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열풍의 실체와 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과연 한류열풍은 존재하는가?
2. 매스컴에 의해 조작된 한류의
실체와 사례
3. 부록 (초콜렛? 한류?)

결론

본문내용

럽게 보일 뿐일테니 말이다.
그렇다면 그 정체기가 지난 후에는 어떻게 될까.
한류열풍의 약점을 집어보면...
중국과 인접 나라들이 너무나 빨리 깨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무서운 것은 우리나라 댄스가수들의 경우 외모나 다듬고 춤이나 연습시켜서 최대한 빨리 시장에 내보내 돈부터 벌려고 하는 것과는 달리, 이들의 경우 확고한 노래실력 습득을 포함해 진정한 프로페셔널 엔터테이너로 키워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동시에 중국인 특유의 문화적 역량을 발판삼아 스스로만의 스타일을 개발하여 자국 시장을 자국산 음악으로 장악해 갈 것이고, 그 이후에는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에 퍼져 있는 화교들과 중국 문화를 발판으로 본격적인 서구 진출을 감행하게 될 날이 올 가능성 또한 충분하다.
그럼 그 이후 우리는 어디에 있게 될까?
지금처럼 자기 혁신을 등한시하고 당장의 이익에만 눈이 멀어 있다면 결국 중국이라는 거대한 뇌관의 도화선에 불만 붙여준 채 그 거대한 폭발의 뒷전으로 소리소문없이 사라져 버리게 될 거라는 점, 바보가 아니라면 조금만 생각해도 알 수 있을거다.
그렇다. 이것이야말로 한류가 가진, 슬프지만 이미 예정되어 있는 미래다.
.결 론
지금 중국에서는 한류열풍이라고 할 만한 현상이 없다. 이미 그들 문화에 흡수되어버린 그들의 문화라는 분석이 옳을 듯 하다. 중국인들의 문화에 흡수되어 버려 정착해버린 것을 무슨 열풍이니 하는 말을 붙이는 게 아주 어색하다.
지금 새로이 맞고 있는 '한류의 역풍'은 무척이나 거셀 것이라 보인다.
너무나 쉽게 두드리고 들어간 '한류'의 끝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지 무척인 걱정스럽다.
  • 가격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1.19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