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사라센의 역사
1-1 칼리프
2.건축의 특징
1)건축물과 형식
1-1)종교건축물
1-2)일반건축물
2)건축재료
3)구조
4) 건축장식
3.각 지방의 사라센 건축
3-1.중동지방의 사라센 건축
3-2. 스페인의 사라센 건축
3-3. 인도의 사라센 건축
1-1 칼리프
2.건축의 특징
1)건축물과 형식
1-1)종교건축물
1-2)일반건축물
2)건축재료
3)구조
4) 건축장식
3.각 지방의 사라센 건축
3-1.중동지방의 사라센 건축
3-2. 스페인의 사라센 건축
3-3. 인도의 사라센 건축
본문내용
로 쓰였고 또한 벽재료 및 모르타르재료로 쓰였다.
가장 특색 있는 사용법의 석고는 벽화의 장식 조각재로서 쓰여지고 그 위에 에나멜을 칠하거나 금속적 광택을 내게 한 점이다.
이외에 대리석, 상아, 귀금속이나 값비싼 목재가 벽면의 모자이크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3)구조
사라센인들은 그들의 건축활동의 기반이 될만한 건축적 전통이 없었으므로 그들이 점령한 각국의 건축기술을 받아들이고 계승함으로서 독자적인 것이 만들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로마, 초기 기독교, 비잔틴 및 페르시아의 건축양식을 이어받았다.
- 아치 및 아케이드 구법이 발달
ⅰ 초기에는 시리아 지바에서 유래된 첨두형 아치를 사용
ⅱ 점차로 장식적 효과를 위해 다영하고 장식적인 형태의 엽상형 아치, 마제형 아치 등을 사용
ⅲ 다양한 아치와 열주에 의해 연속 아케이드를 구성
- 돔 구법의 발달
ⅰ 페르시아의 스퀸치 구법에서 유래
ⅱ 돔은 주로 석재, 벽돌, 콘크리트 드에 의해 구축되었으며 목재에 의한 이중구도법 이 용
ⅲ 비잔틴 건축양식의 펜덴티브 돔 구법을 이용하기도 함
4) 건축장식
우상숭배를 금지하는 회교교리에 의해 인간, 동물 등의 구상적인주제에 의한 장식을 지향
식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적 문양 등의 추상적인 주제에 의한 장식기법이 발달
아리비아 문자를 이용한 복잡한 곡선의 장식기법인 아라베스크 문양은 사라센 건축의 특징
3.각 지방의 사라센 건축
3-1.중동지방의 사라센 건축
- 건축개요
ⅰ 사라센 건축의 발상지이자 중심지
ⅱ 우마야드 시대 (661~750년) : 수도를 시라아의 다마스커스로 함에 따라 비잔틴 건축 을 수용
ⅲ 압바스 시대 (750~1258년) : 수도를 이라크의 바그다드로 함에 따라 페르시아의 건축 양식을 수용. 사라젠 건축의 절정기
- 건축실례
ⅰ 바위위의 돔 모스크, 예루살렘, 688~692년 회교 최고의 건축물로서 비잔틴양식의 집 중형 평면을 이용
ⅱ 알와리드 1세의 대모스크, 시리아 다마스커스, 706~715년
ⅲ 사마라의 대모스크, 이라크 사마라, 848~852년 회교 모스크 중 최대규모로서 북측의 나선형 광탑이 특징
ⅳ 이튼 튜른 모스크, 이집트 카이로, 678~879년
ⅴ 슐레이만 모스크, 터키 이스탄불, 1558년
ⅵ 이스파한의 대모스크, 이란 중부 이스파한, 1598년
◀ 바위위의 돔 모스크
서기 638년 이후 예루살렘을 통치했던 모슬렘들은 모리아 산의 큰 바위 위에서 자신들의 최고의 선지자 모하메드가 승천했다는 전설에 따라 그의 발자국이 남아 있다는 바위를 종교적으로 기념하고 보존하기 위하여 서기 692년 당시 예루살렘의 통치자 (Caliph) 압둘 말리크는 예술적으로 아름답게 꾸며진 팔각형의 기단과 돔으로 이루어진 일명 "황금의 사원"이라고도 불리우는 "바위의 돔(Dome of the Rock)"을 건설하여 오늘날 까지 내려오게 되었습니다.바위 사원 실내에는 폭 12야드 길이 15야드 높이 2야드의 넓직한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물로 바치던 제단이라고 전해집니다. 표면에는 골이 패어 있어서 제물의 피가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다.
