3. 고용...................................................................... 11
4. 물가 및 부동산 가격....................................... 12
5. 대외 거래........................................................... 14
Ⅲ. 향후 전망.................................................. 16
1. 경제 전망........................................................... 16
* 참고 문헌...................................................... 17
본문내용
오름세 지속
아파트 매매 및 전세가격
(전월대비, %)
2004.8월
2005.5월
6월
7월
8월
아파트 매매가격
-0.3
0.8
1.2
1.1
0.5
<서울및수도권>
-0.6
1.0
2.0
1.7
0.4
서 울
-0.6
1.0
2.2
1.9
0.4
(강북)
(-0.3)
(0.3)
(0.1)
(0.9)
(0.8)
(강남)
(-0.8)
(1.5)
(3.7)
(2.6)
(0.2)
분 당
-0.7
6.3
6.3
3.8
-0.6
용 인
-0.7
4.3
8.1
3.4
0.3
아파트 전세가격
-0.9
0.4
0.4
0.3
0.4
<서울및수도권>
-1.3
0.4
0.6
0.5
0.6
서 울
-1.1
0.1
0.4
0.3
0.7
자료 : 국민은행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5. 대외거래
1) 수출(통관기준) : 8월중 호조
(1) 8월중 수출은 235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8.8% 증가하여 금년 들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7월 10.9%)
― 기계류, 반도체, 석유제품 등이 높은 증가세 지속
― 일평균 수출액은 9.8억달러로 전월(9.9억달러)과 비슷한 수준
품목별 및 지역별 수출
(전년동기대비, %)
2004년중
2004.8월
2005.1/4
2/4
6월
7월
8월
총 수 출 액
2,538.4
198.0
668.1
697.5
237.4
232.9
235.2
(31.0)
(28.8)
(12.7)
(9.0)
(9.6)
(10.9)
(18.8)
품
목
별
IT 증감률
30.2
21.1
5.3
-0.8
1.1
5.5
‥
반도체
35.7
30.3
20.1
7.7
11.4
19.0
‥
무선통신기기
39.8
28.0
15.5
-3.3
-6.9
-14.5
‥
컴퓨터
11.6
-3.7
-29.1
-30.1
-29.2
-17.8
‥
IT이외 증감률
31.3
32.7
16.0
13.5
13.4
13.2
‥
자동차
39.6
53.4
29.4
21.8
19.8
26.5
‥
화공품
39.0
53.8
43.1
28.6
31.9
13.5
‥
기계류
31.7
25.8
21.8
18.1
18.7
15.1
‥
지
역
별
미 국
25.2
34.2
10.7
-12.6
-20.1
-9.6
‥
일 본
25.6
23.6
9.4
12.8
19.2
6.6
‥
E U
40.2
54.8
19.9
12.3
4.3
12.4
‥
중 국
41.7
33.2
23.6
23.6
32.2
19.6
‥
동 남 아
23.9
22.7
-6.4
-2.5
5.9
12.1
‥
주 : 통관기준, 금액은 억달러
자료 : 관세청
2) 수입(통관기준) : 높은 증가
(1) 8월중 수입은 218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0.5% 증가(7월 16.8%)를 보였다.
― 유가 상승으로 원자재의 증가세가 확대
품목별 수입
(전년동기대비, %)
2004년중
2004.8월
2005.1/4
2/4
6월
7월
8월
총 수 입 액
2,244.6
181.2
605.3
635.4
212.0
214.9
218.5
(25.5)
(33.8)
(14.6)
(15.0)
(14.3)
(16.8)
(20.5)
원 자 재
31.7
44.2
25.7
25.6
20.2
24.7
‥
(원 유)
29.6
75.6
40.8
43.4
39.2
52.5
‥
(철강금속)
55.9
44.3
42.6
29.9
32.0
11.7
‥
자 본 재
22.2
32.2
9.6
7.5
9.1
10.6
‥
(기계류)
28.4
45.5
13.5
12.0
7.5
3.5
‥
(반도체)
10.7
13.4
2.8
1.4
1.1
3.7
‥
.
소 비 재
12.3
10.1
-12.2
-4.7
5.3
3.5
‥
(금 제외)
11.0
16.6
10.2
11.4
9.7
6.9
‥
주 : 통관기준, 금액은 억달러
자료 : 관세청
3) 경상수지 : 7월중 14억달러 흑자 기록
(1) 전월(23억달러)보다 흑자규모가 축소됐다.
(2) 8월에도 상품수지 흑자 축소 및 서비스수지 적자 확대로 흑자규모가 줄어들겠으나 당분간 흑자기조는 이어질 전망이다.
