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언어폭력 문제에 대해서
2. 방송에서 쓰이는 언어의 실태
3. 언어적 폭력의 기준은 무엇인가?
4. 방송에서의 언어폭력 사례
1) 출연자들 사이에서 상대방을 깎아내리거나 약점을 이야기하는, 모독하는 발언들...
2) 각종 프로그램에서 이야기의 핵심이 되는 ‘주제’와 ‘대화 내용’에 대해서......
3)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는 ‘자막’에 대해서......
5. 나아가야 할 방향
2. 방송에서 쓰이는 언어의 실태
3. 언어적 폭력의 기준은 무엇인가?
4. 방송에서의 언어폭력 사례
1) 출연자들 사이에서 상대방을 깎아내리거나 약점을 이야기하는, 모독하는 발언들...
2) 각종 프로그램에서 이야기의 핵심이 되는 ‘주제’와 ‘대화 내용’에 대해서......
3)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는 ‘자막’에 대해서......
5.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게 뜯어내? (MBC TV)
→ '징하게는 사투리 어형을 그대로 문자화 한 것이다.
묶어 논걸에서 논걸은 놓은 걸의 준말로 유아형 언어를 그대로 문자화 한 것이다.
* ‘자막의 사용’의 예시 3번
⇒ “연하 커플역에 캐스팅 되는 이유?, 너희들 나 인디언밥 할라 그러지?”
“이스케이프 매직 하이라이트, 일본 최고의 일루전 매직 초빙”
“촌스런 아줌마 vs 힙합 아줌마” (KBS 2TV, 9월 28일)
“굉장히 디피컬트 하거든요. 이럴수록 사이언스를 버리지 말고” (SBS TV, 10월 3일)
“Yeah~ 휘바, Say uh~, TV 앞으로 Come on Come on"
"심폐기능 저하로 Freestyle 랩 일시정지“ (MBC TV, 9월 27일)
위에 제시된 예시들은 일반 쇼오락 프로그램에서 최근에 방영된 수많은 자막들 가운데 간단히 몇 개만을 제시해 놓은 것이다. 위와 같은 사례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어느 프로그램에서든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자막에 대한 예시 1번‘에는 무분별하게 영어와 한글을 섞어놓은 자막들을 모아 놓았고, ’자막에 대한 예시 2번‘에는 올바른 국어사용법, 맞춤법에 맞지 않는 자막들을 모아놓았다. 그리고 ‘자막에 대한 예시 3번‘에는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가 힘든, 왜 이렇게 어렵게(정신 없게) 표현을 해놓았는지 알 수 없을 정도의 자막들을 모아놓았다.
이렇게 무자비하게 쓰이는 자막들은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방송의 내용을 더 잘 전달하려는 본래의 기능을 넘어서서 거의 공해 수준이다. 다르게 보면 시청자들에 대한 폭력이라고까지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에 ‘자막’이 방송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서 방송사나 시청자들 모두의 관심은 적은 것 같다. 지금은 ‘자막’도 방송에서 비중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잘못된 자막의 사용도 올바른 국어사용의 문제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깨닫고 있어야 할 것이다.
먼저, 자막에 외국어(영어)의 사용은 자제하고, 우리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우리말로 표현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글로만 이루어진 자막에 있어서는 올바른 국어의 사용법, 맞춤법에 맞게 표기하도록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반말이나 사투리의 말투도 바로 말을 자막으로 사용하지 말고 다듬어서 자막으로 표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흥미위주의, 불필요한 자막의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자막에 대해서도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 '징하게는 사투리 어형을 그대로 문자화 한 것이다.
묶어 논걸에서 논걸은 놓은 걸의 준말로 유아형 언어를 그대로 문자화 한 것이다.
* ‘자막의 사용’의 예시 3번
⇒ “연하 커플역에 캐스팅 되는 이유?, 너희들 나 인디언밥 할라 그러지?”
