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계지탕비명건구
- 마황탕 맥부긴숨참
- 대청룡탕 번조
- 마황탕 맥부긴숨참
- 대청룡탕 번조
본문내용
맥과 증상을 얻어서 다시 땀이 나지 않고 표부가 충실하고 안이 열나는 심번하고 들썩거리는 증상을 겸했다.
傷寒, 謂寒傷營之病也.
상한 위한상영지병야.
상한병은 한사가 영혈을 손상한 병을 말함이다.
身重不痛, 乍有輕時, 風傷衛之證也.
신중불통 사유경시 풍상위지증야.
몸이 무겁고 아프지는 않으며 잠깐 가벼운 때가 있음은 풍사가 위기를 손상한 증상이다.
浮緩, 風傷衛之脈也.
부완 풍상위지맥야.
맥이 부완함은 풍사가 위기를 손상한 맥이다.
嘔逆無汗而喘, 頭疼發熱, 惡寒惡風, 寒傷營之證也.
구역무한이천 두동발열 오한오풍 한상영지증야.
구역하고 땀이 없고 숨차며 두통 발열하고 오한 오풍함은 한사가 영혈을 손상한 증상이다.
是以傷寒之病而得中風之脈與證, 更兼太陽無汗內熱之煩躁也.
시이상한지병이득중풍지맥여증 경겸태양무한내열지번조야.
그래서 상한의 병에 상풍의 맥과 증상을 얻어서 다시 태양병의 땀이 없고 안이 뜨거운 번조를 겸함이다.
而無少陰證, 謂無身重但欲寐之證也.
이무소음증 위무신중단욕매지증야.
*단욕매
少陰經病의 主證의 하나이다. 이는 一種의 意識朦朧으로, 似睡非睡이고, 似醒非醒한 狀態이다. 少陰病으로 心腎이 兩衰하고, 氣血이 虛弱한 경우에 볼 수 있다.
sleepiness
그러나 소음증도 없다는 말은 몸이 무거워 다만 자려고 하는 증상도 없음을 말함이다.
營衛同病, 謂風寒中傷營衛同病也.
영위동병 위풍한중상영위동병야.
영위가 함께 병이 들었다는 말은 풍사와 한사가 영과 위를 적중하고 손상한 같은 병을 말함이다.
二證皆無汗實邪, 故均以大靑龍湯發之.
이증개무한실사 고균이대청룡탕발지.
*실사(實邪)
항성(亢盛)한 사기(邪氣). 『소문(素問)』 「통평허실론(通評虛實論)」에 “사기(邪氣)가 성(盛)하면 실(實)이다.(邪氣盛則實.)”라고 하였다.
excess pathogen;
strong pathogens ⑴ pathogenic factor that prevails over the body resistance. ⑵ denoting the pathogenic factor originated from the son-organ(子臟), which affects the mother-organ(母臟),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five phases(五行).
두 증상 모두 땀이 없는, 충실한 사기이므로 함께 대청룡탕으로 발산하였다.
詳太陽下篇.
상태양하편.
자세한 것은 태양병 하편에 있다.
傷寒, 謂寒傷營之病也.
상한 위한상영지병야.
상한병은 한사가 영혈을 손상한 병을 말함이다.
身重不痛, 乍有輕時, 風傷衛之證也.
신중불통 사유경시 풍상위지증야.
몸이 무겁고 아프지는 않으며 잠깐 가벼운 때가 있음은 풍사가 위기를 손상한 증상이다.
浮緩, 風傷衛之脈也.
부완 풍상위지맥야.
맥이 부완함은 풍사가 위기를 손상한 맥이다.
嘔逆無汗而喘, 頭疼發熱, 惡寒惡風, 寒傷營之證也.
구역무한이천 두동발열 오한오풍 한상영지증야.
구역하고 땀이 없고 숨차며 두통 발열하고 오한 오풍함은 한사가 영혈을 손상한 증상이다.
是以傷寒之病而得中風之脈與證, 更兼太陽無汗內熱之煩躁也.
시이상한지병이득중풍지맥여증 경겸태양무한내열지번조야.
그래서 상한의 병에 상풍의 맥과 증상을 얻어서 다시 태양병의 땀이 없고 안이 뜨거운 번조를 겸함이다.
而無少陰證, 謂無身重但欲寐之證也.
이무소음증 위무신중단욕매지증야.
*단욕매
少陰經病의 主證의 하나이다. 이는 一種의 意識朦朧으로, 似睡非睡이고, 似醒非醒한 狀態이다. 少陰病으로 心腎이 兩衰하고, 氣血이 虛弱한 경우에 볼 수 있다.
sleepiness
그러나 소음증도 없다는 말은 몸이 무거워 다만 자려고 하는 증상도 없음을 말함이다.
營衛同病, 謂風寒中傷營衛同病也.
영위동병 위풍한중상영위동병야.
영위가 함께 병이 들었다는 말은 풍사와 한사가 영과 위를 적중하고 손상한 같은 병을 말함이다.
二證皆無汗實邪, 故均以大靑龍湯發之.
이증개무한실사 고균이대청룡탕발지.
*실사(實邪)
항성(亢盛)한 사기(邪氣). 『소문(素問)』 「통평허실론(通評虛實論)」에 “사기(邪氣)가 성(盛)하면 실(實)이다.(邪氣盛則實.)”라고 하였다.
excess pathogen;
strong pathogens ⑴ pathogenic factor that prevails over the body resistance. ⑵ denoting the pathogenic factor originated from the son-organ(子臟), which affects the mother-organ(母臟),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five phases(五行).
두 증상 모두 땀이 없는, 충실한 사기이므로 함께 대청룡탕으로 발산하였다.
詳太陽下篇.
상태양하편.
자세한 것은 태양병 하편에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