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백산맥에 대한 나에 감상
2. 태박산맥의 줄거리
3. 글을 마치며
2. 태박산맥의 줄거리
3. 글을 마치며
본문내용
서도 염상진 등은 다시 입산하게 된다. 이때 많은 농민, 곧 소작인들이 염상진을 따라 입산하고 있다.
제4부 전쟁과 분단 (8권~10권)
제4부는 1950년 12월부터 1953년 7월 휴전 협정 직후까지의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이 소설의 대미에 해당하는 지리산의 빨치산 투쟁이 이야기의 중심을 이룬다. 소설적 공간이 다시 벌교와 지리산 지역으로 고정된다. 6.25전쟁은 유엔군의 참전과 중국의 개입으로 교착 상태에 빠지고, 전선은 38선 부근에서 대치 상태가 지속된다. 퇴로가 막힌 인민군과 빨치산 세력이 지리산 일대에 근거지를 두고 무장 투쟁을 게속한다.그러나 군경의 진압 작전에 따라 이들의 투쟁은 점차 무력해진다. 특히 박현영 등 남로당 계열이 전쟁의 실패와 함께 숙청되었다는 소문이 전해지자 패배감에 빠져들지만, 역사 선택의 기로에서 항전의 결의를 가다듬는다. 그들은 자신들의 투쟁과 죽음이 역사 투쟁으로의 전환임을 인식하고 대부분 강렬한 최후를 맞는다. 한편 인민군에 입대했던 김범우는 포로가 되어 거제도 수용소에 갇힌다. 그는 뜻밖에도 거기서 제자 정하섭을 만난다.두 사람은 6.25전쟁을 민족해방전쟁이라고 믿고 있다. 이들의 눈을 통해 거제포로수용소의 실상이 속속들이 파헤져진다. 포로 석방 때에 정하섭은 북으로 가고 김범우는 반공 포로로 위장,석방되어 고향에 돌아온다. 그는 정하섭으로부터 남에 남아 거점을 구축하라는 임무를 부여받은 것이다. 지리산에 근거했던 빨치산 세력은 군경의 토벌 작전으로 모두 와해된다. 이름없는 숱한 빨치산 전사들과 함께 손승호도, 독립투사요 인민군 소장인 김범준도 토벌군의 총탄에 스러진다. 염상진이 이끄는 빨치산 부대는 군경과 수많은 전투를 하였으나 패퇴를 거듭한다.염상진은 퇴로가 막히자 부하들과 함께 수류탄으로 자폭한다. 그리고 그의 목이 벌교 읍내에 내걸린다. 염상진이 염원했던 <인민해방>은 실패로 끝나지만, 염상진을 추종했던 하대치 등이 살아남아 염상진의 무덤 앞에서 새로운 투쟁에의결의를 다지고 어둠속으로 사라져간다.
3.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태백산맥에 대한 나에 감상을 간단히 적어보았다. 이 책은 역사적 진실이라는 주제가 다소 무겁기는 하지만 상당히 재미있는 책이다. 이야기의 전개가 박진감 넘치고 활기차다. 이 책을 읽을 때 정말 밤새가면서 읽었던 것 같다. 그리고 거기에서 많은 역사적 교훈을 얻었고 진실을 알게 되었다. 태백산맥은 누구에게나 추천해주고 싶은 양서이다.
제4부 전쟁과 분단 (8권~10권)
제4부는 1950년 12월부터 1953년 7월 휴전 협정 직후까지의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이 소설의 대미에 해당하는 지리산의 빨치산 투쟁이 이야기의 중심을 이룬다. 소설적 공간이 다시 벌교와 지리산 지역으로 고정된다. 6.25전쟁은 유엔군의 참전과 중국의 개입으로 교착 상태에 빠지고, 전선은 38선 부근에서 대치 상태가 지속된다. 퇴로가 막힌 인민군과 빨치산 세력이 지리산 일대에 근거지를 두고 무장 투쟁을 게속한다.그러나 군경의 진압 작전에 따라 이들의 투쟁은 점차 무력해진다. 특히 박현영 등 남로당 계열이 전쟁의 실패와 함께 숙청되었다는 소문이 전해지자 패배감에 빠져들지만, 역사 선택의 기로에서 항전의 결의를 가다듬는다. 그들은 자신들의 투쟁과 죽음이 역사 투쟁으로의 전환임을 인식하고 대부분 강렬한 최후를 맞는다. 한편 인민군에 입대했던 김범우는 포로가 되어 거제도 수용소에 갇힌다. 그는 뜻밖에도 거기서 제자 정하섭을 만난다.두 사람은 6.25전쟁을 민족해방전쟁이라고 믿고 있다. 이들의 눈을 통해 거제포로수용소의 실상이 속속들이 파헤져진다. 포로 석방 때에 정하섭은 북으로 가고 김범우는 반공 포로로 위장,석방되어 고향에 돌아온다. 그는 정하섭으로부터 남에 남아 거점을 구축하라는 임무를 부여받은 것이다. 지리산에 근거했던 빨치산 세력은 군경의 토벌 작전으로 모두 와해된다. 이름없는 숱한 빨치산 전사들과 함께 손승호도, 독립투사요 인민군 소장인 김범준도 토벌군의 총탄에 스러진다. 염상진이 이끄는 빨치산 부대는 군경과 수많은 전투를 하였으나 패퇴를 거듭한다.염상진은 퇴로가 막히자 부하들과 함께 수류탄으로 자폭한다. 그리고 그의 목이 벌교 읍내에 내걸린다. 염상진이 염원했던 <인민해방>은 실패로 끝나지만, 염상진을 추종했던 하대치 등이 살아남아 염상진의 무덤 앞에서 새로운 투쟁에의결의를 다지고 어둠속으로 사라져간다.
3.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태백산맥에 대한 나에 감상을 간단히 적어보았다. 이 책은 역사적 진실이라는 주제가 다소 무겁기는 하지만 상당히 재미있는 책이다. 이야기의 전개가 박진감 넘치고 활기차다. 이 책을 읽을 때 정말 밤새가면서 읽었던 것 같다. 그리고 거기에서 많은 역사적 교훈을 얻었고 진실을 알게 되었다. 태백산맥은 누구에게나 추천해주고 싶은 양서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