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종류
Ⅰ.열에 의한 화상
1. 화상의 깊이
2. 화상의 넓이
3. 화상의 응급처치-화상의 피부손상정도에 따른
4. 화상의 등급에 따른 치료
5. 화상 후 쇼크 치료
6. 화상상처 치료
7. 화상의 후유증 및 2차 수술
8. 피부이식수술
Ⅱ.전기에 의한 화상(electric burn)
Ⅲ.화학 약품에 의한 화상(chemical burn)
Ⅳ.번개에 의한 손상(Lightening injury)
Ⅴ.흡인성 손상(Inhalation burn)
2. 종류
Ⅰ.열에 의한 화상
1. 화상의 깊이
2. 화상의 넓이
3. 화상의 응급처치-화상의 피부손상정도에 따른
4. 화상의 등급에 따른 치료
5. 화상 후 쇼크 치료
6. 화상상처 치료
7. 화상의 후유증 및 2차 수술
8. 피부이식수술
Ⅱ.전기에 의한 화상(electric burn)
Ⅲ.화학 약품에 의한 화상(chemical burn)
Ⅳ.번개에 의한 손상(Lightening injury)
Ⅴ.흡인성 손상(Inhalation burn)
본문내용
나무 손잡이가 달린 연장 또는 나뭇가지를 가지고도 치우려고 하면 안 된다. 습기가 있는 물건은 물론 금속 물체인 경우에도 절대로 사용해선 안 된다. 이는 전압이 상상할 수도 없게 높아 이러한 것들을 통해 전기가 통하고 구조자가 감전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압전기용 장비를 갖춘 전문가가 아니라면 늘어진 전선을 절대로 건드려서는 안 된다. 해당정비를 갖춘 전문가가 와서 전선을 절단하거나 전선을 떼어낼 때까지 기다리고 주위사람들이 사고현장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전기에 의한 화상 시 상처
접촉화상(contact burn): 가장 일반적 형태로 접촉 시 전류가 아주 강렬하여 상처를 남기게 된다. 이 상처의 특징은 과녁의 중심점과 같은 특징적인 형태를 띄게 되는데 검게 탄 3도 화상이 있고 그 둘레는 회색의 차고 축축한 조직이 되고 가장 바깥쪽은 붉게 응고된 괴사부위가 생긴다.
섬광화상(flash burn): 신체 말단의 전기적 섬광이 가까이 할 때 생긴다.
궁형손상(arching burn): 전류의 도약전도로 인해 피부표면에 군데군데 점프하듯이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한다.
Ⅲ.화학 약품에 의한 화상(chemical burn)
화학 약품에 의한 화상은 부식성 약품이 피부에 닿아 생긴다. 이는 약물이 피부에 닿아있는 한 화상이 계속 진행되므로 가능하면 빨리 제거해야 한다. 중화제를 사용해야 하는 특정약품을 제외하고는 화학 약물에 의한 화상은 동일한 응급처치를 한다. 알칼리 계통의 화학약품은 더 깊숙이 스며들기 때문에 산 계통의 약품보다 더 위험하고 강산은 저농도액이 고농도 액보다 더 깊이 조직을 상하게 할 수 있다. 산에 의한 화상은 희게 알칼리에 의한 화상은 검게 나타난다.
치료 - 흐르는 물로 화학약품을 즉시 제거한다. 분말은 충분히 털어 내고 충분한 양의 물로 세척해야 한다. 화상 부위를 마른 소독 드레싱으로 덮거나 화상부위가 넓다면 깨끗한 수건 등으로 감싼다. 즉시 의사에게 보인다.
높은 수압의 물로 씻지 않는다. - 약품을 조직 안으로 깊이 밀어 넣게 된다.
절대 중화를 시키지 않는다. - 중화제를 사용하면 열이 발생하여 상처가 심해질 수 있다.
