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세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놀잇감
(1) 3세 유아의 발달적 특성
(2) 3세 유아에게 적절한 놀잇감 선택 지침
1) 대근육 운동 및 활동적인 놀이를 위한 놀잇감
2) 조작구성 놀잇감
3) 탐색 놀잇감
4) 극놀이를 위한 놀잇감
5) 창의적 표현을 위한 놀잇감
4, 5세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놀잇감
(1) 4~ 7세 유아의 발달적 특성
1) 신체 발달
2) 인지 발달
3) 언어 발달
4) 사회 정서 발달
(2) 4~ 5세 유아에게 적합한 놀잇감 선택 지침
1) 대근육 운동 및 활동적인 놀이를 위한 놀잇감
2) 조작․구성 놀잇감
3) 극 놀잇감
4) 창의적 표현을 위한 놀잇감
5) 규칙 있는 게임
6) 인지적인 탐색을 위한 놀잇감
(1) 3세 유아의 발달적 특성
(2) 3세 유아에게 적절한 놀잇감 선택 지침
1) 대근육 운동 및 활동적인 놀이를 위한 놀잇감
2) 조작구성 놀잇감
3) 탐색 놀잇감
4) 극놀이를 위한 놀잇감
5) 창의적 표현을 위한 놀잇감
4, 5세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놀잇감
(1) 4~ 7세 유아의 발달적 특성
1) 신체 발달
2) 인지 발달
3) 언어 발달
4) 사회 정서 발달
(2) 4~ 5세 유아에게 적합한 놀잇감 선택 지침
1) 대근육 운동 및 활동적인 놀이를 위한 놀잇감
2) 조작․구성 놀잇감
3) 극 놀잇감
4) 창의적 표현을 위한 놀잇감
5) 규칙 있는 게임
6) 인지적인 탐색을 위한 놀잇감
본문내용
), 지적 표상, 창조 활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시기의 유아들은 인형 의자, 유모차, 요리 및 세탁 기구 같이 부서지기 쉬운 장비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특별한 역할을 나타내는 여러 소품(의사 /간호사용품, 사무용품, 놀이용 카메라, 현금 등록기, 놀이용 돈, 음식 등)과 다양한 의상은 상상놀이를 더욱 다양하게 한다. 이러한 놀이 소품들은 유아 스스로가 만들 수도 있다. 유아들은 공격적인 전쟁 놀잇감을 좋아하지만 이러한 것들은 공격성과 폭력을 정당화시키므로 그룹놀이에 적합하지 않다.
바. 가상 놀잇감
3세 무렵부터 흥미를 보이던 가상놀이는 이 시기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면서 놀이의 내용이 확대 발전된다. 유아들은 상품화된 놀잇감(집, 학교, 차, 비행장, 농장, 동물원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유니트 블록이나 레고 같은 놀잇감을 사용하여 사람, 동물, 탈것, 그리고 다양한 소품(울타리, 나무, 길 안내판 등)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유아들의 가상놀이는 좀더 세련되고 정교해지며 놀이 내용도 복잡하고 길어진다.
마. 교통 놀잇감
3세에 이어 이 시기의 유아들도 교통 놀잇감에 매우 흥미를 보인다. 유아들은 금속으로 만든 작은 차나 트럭, 사실적인 비행기, 조립할 수 있는 기차를 좋아하지만 이러한 것은 집단 놀이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놀잇감은 비교적 손상되기 쉽고, 유아들간에 서로 가지려는 경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10cm정도의 단단한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된 탈것이 집단놀이에 적당하고, 유아가 유니트 블록으로 만든 '철로'나 '차고'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자석이나 고리로 연결한 나무나 플라스틱 기차도 블록으로 만든 트랙 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유아들은 15∼30cm나 50cm이상 되는, 작동 부분이 튼튼한 나무 트럭을 좋아하며 커다란 크랭크 같은 좀더 복잡한 기계를 다를 수 있을 만큼 손의 기술이 발달하게 된다. 유아들은 교통 놀잇감을 이용해 상상놀이나 극놀이를 한다.
