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재활용의 필요성
※생활폐기물의 분해기간
2. 재활용 제품의 분리 배출 요령
① 재활용품 분리수거 체계도
② 재활용 제품 (재질별 분류표시 내용과 설명, 분리배출 요령)
가. 재질분류 표시제
ⅰ)종이의 재활용
ⅱ) 플라스틱의 재활용
ⅲ) 유리병의 재활용
ⅳ) 캔의 재활용
나. 재활용가능마크
다. 재활용 가능 품목(생활폐기물)
라. 재활용이 안되는 품목
③ 쓰레기 분리 배출 방법
3. 재활용 쓰레기 모으는 방법
※생활폐기물의 분해기간
2. 재활용 제품의 분리 배출 요령
① 재활용품 분리수거 체계도
② 재활용 제품 (재질별 분류표시 내용과 설명, 분리배출 요령)
가. 재질분류 표시제
ⅰ)종이의 재활용
ⅱ) 플라스틱의 재활용
ⅲ) 유리병의 재활용
ⅳ) 캔의 재활용
나. 재활용가능마크
다. 재활용 가능 품목(생활폐기물)
라. 재활용이 안되는 품목
③ 쓰레기 분리 배출 방법
3. 재활용 쓰레기 모으는 방법
본문내용
캔의 재활용
한해 동안 사용되는 캔의 양은 약 6억개로 그 중 1.2억개가 알루 미늄캔이며 나머지가 철캔이다. 알루미늄캔을 재활용하는데 필요 한 에너지는 원석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얻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1/26로 에너지 절약효과가 크다.
또한 알루미늄캔 하나가 땅속에 묻힌 후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 이 500년이나 되기 때문에 환경보호효과도 크다.
*분리배출 요령*
(기타 여러 가지 재활용 제품이 있으나, 분류 표시가 없는 것이라 생략하겠음)
나. 재활용가능마크
재활용가능표시에 관한 규정(환경부고시 제 95-23호,‘95.2.22’)에 따라 종이류, 고철류, 유리병류, 플라스틱류, 기타 환경부장관이 지정하는 제품에는 한국자원재생공사의 심사를 받아 재활용가능표시를 하여야 한다.
다. 재활용 가능 품목(생활폐기물)
종이류, 유리병류, 금속류, 플라스틱류, 스티로폴, 의류 이불류
(분류표시가 있는 품목의 경우 위에서 자세히 설명함)
라. 재활용이 안되는 품목
- 종이류 : 비닐코팅된 종이, 스프링, 성유, 금속 등이 섞여 있는 종이, 두유팩
- 병류(유리) : 유백색(우유빛깔) 유리병, 화장품용기
거울, 전구, 형광등, 사기그릇, 도자기, 내열식기류
- 캔류 : 페인트통, 오일통 등 유해물질 용기통
- 플라스틱류 : 열에 잘 녹지 않는 플라스틱(전화기, 소켓트, 전기전열기, 단추, 식기류, 쟁반, 화장품용기, 재떨이, 파이프, 전선, 과자, 라면봉지, 1회용컵, 계란 받침대, 종이 성분이 섞인 장판, 바이오거트 등
- 스티로폴 : 이물질 및 상표가 부착된 제품
- 기타 : 운동화, 구두, 우산, 음반, 비디오테이프, 오디오테이프, 테이프케이스, 쟁반, 장 난감, 가방류, 문구류, 유모차, 고무, 팩시용지, 옷걸이, 변기통, 보온병, 보온도 시락통, 자동차부품, 가습기, 썬라이트, 물받이통, 샌달, 전기밥통 등
③ 쓰레기 분리 배출 방법
무심코 보아왔던 페트병이나 캔류, 플라스틱 등의 옆이나 밑부분을 잘 살펴보면 앞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재활용 가능 표시와 재질 분류표시를 찾아 볼 수 있다.
ex) 생활 쓰레기 중 페트병과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용기류의 분리 배출방법
생활쓰레기 중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 고 있는 페트병,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 지 용기류 중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 이 많이 있다. 이러한 용기류에는 옆의 사진과 같이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3. 재활용 쓰레기 모으는 방법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쓰레기는 다시 보면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재활용이 가능한 품목은 잘 분류하여 두었다가 아래와 같이 배출하면 된다. 우리들의 작은 관심과 실천이 쓰레기의 양도 줄이고 자원도 재활용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지고 오게 될 것이다.
