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비문화일반
부르디외:
문화적 취향
≫≫사례분석
1.소비의 차별화
2.소비의 동질화
3.합리적인 감성소비(모순적 소비 형태)
부르디외:
문화적 취향
≫≫사례분석
1.소비의 차별화
2.소비의 동질화
3.합리적인 감성소비(모순적 소비 형태)
본문내용
인 사고가 뒷받침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흔히 소비의 양면성 또는 퓨전 소비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대학생들 사이에 명품 열풍이 거세지만, 그들이 명품을 구입하는 이유는 우리가 피상적으로 보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한 잡지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명품을 구입한 동기를 물었을 때 66.4%가 디자인과 품질이 좋아서라고 응답하였다. 단순한 과시욕이 아니라 5배의 가격을 주더라도 명품 하나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신세대의 양면적인 소비행동
1.최고의 제품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 하지만 1원도 비싸게 살수는 없다.
최고의 제품에는 나 스스로 만족하고, 남들이 봤을 때 기죽지 않음으로써 자아 존중감을 높여준다. 난 소중하니까 명품 하나 정도는 있어야 된다. 하지만 무조건 비싸게는 살 수 없다. 중고 명품 시장을 둘러보기도 하고, 여러 군데 온라인 명품 숍을 돌아다니며 가격도 비교해 보고, 백화점 쿠폰도 찾아서 준비해 둔다.
2.최신 기능을 쫓는다. 하지만 최종 선택은 감성이다.
우리나라 휴대폰 시장은 현재 기능 중심의 시장이 되고 있다. 카메라폰이니 뮤직폰이니 하며 최신 기능을 갖춘 휴대폰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신세대들은 이러한 최신 기능에 매혹되지만, 최종적인 구매 동인은 기능적 요인보다는 감성적 요인인 경우가 훨씬 많다.
뉴욕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의 번트 슈미트(Bernd H. Schmitt) 교수가 소비자들은 이성으로 상품을 비교분석한 후 감성과 체험으로 상품을 선택한다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
3.쓸 때는 쓴다. 하지만 불필요한 지출에는 자린고비이다.
최근 신세대 커플 가운데에는 자신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과감한 지출을 서슴지 않는 반면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린고비를 능가하는 절약 정신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500만 원이 넘는 PDP TV는 꼭 장만하지만, 소형가전은 직접 구입하지 않고 친지나 가족 등의 선물로 대체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논문 분석
●현대 소비문화와 한국소비문화에 관한 고찰 -백경미
1. 현대 소비문화의 의미
소비문화 : 한 나라를나타내는 이데올로기, 가치관, 생활양식의 총체
(소비를 기능적 측면 이상의 상징성을 포함하는 개념)
현대의 상품소비는 상징의 소비, 기호의 소비로서 소비자체가 의식과 행동양식을 규정하는 요인이 되며, 물질문화의 상징적인 속성은 어울려서 의미를 전하게 된다.
2.현대 소비문화의 형성 및 변화
①광고 : 상품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정보와 기대를 창출 + 의미창조자 및 변화자(재화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를 전달)
②유행 : 재화에게 있는 의미있는 속성들을 체계적으로 부여하고 또 재화에서 그 속성들을 빼앗는 수단으로 쓰인다. (유행은 상품이 계속 변화할 것을 요구하며, 그 결과 소비자에게 있어서 소비는 항상 새로운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③상품 미학을 통한 제품 차별화
④모방과 차별화
⑤문화적 다원주의의 지향
⑥쾌락주의
3. 한국 소비문화의 문제
①가치관의 문제
수단적 가치를(물질적 가치)를 본래적 가치(정신적 가치)보다 우위에 두는 가치관의 전도
전통주의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의 갈등 및 세대간의 차이
상대주의적 가치관
②소비문화 형성의 구조적 문제
소비문화의 종속성에 따른 소비문화의 정체성의 문제(미국의 주도하는 다국적 문화혼합현상)
소비문화 불평등 및 하위소비문화 갈등의 문제
부르디외 - 취향과 계급의 관계
③대중소비행동의 일반적 문제
과잉소비행동의 일반적인 문제
과시소비의 문제
향락소비의 문제
사회적 책임의식과 생태계에 대한 책임감의 문제
4. 우리 나라 소비문화의 방향
올바른 경제윤리와 소비생활의 합리주의에 입각한 신소비자문화 필요
가정에서의 건전한 소비문화
지속가능한 소비 지향
자아 정체감 확립
≫이 논문은 한국인의 소비 문화 일반에 대한 전체적인 고찰이다. 한가지 사례를 가지고 집중적인 분석을 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한국인의 소비에 대해 전제적인 조망을 한 것처럼 보인다. 또한 결론에서 새로운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아닌 일반론적인 소비 문화방향을 제시 한 것 같아 아쉽다.
◎참고문헌◎
이 종 호. 1998. [文化的 趣向에 影響을 미치는 社會經濟的 要因들에 관한 硏究 : 부르디외(P. Bourdieu)의 文化資本論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석사논문.
김 상 일 2004 대한민국 소비 트렌드 원앤원북스
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예를 들어 우리나라 대학생들 사이에 명품 열풍이 거세지만, 그들이 명품을 구입하는 이유는 우리가 피상적으로 보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한 잡지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명품을 구입한 동기를 물었을 때 66.4%가 디자인과 품질이 좋아서라고 응답하였다. 단순한 과시욕이 아니라 5배의 가격을 주더라도 명품 하나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신세대의 양면적인 소비행동
1.최고의 제품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 하지만 1원도 비싸게 살수는 없다.