4) 창의적 표현을 위한 놀잇감
이 시기의 유아들은 상상력과 신체적인 발달로 인해 다양한 음악, 미술, 움직임 활동이 가능하며, 적합한 놀잇감의 창의적인 사용에 관심을 갖게된다.
가. 미술과 공예 놀잇감
4∼5세 시기에는 미술과 공예에 대한 관심과 기술력이 급속히 발달한다. 4세에 이르면 사실적인 그림이 시작되며 사람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구슬을 실에 꿰고, 작은 구슬로 목걸이를 만들 수 있고, 유아들은 자신이 만든 작품을 자랑스러워한다. 5세아의 그림은 좀더 표상적 이고 사실적이다. 5세아가 그린 집에는 현관문, 창문, 굴뚝과 지붕이 있으며 그림을 그리기 전에 무엇을 그릴 것인지 말하고, 자기 작품을 비평한다. 이 연령의 유아는 보통 연필, 붓, 크레용을 성인처럼 잡을 수 있으며, 능숙하게 가위질을 하고 간단한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다.
나. 악 기
유아들의 음악적 능력은 이 시기 동안 눈부시게 증가한다. 노래 부르기, 춤추기, 리듬 악기 탐색과 집단으로 연주하기를 좋아한다. 탬버린, 트라이앵글, 큰북, 방울, 실로폰, 캐스터네츠 등을 이용하여 소리를 만들 수 있다. 소고, 장고 등의 전통 악기도 유아의 신체 크기에 맞게 제작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 시청각 자료
이 시기 동안 시청각 활동에 대한 유아의 흥미와 기술은 크게 증가한다. 음악에 대한 반응도 빨라서 5세쯤이면 율동이 우아하고 다양해지며 실제적인 무용이 나타난다. 4세에는 간단한 노래 게임을 할 수 있고 목소리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멜로디에 맞게 노래 전체를 부를 수 있으며, 놀이 중에 종종 노래를 창작하기도 한다. 음악에 맞춰 율동을 하기도 하며 연극을 하기도 한다. 5세아는 노래 뿐만 아니라 노래 말의 운율을 암송하기도 한다. 멜로디와 음색을 정확하게 알고 노래를 잘 하며 춤에 맞는 옷 입기를 좋아한다. 유아용으로 디자인 된 시청각 장치를 작동할 수 있고 빈 테이프에 자신의 목소리와 음악을 녹음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 시기의 유아들은 유아 혹은 동물에 대한 이야기나 인간과 동물의 삶, 행동, 서식지에 대한 내용이 담긴 교육용 필름이나 비디오 테이프를 좋아한다.
5) 규칙 있는 게임
4세가 되면 3세에 비해 주의 집중 시간이 길어지고 자기 순서를 알게되며, 게임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와 글자를 습득하고자 하는 열의가 있다. 이러한 발달은 게임 활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 시기가 되면 맞추기, 숫자 카드 게임, 도미노와 소 근육 운동 능력을 요하는 게임 (뾰족한 꼭대기에 균형있게 놓기 같은 게임)도 적합하다. 5세경에는 그림이나 색뿐만 아니라 글자나 숫자 맞추기도 가능하며, 1∼10의 수에 기초한 게임도 할 수 있다. 5세경에는 또한 시각적인 기억에 의거하여 맞추는 게임(예를 들어 집중 게임)도 가능하다. 어린 유아들은 손의 유연함이 부족하여 많은 카드를 손에 쥐고 게임을 하기 어렵다.