이슬람들은 이 바위를 딛고 마호메트가 하늘로 승천하였다고 믿기 때문에 예루살렘은 사우디 아라비아의 메카와 메디나에 이어 이슬람 세계의 3대 성지가 되는 것입니다.
3-2. 스페인의 사라센 건축
- 건축개요
ⅰ 스페인은 사라센제국의 우마야드 왕조시대인 711년 정복됨으로서 사라센 문화권이 됨
ⅱ 수도는 초기에는 코르도바였다가, 13세기 그라나다로 옮김
ⅲ 그라나다가 함락된 1492년까지 약 800년간 사라센 문화를 유지
ⅳ 매우 장식적이고 화려한 엽상형 아치와 마제형 아치가 특징적 요소
- 건축실례
ⅰ 코르도바의 대모스크, 코르도바, 785~985년
ⅱ 알함브라 궁전, 그라나다, 1338~90년
후기 사라센 양식의 대표작으로 중정형 평면의 궁전. 아케이드, 열주, 돔, 벽 등의 화려 한 색채와 정교한 장식으로 매우 화려
연못, 스로, 분수, 수목 등에 의한 조경과 건물의 조화에 의해 우수한 외부공간을 연출
3-3. 인도의 사라센 건축
- 건축개요
ⅰ 12세기경부터 페르시아로부터 사라센 건축양식을 도입
ⅱ 16세기경 회교국가인 무굴제국의 출현과 함께 절정기를 맞이
- 건축실례
ⅰ 타지마할 능묘, 인도 아그라, 1630~58년 페르시아 출신 건축가 우스타드 아샤에 의해 건축 샤 제한 황제가 왕비 뭄타즈 마할을 위해 세운 분묘건축
백색의 대리석으로 마감된 외부형태는 전면의 연못에 반사되어 우아하고 상승하는 듯한
느낌
가장 특색 있는 사용법의 석고는 벽화의 장식 조각재로서 쓰여지고 그 위에 에나멜을 칠하거나 금속적 광택을 내게 한 점이다.
이외에 대리석, 상아, 귀금속이나 값비싼 목재가 벽면의 모자이크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3)구조
사라센인들은 그들의 건축활동의 기반이 될만한 건축적 전통이 없었으므로 그들이 점령한 각국의 건축기술을 받아들이고 계승함으로서 독자적인 것이 만들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로마, 초기 기독교, 비잔틴 및 페르시아의 건축양식을 이어받았다.
- 아치 및 아케이드 구법이 발달
ⅰ 초기에는 시리아 지바에서 유래된 첨두형 아치를 사용
ⅱ 점차로 장식적 효과를 위해 다영하고 장식적인 형태의 엽상형 아치, 마제형 아치 등을 사용
ⅲ 다양한 아치와 열주에 의해 연속 아케이드를 구성
- 돔 구법의 발달
ⅰ 페르시아의 스퀸치 구법에서 유래
ⅱ 돔은 주로 석재, 벽돌, 콘크리트 드에 의해 구축되었으며 목재에 의한 이중구도법 이 용
ⅲ 비잔틴 건축양식의 펜덴티브 돔 구법을 이용하기도 함
4) 건축장식
우상숭배를 금지하는 회교교리에 의해 인간, 동물 등의 구상적인주제에 의한 장식을 지향
식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적 문양 등의 추상적인 주제에 의한 장식기법이 발달
아리비아 문자를 이용한 복잡한 곡선의 장식기법인 아라베스크 문양은 사라센 건축의 특징
3.각 지방의 사라센 건축
3-1.중동지방의 사라센 건축
- 건축개요
ⅰ 사라센 건축의 발상지이자 중심지
ⅱ 우마야드 시대 (661~750년) : 수도를 시라아의 다마스커스로 함에 따라 비잔틴 건축 을 수용
ⅲ 압바스 시대 (750~1258년) : 수도를 이라크의 바그다드로 함에 따라 페르시아의 건축 양식을 수용. 사라젠 건축의 절정기
- 건축실례
ⅰ 바위위의 돔 모스크, 예루살렘, 688~692년 회교 최고의 건축물로서 비잔틴양식의 집 중형 평면을 이용
