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역사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 역사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역사교육의 개념과 논쟁점
1. 역사와 역사교육의 개념
2. 최근 역사교육의 논쟁점

Ⅲ. 사회과(역사) 교육과정
1. 사회과 교육목표
2. 사회과 지도목표

Ⅳ. 역사교육의 문제점과 방향 제시
1. 교과서에 나타난 역사의식
2. 교과서 내용 분석
3. 초등학교 역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꾸로 '우리 민족'의 무력에는 '진출'과 '정벌'이라는 이름을 붙여 미화하고 있다.
3. 초등 역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첫째, 역사 학습은 현재의 생활에 관련되어야 한다. 오늘날의 역사교육은 지식으로서의 역사교육이 아니라 지식이자 행동으로서의 역사교육이기를 요청하고 있다. 과거세계에 대한 해박한 역사적 지식의 소유자를 기르는 것이 역사 학습의 목적이 아니라 그 역사적 지식이 오늘날 자기 생활에 활용되고 사회발전에 기여될 수 있으며, 문화 창조에 힘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학습은 과거에 대한 회고적 취미에서나 현학적인 박식을 자랑하기 위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현재의 발전에 기반이 되고 나아가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정의적이고 행동적인 힘을 길러 주어야 한다.
둘째 역사영역의 학습은 내용보다 과정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교사는 결코 학습의 주체자인 학생일 수 없다. 교사는 학습의 보조자로서 학습의 주체자인 학생들이 바람직스러운 결과를 얻는 방향으로 학습하도록 인도해 주고 도와 주는 역할을 할 뿐이지 학생대신 학습해 줄 수는 없다. 이처럼 학습의 주체자는 학생이기에 학습자 스스로의 고민과 노력 및 체험을 통하여 학습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시실의 이해, 개념의 추출, 일반화의 인식은 학습자 자신의 자율적인 탐구의 노력을 거쳐 진전되어야 행동적 가치를 지닌 역사의 이해가 되고, 실천적 가치를 지닌 역사적 기능이 익혀지며, 발전을 모색하는 역사적 태도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역사학습은 민족의 긍지를 육성하는 데에 이바지해야 한다. 학습자들은 한국의 역사주체의 한 구성원이며, 한민족의 한 분자이다. 한민족의 주체자인 학생들이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애호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더 나아가 민족과 조상에 대한 긍지를 갖고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인간을 육성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넷째, 역사 학습은 영웅 중심의 정치사 일변도에서 탈피해야 한다. 인간의 역사는 군주나 영웅 또는 지배층만에 의하여 전개된 것이 아니다. 그들의 활동을 뒷받침한 수많은 민중이 있었다. 정치사 중심의 역사 학습이 민중과 결부되는 사회·경제·문화의 구조적 인식을 위한 역사 학습의 장이 되어야 한다.
민주적 역사의식에 도달하기 위한 역사학습은 사회 전체를 의식하고 민족 구성원 전체를 의식하는 역사 학습이 되어야 한다.
Ⅴ. 결론
초등학교 현장에서 고학년 아이들이 가장 싫어하는 과목을 꼽으라면 국어와 사회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현장에서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교과서 분석에서도 알 수 있듯이 편중된 역사, 국가전체와 지도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서술, 성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역사에 대한 지도는 처음 역사교육에서 목표한 역사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 배양 및 민족 자긍심을 길러주는 데 턱없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정보화시대에 따라 멀티미디어를 통한 학습교재가 다양하게 나오고 있고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교과내용의 질적 전환을 고려하지 않은 채 교육매체의 양적 확대로만 나아가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구태의연한 교재와 교육방법을 여전히 가져가는 제도교육으로는 아이들의 의욕과 희망을 빼앗고, 피동적이고 획일적인 인간으로 훈육하게 될 것이다.
교과서를 면밀히 분석하고 다각적인 시각에서 접근하여 아이들 역시 역사의 주체로서 우리의 역사를 바라보고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사 교육에 있어 편중되지 않고 일방적이지 않은 서술과 교과서 외의 다양한 매체 활용이 장려되고, 글을 읽고 말로 듣는 역사 교육이 아니라 눈으로 보고 직·간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배울 수 있는 역사교육이 되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역사와 문화에 대한 무지는 우리 역사의 발전과 진보에 대한 무관심으로 바뀌게 될 것이며 그렇다면 한국사회의 미래는 어두울 뿐이다. 아이들이 한국사회 변혁의 주체들이고 세계화의 주인공이 된다는 생각으로 이들에게 어떻게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전국 역사 교사 모임(2002).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1, 2. 서울 : 휴머니스트.
전선영 외 4명(2001). 역사 교육의 이해. 삼지원.
안병우, 지수걸 외 11명(2003). 한국사 교과서의 희망을 찾아서. 역사비평.
교육인적자원부(2002). 사회 6-1, 사회과 탐구 6-1.
김항구(1987). 역사교육의 목적과 현실적 과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한국 여성 개발원(1998). 한국 역사 속의 여성인물 상. 한국 여성 개발원.
왕현종(2000).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문제점과 대안점 모색. 역사비평.
박명규(2002). 역사 논쟁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역사비평.
서의식(2001). 민족중심의 역사서술과 역사교육. 역사비평.
문동석(2003). 초등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임대식(2001). 쟁점 3 :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역사비평.
도면희(2002). 특집-한국근대사 서술에서의 민족, 국가문제. 역사비평.
황혜숙(2001). 여성신학 : 성의 관점에서 본 한국역사와 종교. 한국 기독교 연구소.
Chris Culpin(2005). Breaking the 20 year rule: very modern history at GCSE. London : Teaching History. p. 11
Hyung Dae Lee(1997). Perry Miller's History of Mind. 단국사학회.
Jerome Freeman(2005). Innovation, inspiration and diversification: new approaches to history at Key Stage 3. London : Teaching History. p. 40
Rupert Gaze(2005). Uncovering the hidden histories: black and Asian people in the two world wars. London : Teaching History. p. 4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1.2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