6) 인지적인 탐색을 위한 놀잇감
이 시기의 유아들은 목표 지향적인 놀이를 많이 한다. 주변을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효과를 얻으려는 노력은 목표 지향적인 활동으로 일부 대체된다. 유아들은 이제 계획을 세워서 놀이를 하며 세워진 계획을 계속 기억할 수 있다. 유아들은 인지적인 능력을 사용하여 사물을 탐색하고 실험하며 단순한 규칙도 만든다. 주변의 사물을 분류하고 이름 붙이기를 좋아하며 5제에는 한가지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분류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 유아들이 흥미를 느끼는 것은 이름 붙이기, 색, 모양, 수, 글자, 자연물 (조개 껍데기, 돌, 나뭇잎)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며 물리적인 세계에 관심을 가지고 측정 도구를 이용해 세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자신의 몸과 동식물에 관심이 있으며 5세아는 사물을 보고 복사하기, 이름 붙이기, 세기를 하고, 수와 사물 연결시키기, 크기 비교하기를 한다. 각각의 놀잇감은 유아가 효과적으로 사용할 만한 능력과 놀잇감에 대한 흥미가 생겼을 때 제공한다.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는 성인의 안내와 후원이 필요하다. 이 시기에는 또한 컴퓨터 활동도 가능하다. 유아를 위한 컴퓨터 활동과 적합한 CD타이틀 및 소프트 웨어에 대한 정보는 「유아를 위한 멀티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참조하기 바란다.
바. 가상 놀잇감
3세 무렵부터 흥미를 보이던 가상놀이는 이 시기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면서 놀이의 내용이 확대 발전된다. 유아들은 상품화된 놀잇감(집, 학교, 차, 비행장, 농장, 동물원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유니트 블록이나 레고 같은 놀잇감을 사용하여 사람, 동물, 탈것, 그리고 다양한 소품(울타리, 나무, 길 안내판 등)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유아들의 가상놀이는 좀더 세련되고 정교해지며 놀이 내용도 복잡하고 길어진다.
마. 교통 놀잇감
3세에 이어 이 시기의 유아들도 교통 놀잇감에 매우 흥미를 보인다. 유아들은 금속으로 만든 작은 차나 트럭, 사실적인 비행기, 조립할 수 있는 기차를 좋아하지만 이러한 것은 집단 놀이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놀잇감은 비교적 손상되기 쉽고, 유아들간에 서로 가지려는 경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10cm정도의 단단한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된 탈것이 집단놀이에 적당하고, 유아가 유니트 블록으로 만든 '철로'나 '차고'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자석이나 고리로 연결한 나무나 플라스틱 기차도 블록으로 만든 트랙 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유아들은 15∼30cm나 50cm이상 되는, 작동 부분이 튼튼한 나무 트럭을 좋아하며 커다란 크랭크 같은 좀더 복잡한 기계를 다를 수 있을 만큼 손의 기술이 발달하게 된다. 유아들은 교통 놀잇감을 이용해 상상놀이나 극놀이를 한다.
4) 창의적 표현을 위한 놀잇감
이 시기의 유아들은 상상력과 신체적인 발달로 인해 다양한 음악, 미술, 움직임 활동이 가능하며, 적합한 놀잇감의 창의적인 사용에 관심을 갖게된다.
가. 미술과 공예 놀잇감
4∼5세 시기에는 미술과 공예에 대한 관심과 기술력이 급속히 발달한다. 4세에 이르면 사실적인 그림이 시작되며 사람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구슬을 실에 꿰고, 작은 구슬로 목걸이를 만들 수 있고, 유아들은 자신이 만든 작품을 자랑스러워한다. 5세아의 그림은 좀더 표상적 이고 사실적이다. 5세아가 그린 집에는 현관문, 창문, 굴뚝과 지붕이 있으며 그림을 그리기 전에 무엇을 그릴 것인지 말하고, 자기 작품을 비평한다. 이 연령의 유아는 보통 연필, 붓, 크레용을 성인처럼 잡을 수 있으며, 능숙하게 가위질을 하고 간단한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다.