최고의 제품에는 나 스스로 만족하고, 남들이 봤을 때 기죽지 않음으로써 자아 존중감을 높여준다. 난 소중하니까 명품 하나 정도는 있어야 된다. 하지만 무조건 비싸게는 살 수 없다. 중고 명품 시장을 둘러보기도 하고, 여러 군데 온라인 명품 숍을 돌아다니며 가격도 비교해 보고, 백화점 쿠폰도 찾아서 준비해 둔다.
2.최신 기능을 쫓는다. 하지만 최종 선택은 감성이다.
우리나라 휴대폰 시장은 현재 기능 중심의 시장이 되고 있다. 카메라폰이니 뮤직폰이니 하며 최신 기능을 갖춘 휴대폰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신세대들은 이러한 최신 기능에 매혹되지만, 최종적인 구매 동인은 기능적 요인보다는 감성적 요인인 경우가 훨씬 많다.
뉴욕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의 번트 슈미트(Bernd H. Schmitt) 교수가 소비자들은 이성으로 상품을 비교분석한 후 감성과 체험으로 상품을 선택한다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
3.쓸 때는 쓴다. 하지만 불필요한 지출에는 자린고비이다.
최근 신세대 커플 가운데에는 자신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과감한 지출을 서슴지 않는 반면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린고비를 능가하는 절약 정신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500만 원이 넘는 PDP TV는 꼭 장만하지만, 소형가전은 직접 구입하지 않고 친지나 가족 등의 선물로 대체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논문 분석
●현대 소비문화와 한국소비문화에 관한 고찰 -백경미
1. 현대 소비문화의 의미
소비문화 : 한 나라를나타내는 이데올로기, 가치관, 생활양식의 총체
(소비를 기능적 측면 이상의 상징성을 포함하는 개념)
현대의 상품소비는 상징의 소비, 기호의 소비로서 소비자체가 의식과 행동양식을 규정하는 요인이 되며, 물질문화의 상징적인 속성은 어울려서 의미를 전하게 된다.
2.현대 소비문화의 형성 및 변화
①광고 : 상품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정보와 기대를 창출 + 의미창조자 및 변화자(재화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를 전달)
②유행 : 재화에게 있는 의미있는 속성들을 체계적으로 부여하고 또 재화에서 그 속성들을 빼앗는 수단으로 쓰인다. (유행은 상품이 계속 변화할 것을 요구하며, 그 결과 소비자에게 있어서 소비는 항상 새로운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③상품 미학을 통한 제품 차별화
④모방과 차별화
⑤문화적 다원주의의 지향
⑥쾌락주의
3. 한국 소비문화의 문제
①가치관의 문제
수단적 가치를(물질적 가치)를 본래적 가치(정신적 가치)보다 우위에 두는 가치관의 전도
전통주의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의 갈등 및 세대간의 차이
상대주의적 가치관
②소비문화 형성의 구조적 문제
소비문화의 종속성에 따른 소비문화의 정체성의 문제(미국의 주도하는 다국적 문화혼합현상)
소비문화 불평등 및 하위소비문화 갈등의 문제
부르디외 - 취향과 계급의 관계
③대중소비행동의 일반적 문제
과잉소비행동의 일반적인 문제
과시소비의 문제
향락소비의 문제
사회적 책임의식과 생태계에 대한 책임감의 문제
4. 우리 나라 소비문화의 방향
올바른 경제윤리와 소비생활의 합리주의에 입각한 신소비자문화 필요
가정에서의 건전한 소비문화
지속가능한 소비 지향
자아 정체감 확립
≫이 논문은 한국인의 소비 문화 일반에 대한 전체적인 고찰이다. 한가지 사례를 가지고 집중적인 분석을 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한국인의 소비에 대해 전제적인 조망을 한 것처럼 보인다. 또한 결론에서 새로운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아닌 일반론적인 소비 문화방향을 제시 한 것 같아 아쉽다.
◎참고문헌◎
이 종 호. 1998. [文化的 趣向에 影響을 미치는 社會經濟的 要因들에 관한 硏究 : 부르디외(P. Bourdieu)의 文化資本論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석사논문.
김 상 일 2004 대한민국 소비 트렌드 원앤원북스
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추천자료
[소비문화]우리나라 약가정책의 변천과정과 문제점
[소비문화]약가결정 방법
청소년 소비자 특성과 그 피해사례
페미니즘과 광고(소비문화의 관점에서)
욕망,광고,소비의 문화사
로이스로제와그의아들,딸-현대 사회의 소비 문화와 다원화된 동일성의 강제양상에 대하여.
몸에 대한 소비적 문화 현상과 의미
누가 문화예술을 소비하는가 & 누가 문화예술을 공급하는가
초등학교생활지도의 중요성과 기본, 초등학교생활지도의 학교생활지도와 건강생활지도, 초등...
지속에너지와 소비문화
현대 사회에서 청년기의의식주 소비생활문화, 관혼상제 의례문화, 가족관계와 가치관 관련 생...
청소년들과 대학생들의 명품(핸드백,지갑,화장품,의복 등) 소비문화에 대한 본의 견해
[소비자행동론]-3공통-소비자는 시장에서 영향력 행사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론적 근거를 ...
[현대사회와 소비문화] 남부시장의 활성화 - 한옥마을 관광객 유입과 옥외시설 및 교통로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