경상수지
(억달러)
2004년중
2004.7월
2005.4월
5월
6월
7월
경상수지
276.1
32.5
-9.8
14.4
23.0
13.7
상품수지
381.6
42.9
23.3
26.1
37.0
31.1
서비스수지
-87.7
-8.9
-9.1
-11.0
-10.7
-15.0
(여행수지)
-62.7
-6.4
-7.0
-8.2
-8.6
-9.9
소득수지
7.2
0.1
-21.4
1.6
-1.2
-0.6
경상이전수지
-25.0
-1.6
-2.6
-2.4
-2.2
-1.9
(3) 상품수지는 수출이 호조를 보였으나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선박 수출 통관. 인도 조정이 흑자 축소요인으로 작용하여 흑자 폭이 전월보다 10.3억달러 축소된 13.7억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4) 서비스수지는 해외여행경비 지급(사상 최고인 15.9억달러, 28.6%), 특허권사용료 지급 증가 등 계절적 요인으로 전월보다 4.3억달러 확대된 15.0억달러 적자 기록하였다.
(5) 소득수지는 대외이자수입 증가로 적자폭이 전월보다 0.3억달러 축소되었다.
Ⅲ. 향후전망
1. 경제 전망
1) 최근 국내경기는 경기회복이 점차 가시화되는 모습
① 건설투자가 다소 주춤한 것을 제외하고는 소비 회복세가 확대되고 설비투자가 증가로 돌아선 데다 수출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② 생산면에서도 제조업과 서비스업생산 모두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다.
⇒ 현재로서는 유가상승 및 부동산정책 시행 등을 감안하더라도 하반기에는 경기가 한국은행의 월 전망(4.5% 성장)과 비슷한 회복경로를 따라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유가의 상승세가 예상 외로 장기화될 경우 부동산정책의 영향과 맞물려 성장의 하방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2) 소비자물가는 유가상승에도 불구하고 농산물, 공공요금, 개인서비스요금 등 대부분 품목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요 면에서의 상승압력이 미약하여 앞으로도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영향 등 수급불균형으로 국제유가의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미국 경제를 비롯한 세계 경제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으며, 금번 8·31 부동산정책도 단기적으로는 건설투자 및 소비에 다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아파트 매매 및 전세가격
(전월대비, %)
2004.8월
2005.5월
6월
7월
8월
아파트 매매가격
-0.3
0.8
1.2
1.1
0.5
<서울및수도권>
-0.6
1.0
2.0
1.7
0.4
서 울
-0.6
1.0
2.2
1.9
0.4
(강북)
(-0.3)
(0.3)
(0.1)
(0.9)
(0.8)
(강남)
(-0.8)
(1.5)
(3.7)
(2.6)
(0.2)
분 당
-0.7
6.3
6.3
3.8
-0.6
용 인
-0.7
4.3
8.1
3.4
0.3
아파트 전세가격
-0.9
0.4
0.4
0.3
0.4
<서울및수도권>
-1.3
0.4
0.6
0.5
0.6
서 울
-1.1
0.1
0.4
0.3
0.7
자료 : 국민은행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5. 대외거래
1) 수출(통관기준) : 8월중 호조
(1) 8월중 수출은 235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8.8% 증가하여 금년 들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7월 10.9%)
― 기계류, 반도체, 석유제품 등이 높은 증가세 지속
― 일평균 수출액은 9.8억달러로 전월(9.9억달러)과 비슷한 수준
품목별 및 지역별 수출
(전년동기대비, %)
2004년중
2004.8월
2005.1/4
2/4
6월
7월
8월
총 수 출 액
2,538.4
198.0
668.1
697.5
237.4
232.9
235.2
(31.0)
(28.8)
(12.7)
(9.0)
(9.6)
(10.9)
(18.8)
품
목
별
IT 증감률
30.2
21.1
5.3
-0.8
1.1
5.5
‥
반도체
35.7
30.3
20.1
7.7
11.4
19.0
‥
무선통신기기
39.8
28.0
15.5
-3.3
-6.9
-14.5
‥
컴퓨터
11.6
-3.7
-29.1
-30.1
-29.2
-17.8
‥
IT이외 증감률
31.3
32.7
16.0
13.5
13.4
13.2
‥
자동차
39.6
53.4
29.4
21.8
19.8
26.5
‥
화공품
39.0
53.8
43.1
28.6
31.9
13.5
‥
기계류
31.7
25.8
21.8
18.1
18.7
15.1
‥
지
역
별
미 국
25.2
34.2
10.7
-12.6
-20.1
-9.6
‥
일 본
25.6
23.6
9.4
12.8
19.2
6.6
‥
E U
40.2
54.8
19.9
12.3
4.3
12.4
‥
중 국
41.7
33.2
23.6
23.6
32.2
19.6
‥
동 남 아
23.9
22.7
-6.4
-2.5
5.9
12.1
‥
주 : 통관기준, 금액은 억달러
자료 : 관세청
2) 수입(통관기준) : 높은 증가
(1) 8월중 수입은 218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0.5% 증가(7월 16.8%)를 보였다.