Ⅳ.번개에 의한 손상(Lightening injury)
고압전류에 감전된 환자보다도 훨씬 강한 전류손상을 받게 되므로 체내 여러 기관이 동시에 손상을 입게 된다. 가장 위급한 문제는 호흡장애로서 이는 대개 중추신경계손상 및 심실세동, 무맥과 같은 심정지를 초래한다. 그 외 전류 통과 시 강력한 근육수축을 일으켜 골절이나 탈구 및 낙상 등 또 다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강력한 근수축으로 인하여 척추손상도 자주 일어나며 번개손상 후 초기에는 부종, 근마비, 내출혈도 빈번히 일어난다.
응급처치는 우선 사고 현장을 신속히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따져 치료한다.(호흡이 없는 환자) 번개 손상환자는 강한 근수축으로 인한 경추손상이 자주 발생하므로 절대로 목을 과신전시키지 않는다. 머리를 중립자세로 유지하고 하악견인법으로 기도를 유지한다.
호흡이 멈춘 환자는 인공호흡을 실시하며 가능한 한 신속히 산소를 투여한다.
빨리 병원으로 이송한다. 대출혈 시 지혈시킨다.
번개에 의한 손상을 예방하려면 들판과 같은 넓은 장소에서 천둥번개를 만났을 때 절대로 달리지 말고 즉시 땅에 엎드린다. 땅에서 돌출 된 물체, 즉 나무, 전신주 또는 고층빌딩 옆에서 되도록 멀리 있게 한다. 낚싯대, 골프클럽과 같은 금속물체를 지니지 말고 비 오는 날에는 연을 날리지 말며 차안에서는 차창을 꼭 닫도록 해야한다.
Ⅴ.흡인성 손상(Inhalation burn)
화재에 의한 사망의 반수는 연무 흡입에 의하여 발생된다. 연무 흡입에 의한 손상은 모든 화상면적에 대한 사망률을 두 배로 증가시킨다. 일산화탄소 중독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치료는 고농도 산소공급이나 고압산소요법을 실시한다. 질식이 사망의 또 다른 원인인데, 화재 시 저 산소 또는 과 이산화탄소의 환경에서 정신을 잃게 된다. 연무 흡입에 의한 열손상은 흔하지 않지만, 상기도 화상으로 인한 후두의 부종이 발생되어 호흡기능을 상실할 수 있기 대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조기에 기관삽관이 필요하다.
연무 흡입에 대한 진단은 화재 시 밀폐된 공간에 갇혀 있었는지의 병력이 중요하고, 안면화상, 구강내나 인후 화상, 코털의 그을림, 구강 내나 비강내의 그을림, 쉰목소리, 탄소가 섞인 가래, 호기시의 천명 등이 있으면 의심하도록 한다. 폐 손상의 증후는 독가스에 노출된 후 12시간에서 24시간 이후에 나타난다.
고압전기용 장비를 갖춘 전문가가 아니라면 늘어진 전선을 절대로 건드려서는 안 된다. 해당정비를 갖춘 전문가가 와서 전선을 절단하거나 전선을 떼어낼 때까지 기다리고 주위사람들이 사고현장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전기에 의한 화상 시 상처
접촉화상(contact burn): 가장 일반적 형태로 접촉 시 전류가 아주 강렬하여 상처를 남기게 된다. 이 상처의 특징은 과녁의 중심점과 같은 특징적인 형태를 띄게 되는데 검게 탄 3도 화상이 있고 그 둘레는 회색의 차고 축축한 조직이 되고 가장 바깥쪽은 붉게 응고된 괴사부위가 생긴다.
섬광화상(flash burn): 신체 말단의 전기적 섬광이 가까이 할 때 생긴다.
궁형손상(arching burn): 전류의 도약전도로 인해 피부표면에 군데군데 점프하듯이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한다.
