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에서의 burn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상에서의 bur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BURN의 정의와 분류

BURN의 병태생리

BURN의 치료와 간호

BURN의 치료제제

본문내용

치유용 피부세포 치료제
- 세포가 잘 성장하고 감염 가능성이 없는 한국 유아의 표피에서 얻은 피부세포를 배양
- 특징
* 성장인자(growth factor) 및 싸이토카인(cytokines)이 분비되어 상처부위에 남아 있는 표피나 모낭으로부터 keratinocyte가 성장하는 것을 촉진
* 상처의 탈수, 감염 방지
* 습도 유지
* Alloderm
- 사체에서 공여된 인체피부조직애소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표피 진피세포들을 제거하여 가 공된 동결 건조 진피 조직으로서 기존 진피조직의 3차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은 무세포 진피층이다.
- 후유증인 반흔 구축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 GPS (Glycerol Preserved Skin for biological wound dressing)
- 효과
· 이식편 적용 후 통증 현저히 경감
· 부착 초기에는 가피와 같이 매우 안정하게 부착되어 있으면서 이식편이 부착된 부위에 서는 재상피화가 촉진되어 매우 빠르게 표피가 형성되기 시작
· 재상피화의 진행에 따라 부착된 이식편의 부착력도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 사용범위
· 화상 또는 만성 질환으로 인한 피부손상부위의 치료
· 피부 손상부의 감염 예방
· 부분층 자가피부 식피술 이전까지의 일시적인 상처부위 보호
· 자가피부 식피 후의 외부 드레싱
Silicon bed
1500mmHg 압력의 Air Blower motor로 분사되어 38℃로 데워진 마른공기가 Diffuser Board를 통해 silicon 가루가 (50~150micron) 떠오르게 하여 19~20mmHg 적은 압력이 발생되는 Fiter Sheet 위에 환자가 누워 치료를 받게 구성되어 있는 치료용 침대이다.
* 장점
- 깊은 상처의 화상, 외상, 욕창의 환자에게 적용
- 환자의 빠른 치유와 회복으로 비용절감의 효과
- 환자에게 물리적 외압이 없어 안위 증진
- 상처부위의 오염이나 감염을 예방
* 단점
- 호흡이 불안정한 환자는 사용하기 어려움
- 환자를 이동시킬 때 어려움 (높낮이 가능한 이동침대 필요)
- 응급사항이 발생할 시 대처가 어려움
- 주의깊은 관리를 요함.
HBOT 고압산소요법
(hyperbaaric oxygen therapy)
인위적으로 대기압보다 높은 기압환경을 만들어 그 속에서 환자로 하여금 고농도 산소를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 흡인하게 함으로써 여러 가지원인에 의한 저산소증을 신속하게 개선하고자 하는 산소요법의 한가지 방법이다.
- 하루 30분씩 14일간 시행함.
- 시행 전 환자의 과거력 확인, 호흡법 설명, 주의깊게 관찰
- 담당자 옆에 꼭 있어야 함.
- 시술 후 탱크 청소 및 소독
* 고압산소요법의 대상
일반적으로 혈중 COHb가 25% 또는 그 이상일 경우에 HBOT의 대상이 된다.
* 고압산소요법의 임상적 적용
방사선 괴사 조직괴사
감압병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감염)
일산화탄소 중독증(급성) Cyanide 중독(급성)
가스괴저 피부 이식술
가스색전증 뇌부종(급성)
골수염(불응성) 열상
외상성 허혈 동반 좌상 대량 출혈에 의한 빈혈
불응성 진균감염증
* 고압산소요법의 합병증
- 감압병 (decompression sickness)
- 산소중독
- 압력손상 (barotrauma)
피 부 재 활
외과적 치료의 추후요법으로서 장애피부를 개선하여 기능을 회복하고, 추형을 최대한으로 경감시켜 주는 것이다.
현재 화상센터에서 치료가 끝나고 재활단계에서 처방하에 피부재활실에서 시행한다.
* 목적
- 피부재생을 촉진시켜 예민한 피부는 보다 빠른 시일 내에 회복
- 소양증 및 따끔거림 완화
- 비후성 반흔, 색소침착 예방
* 효과
- 색 : 색소의 쇠퇴 (색소침착의 최소화)
- 질감 : 피부결의 개선, 건조 정도의 경감
- 형상 : 주름감소, 부어오름 경감
- 기능 : 당김경감, 성장장애 경감
- 지각(감각) : 지각회복 촉진
- 구축(관절장애) : 수술 후 3~4주 시작, 6개월에 최고를 이루고, 켈로이드 체질일 경우에는 구축의 정도가 빨리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축 등을 경감
* 단점
- 너무 고가이며 현재 보험적용이 안되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 피부재활시 주의할 음식
떡살 예방 - 고섬유질 상처회복 - 고단백
육류 ; 돼지고기, 닭고기, 개고기, 사골(육수 포함), 쇠고기 등.
어류 ; 등푸른 생선(고등어, 참치, 꽁치), 붉은 생선(참치회) 등.
어패류 ; 각종 젓갈류, 새우, 홍어(삭힌 것) 등.
약류 ; 각종 성장 비타민, 한약(보약), 양약 등.
유제류 ; 치즈, 버터, 마아가린 등.
기름진 음식 ; 각종 튀김류(핫도그, 팝콘), 햄버거, 피자, 통닭 등.
기타 ; 술, 담배, 자극적인 음식(매운 음식), 바나나, 초콜릿, 소세지, 커피, 라면 등.
⇒ 화상으로 인한 색소침착, 가려움증과 붉은증, 비후성반흔, 떡살, 켈로이드, 피지의 예방을 위함.
Garment (압박옷) = jobster
- 물리적인 힘으로 흉터를 눌러주는 방법으로 고안된 옷
- 화상, 교통사고, 각종 외과적수술 뒤 피부조직의 이상발달로 인해 튀어올라오는 피부의 뒤 틀림과 수축, 울퉁불퉁한 모습의 흉터 예방 등을 위해 착용한다. 또한 외과적 수술 없이 입 히기만 하면 튀어오르는 돌출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하루에 20시간 이상씩 꾸준히 입어줘야 하는 어려움과 특히 계절에 따른 착용상 문제가 많고, 입고 벗는 데 불편해 꾸준히 착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인정되어 있음.
- 신체부위마다 디자인이 다르고 고가이므로 경제력이 요구된다.
입원
수액요법
창상처치
수술요법
고압산소요법
실리콘베드
피부재활
물리치료
Garment
퇴원
입원에서 퇴원까지
- 중환자실, 병동, 처치실, 피부재활실과의 긴밀하고 체계적인 간호 team work 이 매우 중요하다.
화상은 치료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하였지만 치료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경제적으로 부담이 많이 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앞으로 화상 흉터 조절과 기능 유지를 포함한 치료시간의 단축, 흉하지 않은 자연적인 모습 복원에 대한 앞으로의 도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가격2,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1.13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