폐기물의 재활용은 매립과 소각시에 발생하는 각종 침출수, 악취, 해충 등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환경보전 효과와 쓰레기 감량화를 통해 쓰레기 처리비용을 줄이고 유용한 자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회용품은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그 종류와 양은 헤아리기 조차 힘들정도로 많아졌다. 하지만 단순히 편리함만을 위한 일회용품은 자연을 해치는 주범이 되어가고 있다. 즉, 한 번 사용하고 난 후 버리게 되면 이것이 분해되기까지는 5백년이 걸린다고 한다. 따라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자연보호의 분명한 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의 갈증 해소를 돕는 알루미늄 캔의 경우, 분해되기까지 500년이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재활용 가치가 아주 높은데, 알루미늄 캔 1개를 재활용하면 TV를 3시간 가량이나 볼 수 있는 에너지가 절약된다고 한다. 이밖에도 리필제품의 사용이나 충전해서 쓰는 건전지 등 앞에서 언급했던 재활용이 가능한 품목들을 재활용한다면, 이제 더 이상 폐기물이 아닌 자원이 될 것이며 자연환경의 보전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과의 증대 등의 경제적 효과 증대에 많은 기여를 하게 됨은 분명한 사실이다.
앞으로, 분리수거의 활성화를 통해 경제적 가치가 높은 것을 재활용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 및 자원의 절약으로 국민 경제에 기여함은 물론 더 나아가 아름다운 우리의 삶의 터전을 되살릴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envico.or.kr)
한국환경자원공사 (http://www.envico.or.kr)
네이버 지식검색 (http://www.naver.com)
한해 동안 사용되는 캔의 양은 약 6억개로 그 중 1.2억개가 알루 미늄캔이며 나머지가 철캔이다. 알루미늄캔을 재활용하는데 필요 한 에너지는 원석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얻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1/26로 에너지 절약효과가 크다.
또한 알루미늄캔 하나가 땅속에 묻힌 후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 이 500년이나 되기 때문에 환경보호효과도 크다.
*분리배출 요령*
(기타 여러 가지 재활용 제품이 있으나, 분류 표시가 없는 것이라 생략하겠음)
나. 재활용가능마크
재활용가능표시에 관한 규정(환경부고시 제 95-23호,‘95.2.22’)에 따라 종이류, 고철류, 유리병류, 플라스틱류, 기타 환경부장관이 지정하는 제품에는 한국자원재생공사의 심사를 받아 재활용가능표시를 하여야 한다.
다. 재활용 가능 품목(생활폐기물)
종이류, 유리병류, 금속류, 플라스틱류, 스티로폴, 의류 이불류
(분류표시가 있는 품목의 경우 위에서 자세히 설명함)
라. 재활용이 안되는 품목
- 종이류 : 비닐코팅된 종이, 스프링, 성유, 금속 등이 섞여 있는 종이, 두유팩
- 병류(유리) : 유백색(우유빛깔) 유리병, 화장품용기
거울, 전구, 형광등, 사기그릇, 도자기, 내열식기류
- 캔류 : 페인트통, 오일통 등 유해물질 용기통
- 플라스틱류 : 열에 잘 녹지 않는 플라스틱(전화기, 소켓트, 전기전열기, 단추, 식기류, 쟁반, 화장품용기, 재떨이, 파이프, 전선, 과자, 라면봉지, 1회용컵, 계란 받침대, 종이 성분이 섞인 장판, 바이오거트 등
- 스티로폴 : 이물질 및 상표가 부착된 제품
- 기타 : 운동화, 구두, 우산, 음반, 비디오테이프, 오디오테이프, 테이프케이스, 쟁반, 장 난감, 가방류, 문구류, 유모차, 고무, 팩시용지, 옷걸이, 변기통, 보온병, 보온도 시락통, 자동차부품, 가습기, 썬라이트, 물받이통, 샌달, 전기밥통 등
③ 쓰레기 분리 배출 방법
무심코 보아왔던 페트병이나 캔류, 플라스틱 등의 옆이나 밑부분을 잘 살펴보면 앞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재활용 가능 표시와 재질 분류표시를 찾아 볼 수 있다.