“이스케이프 매직 하이라이트, 일본 최고의 일루전 매직 초빙”
“촌스런 아줌마 vs 힙합 아줌마” (KBS 2TV, 9월 28일)
“굉장히 디피컬트 하거든요. 이럴수록 사이언스를 버리지 말고” (SBS TV, 10월 3일)
“Yeah~ 휘바, Say uh~, TV 앞으로 Come on Come on"
"심폐기능 저하로 Freestyle 랩 일시정지“ (MBC TV, 9월 27일)
위에 제시된 예시들은 일반 쇼오락 프로그램에서 최근에 방영된 수많은 자막들 가운데 간단히 몇 개만을 제시해 놓은 것이다. 위와 같은 사례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어느 프로그램에서든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자막에 대한 예시 1번‘에는 무분별하게 영어와 한글을 섞어놓은 자막들을 모아 놓았고, ’자막에 대한 예시 2번‘에는 올바른 국어사용법, 맞춤법에 맞지 않는 자막들을 모아놓았다. 그리고 ‘자막에 대한 예시 3번‘에는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가 힘든, 왜 이렇게 어렵게(정신 없게) 표현을 해놓았는지 알 수 없을 정도의 자막들을 모아놓았다.
이렇게 무자비하게 쓰이는 자막들은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방송의 내용을 더 잘 전달하려는 본래의 기능을 넘어서서 거의 공해 수준이다. 다르게 보면 시청자들에 대한 폭력이라고까지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에 ‘자막’이 방송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서 방송사나 시청자들 모두의 관심은 적은 것 같다. 지금은 ‘자막’도 방송에서 비중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잘못된 자막의 사용도 올바른 국어사용의 문제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깨닫고 있어야 할 것이다.
먼저, 자막에 외국어(영어)의 사용은 자제하고, 우리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우리말로 표현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글로만 이루어진 자막에 있어서는 올바른 국어의 사용법, 맞춤법에 맞게 표기하도록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반말이나 사투리의 말투도 바로 말을 자막으로 사용하지 말고 다듬어서 자막으로 표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흥미위주의, 불필요한 자막의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자막에 대해서도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방송언어][방송언어오용][방송][언어][언어파괴][방송용어]방송언어의 개념, 방송언어의 특...
[개표방송][구성요소][방송국][예측조사][용어사용][선거][출구조사][선거보도][선거방송][개...
[공공서비스방송][외주전문채널][방송통신융합시대]공공서비스방송과 외주전문채널, 방송통신...
[방송중계, 방송권, 중계방송, 중계유선방송사업자, 동시방송중계권, 방송, 중계유선방송, 중...
[공영방송, 공공방송문화사업, 공공서비스, 방송광고]공영방송과 공공방송문화사업, 공영방송...
[공영방송, 재원조달, 수신료]공영방송의 정의, 공영방송의 특성, 공영방송의 이념과 현실, ...
[디지털위성방송, 재원조달, 위성방송, 디지털위성방송 기대효과]디지털위성방송의 특성, 디...
[문화방송, MBC]문화방송(MBC)의 역사, 형성과정, 문화방송(MBC)의 위상, 정체성, 문화방송(M...
[민영방송]민영방송(민간방송)과 공익적 민영방송, 지역민영방송, 민영방송(민간방송)과 지역...
[방송개혁, 방송위원회, 방송소유구조, 방송제도, 민영방송]방송개혁과 방송위원회, 방송개혁...
[민간방송, 민영방송]민간방송(민영방송)의 주체성, 민간방송(민영방송)의 공익성, 민간방송(...
[방송국, 방송사, 보도연성화, 애니메이션쿼터]방송국(방송사)의 보도연성화, 방송국(방송사)...
[방송법][방송광고제도][유료TV산업][한국방송공사][KBS][민영방송]방송법과 방송광고제도, ...
[방송사업자, 징수율, 부가통신서비스, 방송사업자 문제점]방송사업자의 승인심사, 방송사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