나. 악 기
유아들의 음악적 능력은 이 시기 동안 눈부시게 증가한다. 노래 부르기, 춤추기, 리듬 악기 탐색과 집단으로 연주하기를 좋아한다. 탬버린, 트라이앵글, 큰북, 방울, 실로폰, 캐스터네츠 등을 이용하여 소리를 만들 수 있다. 소고, 장고 등의 전통 악기도 유아의 신체 크기에 맞게 제작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 시청각 자료
이 시기 동안 시청각 활동에 대한 유아의 흥미와 기술은 크게 증가한다. 음악에 대한 반응도 빨라서 5세쯤이면 율동이 우아하고 다양해지며 실제적인 무용이 나타난다. 4세에는 간단한 노래 게임을 할 수 있고 목소리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멜로디에 맞게 노래 전체를 부를 수 있으며, 놀이 중에 종종 노래를 창작하기도 한다. 음악에 맞춰 율동을 하기도 하며 연극을 하기도 한다. 5세아는 노래 뿐만 아니라 노래 말의 운율을 암송하기도 한다. 멜로디와 음색을 정확하게 알고 노래를 잘 하며 춤에 맞는 옷 입기를 좋아한다. 유아용으로 디자인 된 시청각 장치를 작동할 수 있고 빈 테이프에 자신의 목소리와 음악을 녹음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 시기의 유아들은 유아 혹은 동물에 대한 이야기나 인간과 동물의 삶, 행동, 서식지에 대한 내용이 담긴 교육용 필름이나 비디오 테이프를 좋아한다.
5) 규칙 있는 게임
4세가 되면 3세에 비해 주의 집중 시간이 길어지고 자기 순서를 알게되며, 게임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와 글자를 습득하고자 하는 열의가 있다. 이러한 발달은 게임 활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 시기가 되면 맞추기, 숫자 카드 게임, 도미노와 소 근육 운동 능력을 요하는 게임 (뾰족한 꼭대기에 균형있게 놓기 같은 게임)도 적합하다. 5세경에는 그림이나 색뿐만 아니라 글자나 숫자 맞추기도 가능하며, 1∼10의 수에 기초한 게임도 할 수 있다. 5세경에는 또한 시각적인 기억에 의거하여 맞추는 게임(예를 들어 집중 게임)도 가능하다. 어린 유아들은 손의 유연함이 부족하여 많은 카드를 손에 쥐고 게임을 하기 어렵다.
6) 인지적인 탐색을 위한 놀잇감
이 시기의 유아들은 목표 지향적인 놀이를 많이 한다. 주변을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효과를 얻으려는 노력은 목표 지향적인 활동으로 일부 대체된다. 유아들은 이제 계획을 세워서 놀이를 하며 세워진 계획을 계속 기억할 수 있다. 유아들은 인지적인 능력을 사용하여 사물을 탐색하고 실험하며 단순한 규칙도 만든다. 주변의 사물을 분류하고 이름 붙이기를 좋아하며 5제에는 한가지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분류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 유아들이 흥미를 느끼는 것은 이름 붙이기, 색, 모양, 수, 글자, 자연물 (조개 껍데기, 돌, 나뭇잎)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며 물리적인 세계에 관심을 가지고 측정 도구를 이용해 세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자신의 몸과 동식물에 관심이 있으며 5세아는 사물을 보고 복사하기, 이름 붙이기, 세기를 하고, 수와 사물 연결시키기, 크기 비교하기를 한다. 각각의 놀잇감은 유아가 효과적으로 사용할 만한 능력과 놀잇감에 대한 흥미가 생겼을 때 제공한다.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는 성인의 안내와 후원이 필요하다. 이 시기에는 또한 컴퓨터 활동도 가능하다. 유아를 위한 컴퓨터 활동과 적합한 CD타이틀 및 소프트 웨어에 대한 정보는 「유아를 위한 멀티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참조하기 바란다.
키워드
추천자료
유아안전교육
유아 놀이와 일
[유아교육]유아발달에 있어 놀이가 갖는 의미와 효율적인 놀이지도
[그림책][포스트모더니즘][유아언어교육][그림책의 읽어주기]그림책의 정의, 그림책의 특징, ...
영아기 발달 특성,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영아기 발달 특성과 역할에 관하여 논하시오.
인터넷과 컴퓨터가 유아의 놀이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예방 교육 방안을 제시
[성장발달][신체][유아][아동][청소년][사춘기][아버지역할][성장]성장발달의 이론, 성장발달...
[유아발달 B형] 발달의 쟁점 3가지를 각각 설명, 쟁점을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 사례를 제...
아동관찰의 특성 및 관찰의 절차와 관찰 시 유의사항에 대해 서술하고 본인의 생각을 논하시오
부모교육 A형 유아기 아동기 부모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