ex) 생활 쓰레기 중 페트병과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용기류의 분리 배출방법
생활쓰레기 중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 고 있는 페트병,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 지 용기류 중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 이 많이 있다. 이러한 용기류에는 옆의 사진과 같이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3. 재활용 쓰레기 모으는 방법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쓰레기는 다시 보면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재활용이 가능한 품목은 잘 분류하여 두었다가 아래와 같이 배출하면 된다. 우리들의 작은 관심과 실천이 쓰레기의 양도 줄이고 자원도 재활용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지고 오게 될 것이다.
폐기물의 재활용은 매립과 소각시에 발생하는 각종 침출수, 악취, 해충 등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환경보전 효과와 쓰레기 감량화를 통해 쓰레기 처리비용을 줄이고 유용한 자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회용품은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그 종류와 양은 헤아리기 조차 힘들정도로 많아졌다. 하지만 단순히 편리함만을 위한 일회용품은 자연을 해치는 주범이 되어가고 있다. 즉, 한 번 사용하고 난 후 버리게 되면 이것이 분해되기까지는 5백년이 걸린다고 한다. 따라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자연보호의 분명한 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의 갈증 해소를 돕는 알루미늄 캔의 경우, 분해되기까지 500년이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재활용 가치가 아주 높은데, 알루미늄 캔 1개를 재활용하면 TV를 3시간 가량이나 볼 수 있는 에너지가 절약된다고 한다. 이밖에도 리필제품의 사용이나 충전해서 쓰는 건전지 등 앞에서 언급했던 재활용이 가능한 품목들을 재활용한다면, 이제 더 이상 폐기물이 아닌 자원이 될 것이며 자연환경의 보전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과의 증대 등의 경제적 효과 증대에 많은 기여를 하게 됨은 분명한 사실이다.
앞으로, 분리수거의 활성화를 통해 경제적 가치가 높은 것을 재활용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 및 자원의 절약으로 국민 경제에 기여함은 물론 더 나아가 아름다운 우리의 삶의 터전을 되살릴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envico.or.kr)
한국환경자원공사 (http://www.envico.or.kr)
네이버 지식검색 (http://www.naver.com)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문제 / 부안 방사성폐기물처분장 건설 논의
핵연료의 생산과정과 폐기물의 처리과정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핵폐기물 처리
[환경문제 핵 폐기물] 부안군 방폐장 건설에 대한 쟁점과 내용 및 환경문제 해결방안 (2007년...
대학교 교내 폐기물 처리 및 실험
[행정학] 방사능폐기물처리장 유치 갈등사례 비교[경주,부안사례]
[건축재료학]건축폐기물의 처리현황 및 처리방안
[환경] 폐기물 재활용 산업
[환경과삶] 폐기물 에너지에 대해서
보건생태학 - 15.폐기물
[친환경건축] 건축폐기물의 유해성 및 규제방식
[에너지공학] 폐기물 - 에너지원으로의 재발견
도시행정 환경문제 - 폐기물로 이에 우리는 음식물 쓰레기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 처리방...
신재생 에너지(폐기물 에너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