ⅱ 알와리드 1세의 대모스크, 시리아 다마스커스, 706~715년
ⅲ 사마라의 대모스크, 이라크 사마라, 848~852년 회교 모스크 중 최대규모로서 북측의 나선형 광탑이 특징
ⅳ 이튼 튜른 모스크, 이집트 카이로, 678~879년
ⅴ 슐레이만 모스크, 터키 이스탄불, 1558년
ⅵ 이스파한의 대모스크, 이란 중부 이스파한, 1598년
◀ 바위위의 돔 모스크
서기 638년 이후 예루살렘을 통치했던 모슬렘들은 모리아 산의 큰 바위 위에서 자신들의 최고의 선지자 모하메드가 승천했다는 전설에 따라 그의 발자국이 남아 있다는 바위를 종교적으로 기념하고 보존하기 위하여 서기 692년 당시 예루살렘의 통치자 (Caliph) 압둘 말리크는 예술적으로 아름답게 꾸며진 팔각형의 기단과 돔으로 이루어진 일명 "황금의 사원"이라고도 불리우는 "바위의 돔(Dome of the Rock)"을 건설하여 오늘날 까지 내려오게 되었습니다.바위 사원 실내에는 폭 12야드 길이 15야드 높이 2야드의 넓직한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물로 바치던 제단이라고 전해집니다. 표면에는 골이 패어 있어서 제물의 피가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다.
이슬람들은 이 바위를 딛고 마호메트가 하늘로 승천하였다고 믿기 때문에 예루살렘은 사우디 아라비아의 메카와 메디나에 이어 이슬람 세계의 3대 성지가 되는 것입니다.
3-2. 스페인의 사라센 건축
- 건축개요
ⅰ 스페인은 사라센제국의 우마야드 왕조시대인 711년 정복됨으로서 사라센 문화권이 됨
ⅱ 수도는 초기에는 코르도바였다가, 13세기 그라나다로 옮김
ⅲ 그라나다가 함락된 1492년까지 약 800년간 사라센 문화를 유지
ⅳ 매우 장식적이고 화려한 엽상형 아치와 마제형 아치가 특징적 요소
- 건축실례
ⅰ 코르도바의 대모스크, 코르도바, 785~985년
ⅱ 알함브라 궁전, 그라나다, 1338~90년
후기 사라센 양식의 대표작으로 중정형 평면의 궁전. 아케이드, 열주, 돔, 벽 등의 화려 한 색채와 정교한 장식으로 매우 화려
연못, 스로, 분수, 수목 등에 의한 조경과 건물의 조화에 의해 우수한 외부공간을 연출
3-3. 인도의 사라센 건축
- 건축개요
ⅰ 12세기경부터 페르시아로부터 사라센 건축양식을 도입
ⅱ 16세기경 회교국가인 무굴제국의 출현과 함께 절정기를 맞이
- 건축실례
ⅰ 타지마할 능묘, 인도 아그라, 1630~58년 페르시아 출신 건축가 우스타드 아샤에 의해 건축 샤 제한 황제가 왕비 뭄타즈 마할을 위해 세운 분묘건축
백색의 대리석으로 마감된 외부형태는 전면의 연못에 반사되어 우아하고 상승하는 듯한
느낌
키워드
추천자료
건축과 미술의 연관
시대별건축의 형태
극장건축공사 계획서
근대건축 데 스틸(De Stijl)
한국건축에서의 근대성과 지역성
[미니멀리즘][미니멀리즘 특성][미니멀리즘 배경][의상에서 미니멀리즘][건축에서 미니멀리즘...
[독일][독일문화][동독][서독][독일 건축][독일의 정치문화][독일의 산업][독일의 경제][독일...
한국전통건축의 내·외부의 계획방법
건축재료학 - 플라스틱
근대건축 요제프 호프만
건축십서 장별 요약 및 엣세이
전통건축과 관광해설
[서양][아테네][사상][르네상스][복식문화][건축][대학][테이블식사예절]서양의 아테네, 서양...
전통건축의 현대적 재조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