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공항의 성공요인과 마케팅 그리고 물류정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싱가포르 공항의 성공요인과 마케팅 그리고 물류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싱가포르 공항 개요

<2> 성공요인

<3> 공항 시설

<4> 싱가포르 공항의 물류 인프라

<5> 테러대비

<6> 창이공항과 타 공항과의 비교

<7> 결론 및 요약

본문내용

1위 첵랍콕, 2위 나리따, 3위 앵커리지, 4위 인천
5) 연간 여객처리능력
(단위: 백만명)
창이공항
44
인천공항
30
푸동공항
20
첵랍콕공항
45
간사이공항
25
6) 국제선 처리실적 기준 여객분야 순위
1위 런던 히드로, 2위 파리 드골, 3위 스키폴, 4위 프랑크푸르트, 5위 첵랍콕, 6위 창이, 7위 객쯔윅, 8위 나리따, 9위 방콕, 10위 인천
7) 환승객 비율(허브 공항의 경우 30%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함)
드골 53%, 프랑크푸르트 47%, 히드로 34%, 창이 30%, 첵랍콕 28%, 인천 11.8% 등
8) 취항 항공사 및 취항 도시
창이공항
65개사 90개도시
인천공항
50개사 119개도시
푸동공항
29개사 58개도시
첵랍콕공항
68개사 96개도시
간사이공항
47개사 64개도시
cf) 프랑크푸르트 : 105개사 289개 도시
9) 총매출액 기준 세계 면세점 순위
1위 런던 히드로, 2위 창이, 3위 드골, 4위 이스라엘 텔아비브, 5위 암스테르담 스키폴, 6위 인천
<7> 결론 및 요약
싱가포르는 5백여개 이상의 다국적 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이들 기업들은 싱가포르를 그들의 물류기지로 활용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항공운송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항공 물류네트워크, 물류취급시설 , 화물터미널 등을 체계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전 세계 항공운송의 요충지로 성장함과 동시에 싱가포르 정부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에 힘입어 세계적 물류중심지역으로 성장하였다. 예컨대 민간항공국은 공항 터미널, 창이 국제항공단 등과 연계하여 날로 늘어나는 국제 화물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2006년까지 저가항공기(budget carrier) 전용 공항터미널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싱가포르 항공(Singapore Airlines)의 자회사인 타이거 항공(Tiger Airways)이 운항할 저가항공기용 공항터미널은 창이(Changi) 공항에 건설되며, 비용은 약 4,500만 싱가포르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창이공항의 1/10 크기인 이 공항은 연인원 270만 명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며, 부대시설로는 에어컨, 환전소, 식당과 면세점만이 갖추어질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 창이공항 관리청(CAAS)은 독립경영체제를 구축하여 공항확장사업도 독자적으로 추진한다. 창이공항의 성공은 끊임없는 하드웨어 확충과 고객의 기호에 맞춘 공항운영 소프트웨어의 개발 덕분이다. 특히 환승여객을 위한 서비스시설은 세계최고수준이다. 창이공항의 전체승객 중 환승객 비율은 30%를 넘는다. 환승객수는 항공사들이 한 공항을 허브공항으로 인식하는 수준과 비례한다. 창이 항공화물센터(CAS)는 자유무역지대로 지정되어 중개무역을 통해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다. 각국비행기들이 비싼 공항 이용료를 물면서 창이공항에서 머무르는 동안 환승여객들은 면세점으로 달려간다. 고급쇼팽센터를 연상시키는 100여개의 다양한 면세점에서 올리는 매출액만 연간 2억달러를 넘는다. “시내보다 비싸게 물건을 구입한 경우 즉시 환불해 드립니다.”라는 문구도 창이공항이 아니면 보기 힘들다. 몸이 피곤한 승객에게는 에스컬레이터로 곧장 연결되는 호텔이 기다리고 있다. 이외에도 가라오케, 미용실, 수영장, 컴퓨터놀이터 등 창이공항에는 다른 공항에 없는 시설이 많다. 공항을 관광시설로 전환시켰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다. 제 1터널과 제 2터너를 연결시켜 주는 스카이 트레인도 놀이동산의 모노레일을 연상시키기에 손색이 없다. 또한 환승객을 대상으로 하루 3번 2시간짜리 무료 시내관광을 실시하기도 한다. 고객이 원하면 무엇이든 다한다는 이런 발상의 전환을 실현한 덕분에 창이공항은 넘보기 어려운 위치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아시아의 급증하는 항공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고 하드웨어를 적시에 공급하기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는이런 창이 공항의 모습이 바로 우리 나라의 인천국제공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참고자료
코트라 홈페이지 www.kotra.or.kr
창이국제공항 폼페이지 http://www.changi.airport.com.sg/changi/index.jsp
21C항공운송산업과 항공사. 유광의. 백산출판사(2003)
공항 운영 및 관리. 유문기. 백산출판사(2004)
네이버 뉴스 자료 www.naver.com
국내 여행사 사이트 http://www.topas.net/intro/
물류가 돈이다. 한상원. 동방미디어 (2001)
사진자료 http://www.encyber.com/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1.27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