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행동주의 심리학의 배경 및 Watson의 전기적 소개(1878-1958)
2. Watson의 기본 주장 및 연구
3. Watson의 이론의 적용
4. Watson 이론의 평가 및 시사점
참고문헌
2. Watson의 기본 주장 및 연구
3. Watson의 이론의 적용
4. Watson 이론의 평가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놓는 것과의 연합에 의한 빈도가 자동차의 정지를 증가시킬 것이다(Salkind, 1985/1992).
최신의 법칙은 제시된 자극에 대하여 보다 최근에 한 반응일수록 그 자극이 또 다시 제시되면 그 최근의 반응을 할 가능성이 많음을 뜻한다(Hill, 1990/ 1998). 빈도의 법칙이 어떤 일이 일어나는 빈도를 언급한다면 최신의 법칙은 자극과 반응간의 시간의 양을 말한다. 자극과 반응간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자극에 대한 반응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적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Salkind, 1985/1992).
4) 자녀교육에 대한 영향
Watson은 자녀들을 엄격하게 기를 것을 부모들에게 제안하였다. 즉 껴안아 주거나 키스를 하는 등의 애정 표현을 삼가도록 권유하였는데 이는 부모의 모습과 관대한 반응을 연합하게 되어 부모로부터 떨어져 스스로 세계를 탐색하는 것을 배우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Watson의 충고는 1930년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Spock나 Bowlby 등의 영향으로 부모들이 자녀들을 관대하게 대하게 되었다(Crain, 1980/1983).
4. Watson 이론의 평가 및 시사점
1) 평가:
■ Pavlov 식 원리(고전적 조건 형성)를 심리학의 일부로 만드는데 가장 큰 공헌
을 하였다(Crain, 1983/ 1980).
■ 학습의 원리에서 강화, 보상, 처벌의 원리를 등한시 하고 인접과 빈도의 법칙
만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진정한 행동주의적 시각에서 보면 이 개
념들이 지나치게 주관적이라는 것이다(Hill, 1990/1998).
■ 고전적 조건 형성 모형의 유용성에 제한점이 있다. 즉 도구사용, 말하기 등의
능동적이고 복잡한 조건형성 기술을 어떻게 학습하는지를 설명하지 못함. 이
후 Skinner가 조건형성의 다른 모델(시행착오설)을 주장하면서 이 모델을 더욱
발전 시켰다(Crain, 1983/1983).
2) 시사점
■ 학습에 대한 Watson의 법칙인 '빈도의 법칙'과 '최신의 법칙'(Salkind, 1985/1992)은 오늘날 유아들에게 적용할 때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이 두 가지의 법칙은 동시에 작용을 하기 때문에 자극에 즉시 따르는 사건과 이 사건이 재생되는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유아가 잘못하거나 칭찬 받을 만한 행동을 하였을 경우, 일관성 있게 (빈도) 곧 바로(최신)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다면 유아들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Crain, W. C. (1983). 발달의 이론 (서봉연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원저 1980 출판)
Hergenhahn, B. R. (1990). 학습 심리학 (김영채 역.). 서울: 박영사. (원저 1988 출판)
Hill, W. (1998). 학습심리학 -심리학적 해석의 개관 (이영애 역.). 서울: 을유문화 사. (원저 1990 출판)
Salkind, (1992). 인간 발달과 교육 (김남순 역.). 서울: 창지사. (원저 1985 출판)
최신의 법칙은 제시된 자극에 대하여 보다 최근에 한 반응일수록 그 자극이 또 다시 제시되면 그 최근의 반응을 할 가능성이 많음을 뜻한다(Hill, 1990/ 1998). 빈도의 법칙이 어떤 일이 일어나는 빈도를 언급한다면 최신의 법칙은 자극과 반응간의 시간의 양을 말한다. 자극과 반응간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자극에 대한 반응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적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Salkind, 1985/1992).
4) 자녀교육에 대한 영향
Watson은 자녀들을 엄격하게 기를 것을 부모들에게 제안하였다. 즉 껴안아 주거나 키스를 하는 등의 애정 표현을 삼가도록 권유하였는데 이는 부모의 모습과 관대한 반응을 연합하게 되어 부모로부터 떨어져 스스로 세계를 탐색하는 것을 배우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Watson의 충고는 1930년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Spock나 Bowlby 등의 영향으로 부모들이 자녀들을 관대하게 대하게 되었다(Crain, 1980/1983).
4. Watson 이론의 평가 및 시사점
1) 평가:
■ Pavlov 식 원리(고전적 조건 형성)를 심리학의 일부로 만드는데 가장 큰 공헌
을 하였다(Crain, 1983/ 1980).
■ 학습의 원리에서 강화, 보상, 처벌의 원리를 등한시 하고 인접과 빈도의 법칙
만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진정한 행동주의적 시각에서 보면 이 개
념들이 지나치게 주관적이라는 것이다(Hill, 1990/1998).
■ 고전적 조건 형성 모형의 유용성에 제한점이 있다. 즉 도구사용, 말하기 등의
능동적이고 복잡한 조건형성 기술을 어떻게 학습하는지를 설명하지 못함. 이
후 Skinner가 조건형성의 다른 모델(시행착오설)을 주장하면서 이 모델을 더욱
발전 시켰다(Crain, 1983/1983).
2) 시사점
■ 학습에 대한 Watson의 법칙인 '빈도의 법칙'과 '최신의 법칙'(Salkind, 1985/1992)은 오늘날 유아들에게 적용할 때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이 두 가지의 법칙은 동시에 작용을 하기 때문에 자극에 즉시 따르는 사건과 이 사건이 재생되는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유아가 잘못하거나 칭찬 받을 만한 행동을 하였을 경우, 일관성 있게 (빈도) 곧 바로(최신)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다면 유아들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Crain, W. C. (1983). 발달의 이론 (서봉연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원저 1980 출판)
Hergenhahn, B. R. (1990). 학습 심리학 (김영채 역.). 서울: 박영사. (원저 1988 출판)
Hill, W. (1998). 학습심리학 -심리학적 해석의 개관 (이영애 역.). 서울: 을유문화 사. (원저 1990 출판)
Salkind, (1992). 인간 발달과 교육 (김남순 역.). 서울: 창지사. (원저 1985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