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층 파괴와 지구환경의 위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존층 파괴와 지구환경의 위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오존층 파괴의 심각성

2. 오존과 오존층

3. 오존의 생성과정

4. 오존층 파괴 물질

5. 오존층 파괴과정

6. 오존층 파괴 실태

7. 오존층 파괴에 의한 생태계 피해

8. 오존층 파괴를 막기 위한 세계의 움직임

9. 우리나라의 대응

본문내용

도 자동 절멸한다.
그런데 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생장한다. 즉 대기중의 이산화탄소(CO2)를 흡수하고 물(H2O)을 사용하여 당류를 만들고 이 당은 성장과 호흡을 위해 직접 이용되거나 전분의 형태로 저장된다. 또 cellulose 등의 세포질을 형성한다. 그러나 자외선은 이 광합성 작용을 크게 저해시키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식물이 살아갈 수가 없게 된다. 수중에서도 플랑크톤의 광합성을 기반으로하여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오존층 파괴는 지구상의 모든 생물을 멸종케 할 가능성이 있다.
8. 오존층 파괴를 막기 위한 세계의 움직임
1972년부터 시작된 국제적인 노력의 결과로 1987년 9월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를 채택하여 CFCs 생산 및 소비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여2000년 이후부터는 생산 및 사용 금지토록 결정했다. 그 후 여러차례 회의를 거듭하면서 CFC 생산 및 소비량 전면 규제 시기를 1996년으로 앞당기고 HCFC를 2020년까지 전폐하며 메틸브로마이드 2010년까지 전폐하기로 하는 한편 다른 오존층 파괴 물질에 대한 규제도 계속 추가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우리나라를 포함한 개발도상국에 대해서는 규제 시기를 10년간 유예한다.
따라서 CFCs의 경우 2005년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HCFC의 경우 2016년부터 소비를 동결하여 2040년까지 전폐해야 한다.
9. 우리나라의 대응
'오존층보호를 위한 특정물질의 제조규제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규제물질의 제조, 수입, 판매 등을 억제하고 대체물질의 개발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주관하에 1990년부터 국책사업으로 대체물질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CFCs의 1차 대체물질인 HCFCs를 개발해 상용화하고 있다. 또 제2차 대체물질인 HFCs도 이미 개발하여 곧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1994년에 '개도국 특례조항 적용국가'로 분류되어 각종 규제 시기를 10년간 유예받고 있는 상태이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한국과 멕시코 두 나라만이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축목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어서 미국 등 선진국들로부터 계속 압력을 받고 있다.
OECD회원국 24국과 동유럽 11개국 등 35국이 모여 기후변화협약에 관한 교토 의정서를 채택하였는데 장차 우리나라가 서명하는 것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2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