― 유가 상승으로 원자재의 증가세가 확대
품목별 수입
(전년동기대비, %)
2004년중
2004.8월
2005.1/4
2/4
6월
7월
8월
총 수 입 액
2,244.6
181.2
605.3
635.4
212.0
214.9
218.5
(25.5)
(33.8)
(14.6)
(15.0)
(14.3)
(16.8)
(20.5)
원 자 재
31.7
44.2
25.7
25.6
20.2
24.7
‥
(원 유)
29.6
75.6
40.8
43.4
39.2
52.5
‥
(철강금속)
55.9
44.3
42.6
29.9
32.0
11.7
‥
자 본 재
22.2
32.2
9.6
7.5
9.1
10.6
‥
(기계류)
28.4
45.5
13.5
12.0
7.5
3.5
‥
(반도체)
10.7
13.4
2.8
1.4
1.1
3.7
‥
.
소 비 재
12.3
10.1
-12.2
-4.7
5.3
3.5
‥
(금 제외)
11.0
16.6
10.2
11.4
9.7
6.9
‥
주 : 통관기준, 금액은 억달러
자료 : 관세청
3) 경상수지 : 7월중 14억달러 흑자 기록
(1) 전월(23억달러)보다 흑자규모가 축소됐다.
(2) 8월에도 상품수지 흑자 축소 및 서비스수지 적자 확대로 흑자규모가 줄어들겠으나 당분간 흑자기조는 이어질 전망이다.
경상수지
(억달러)
2004년중
2004.7월
2005.4월
5월
6월
7월
경상수지
276.1
32.5
-9.8
14.4
23.0
13.7
상품수지
381.6
42.9
23.3
26.1
37.0
31.1
서비스수지
-87.7
-8.9
-9.1
-11.0
-10.7
-15.0
(여행수지)
-62.7
-6.4
-7.0
-8.2
-8.6
-9.9
소득수지
7.2
0.1
-21.4
1.6
-1.2
-0.6
경상이전수지
-25.0
-1.6
-2.6
-2.4
-2.2
-1.9
(3) 상품수지는 수출이 호조를 보였으나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선박 수출 통관. 인도 조정이 흑자 축소요인으로 작용하여 흑자 폭이 전월보다 10.3억달러 축소된 13.7억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4) 서비스수지는 해외여행경비 지급(사상 최고인 15.9억달러, 28.6%), 특허권사용료 지급 증가 등 계절적 요인으로 전월보다 4.3억달러 확대된 15.0억달러 적자 기록하였다.
(5) 소득수지는 대외이자수입 증가로 적자폭이 전월보다 0.3억달러 축소되었다.
Ⅲ. 향후전망
1. 경제 전망
1) 최근 국내경기는 경기회복이 점차 가시화되는 모습
① 건설투자가 다소 주춤한 것을 제외하고는 소비 회복세가 확대되고 설비투자가 증가로 돌아선 데다 수출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② 생산면에서도 제조업과 서비스업생산 모두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다.
⇒ 현재로서는 유가상승 및 부동산정책 시행 등을 감안하더라도 하반기에는 경기가 한국은행의 월 전망(4.5% 성장)과 비슷한 회복경로를 따라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유가의 상승세가 예상 외로 장기화될 경우 부동산정책의 영향과 맞물려 성장의 하방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2) 소비자물가는 유가상승에도 불구하고 농산물, 공공요금, 개인서비스요금 등 대부분 품목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요 면에서의 상승압력이 미약하여 앞으로도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영향 등 수급불균형으로 국제유가의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미국 경제를 비롯한 세계 경제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으며, 금번 8·31 부동산정책도 단기적으로는 건설투자 및 소비에 다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추천자료
(한국경제) 21세기 한국의 경제를 전망과 과제
한국의 최근의 경제동향과 앞으로의 한국경제의 전망
미국경제 전망과 한.미 통상관계
세계경제의 전망과 우리의 대응
중국 경제의 전망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일본경제의 전망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국제 경제]동유럽제국의 EU 가입 후 경제 전망
동북아시아경제의 전망
한국은행 역할,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한국은행 RP매입 대상채권 담보인정비율 조정, 한국...
일본 거시경제 전망 및 최근 이슈 정리 보고서
2008년 경제 현황 및 2009년 경제 전망
[이스라엘경제]이스라엘경제분석과 전망 보고서
[이스라엘경제]이스라엘경제분석과 전망 PPT자료
[방통대국제경제환경론] 국제경제환경론 한·미 FTA와 한·중 FTA 비교, ·논평,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