Ⅲ.화학 약품에 의한 화상(chemical burn)
화학 약품에 의한 화상은 부식성 약품이 피부에 닿아 생긴다. 이는 약물이 피부에 닿아있는 한 화상이 계속 진행되므로 가능하면 빨리 제거해야 한다. 중화제를 사용해야 하는 특정약품을 제외하고는 화학 약물에 의한 화상은 동일한 응급처치를 한다. 알칼리 계통의 화학약품은 더 깊숙이 스며들기 때문에 산 계통의 약품보다 더 위험하고 강산은 저농도액이 고농도 액보다 더 깊이 조직을 상하게 할 수 있다. 산에 의한 화상은 희게 알칼리에 의한 화상은 검게 나타난다.
치료 - 흐르는 물로 화학약품을 즉시 제거한다. 분말은 충분히 털어 내고 충분한 양의 물로 세척해야 한다. 화상 부위를 마른 소독 드레싱으로 덮거나 화상부위가 넓다면 깨끗한 수건 등으로 감싼다. 즉시 의사에게 보인다.
높은 수압의 물로 씻지 않는다. - 약품을 조직 안으로 깊이 밀어 넣게 된다.
절대 중화를 시키지 않는다. - 중화제를 사용하면 열이 발생하여 상처가 심해질 수 있다.
Ⅳ.번개에 의한 손상(Lightening injury)
고압전류에 감전된 환자보다도 훨씬 강한 전류손상을 받게 되므로 체내 여러 기관이 동시에 손상을 입게 된다. 가장 위급한 문제는 호흡장애로서 이는 대개 중추신경계손상 및 심실세동, 무맥과 같은 심정지를 초래한다. 그 외 전류 통과 시 강력한 근육수축을 일으켜 골절이나 탈구 및 낙상 등 또 다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강력한 근수축으로 인하여 척추손상도 자주 일어나며 번개손상 후 초기에는 부종, 근마비, 내출혈도 빈번히 일어난다.
응급처치는 우선 사고 현장을 신속히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따져 치료한다.(호흡이 없는 환자) 번개 손상환자는 강한 근수축으로 인한 경추손상이 자주 발생하므로 절대로 목을 과신전시키지 않는다. 머리를 중립자세로 유지하고 하악견인법으로 기도를 유지한다.
호흡이 멈춘 환자는 인공호흡을 실시하며 가능한 한 신속히 산소를 투여한다.
빨리 병원으로 이송한다. 대출혈 시 지혈시킨다.
번개에 의한 손상을 예방하려면 들판과 같은 넓은 장소에서 천둥번개를 만났을 때 절대로 달리지 말고 즉시 땅에 엎드린다. 땅에서 돌출 된 물체, 즉 나무, 전신주 또는 고층빌딩 옆에서 되도록 멀리 있게 한다. 낚싯대, 골프클럽과 같은 금속물체를 지니지 말고 비 오는 날에는 연을 날리지 말며 차안에서는 차창을 꼭 닫도록 해야한다.
Ⅴ.흡인성 손상(Inhalation burn)
화재에 의한 사망의 반수는 연무 흡입에 의하여 발생된다. 연무 흡입에 의한 손상은 모든 화상면적에 대한 사망률을 두 배로 증가시킨다. 일산화탄소 중독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치료는 고농도 산소공급이나 고압산소요법을 실시한다. 질식이 사망의 또 다른 원인인데, 화재 시 저 산소 또는 과 이산화탄소의 환경에서 정신을 잃게 된다. 연무 흡입에 의한 열손상은 흔하지 않지만, 상기도 화상으로 인한 후두의 부종이 발생되어 호흡기능을 상실할 수 있기 대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조기에 기관삽관이 필요하다.
연무 흡입에 대한 진단은 화재 시 밀폐된 공간에 갇혀 있었는지의 병력이 중요하고, 안면화상, 구강내나 인후 화상, 코털의 그을림, 구강 내나 비강내의 그을림, 쉰목소리, 탄소가 섞인 가래, 호기시의 천명 등이 있으면 의심하도록 한다. 폐 손상의 증후는 독가스에 노출된 후 12시간에서 24시간 이후에 나타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