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약물 의존성과 약물 남용의 속성
알콜 의존성
■ 알콜문제에 의한 사회적 대가
■ 알콜의존성에 의한 개인의 대가
■ 알콜의존성의 발달
알콜의존성에 대한 조망
■ 정신역동적 조망
■ 행동적 조망
■ 인지적 조망
■ 사회문화적 조망
■ 생물학적 조망
■ 중다양식 치료
니코틴 의존성에 대한 조망
■ 니코틴 의존성에 대한 조망
다른 정신활성 약물
■ 억제제(depressants)
■ 자극제(stimulants)
■ 환각제(hallucinogens)
■ 마리화나(mariujuna)와 하쉬쉬(hashish)
약물 의존성에 대한 조망
■ 약물과 뇌 화학
■ 약물과 성격 요인
■ 약물과 사회
■ 약물 재활
■ 재발방지
알콜 의존성
■ 알콜문제에 의한 사회적 대가
■ 알콜의존성에 의한 개인의 대가
■ 알콜의존성의 발달
알콜의존성에 대한 조망
■ 정신역동적 조망
■ 행동적 조망
■ 인지적 조망
■ 사회문화적 조망
■ 생물학적 조망
■ 중다양식 치료
니코틴 의존성에 대한 조망
■ 니코틴 의존성에 대한 조망
다른 정신활성 약물
■ 억제제(depressants)
■ 자극제(stimulants)
■ 환각제(hallucinogens)
■ 마리화나(mariujuna)와 하쉬쉬(hashish)
약물 의존성에 대한 조망
■ 약물과 뇌 화학
■ 약물과 성격 요인
■ 약물과 사회
■ 약물 재활
■ 재발방지
본문내용
것은 생리적 효과이다. 습관적인 과음은 위궤양, 고혈압, 심장장애, 암, 및 뇌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보편적인 다른 결과는 간경화가 있다. 이것은 지금 미국의 사망원인 중 9번째이다(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1990). 덧붙이면 알콜의존성은 종종 영양결핍을 수반한다. 알콜은 칼로리가 높아서 에너지를 제공하지만 밝혀진 어떤 영양소를 결핍시킨다. 알콜의존성인 사람은 전형적으로 적게 먹기 때문에 단백질과 비타민 흡수는 위험할 정도로 부족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 그들은 비타민 B의 결핍이 원인으로 생각되는 심한 기억장애인 코르사코프 정신병(Korsakoff\'s psychosis)(16장)을 갖게 된다.
장기적인 알콜의존성에서 자주 나타나지는 않지만 심각한 병발은 delirium tremens로 글자대로 번역하면 “진전섬망증(trembling delirium)”인데 이것은 DTs로 잘 알려져있다. 이런 심각한 반응은 혈중알콜농도가 갑자기 떨어질 때 나타나는 금단증상이다. DTs 환자가 필요로 하는 용량이 박탈되면 심하게 떨고 땀을 많이 흘리고, 방향감각을 잃게된고 악몽착란(nightmarish delusion)을 겪게된다. 이러한 상태는 일반적으로 3일에서 6일까지 지속되는데 이 후에는 환자들이 다시는 술을 마시지 않겠다고 맹세를 하지만 많은 경우에 치료센터에서 나오면 곧 이 맹세는 깨어진다.
요약하면, 알콜남용은 건강을 손상시킨다. 사망율은 알콜남용자가 그렇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남성의 경우는 사망율이 2배에서 4배나 높고 여성의 경우는 3배에서 7배나 높다(G. Edwards, 1989).
알콜의존성의 발달
이 장의 뒤에서 보겠지만 어떤 유형의 사람이 알콜의존성이 될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많은 혼란이 있다. 또한 어떻게 사람들이 알콜의존적이 되는가에 대해서도 많은 가변성이 있다. 그러나 몇가지 일반적인 형태는 언급된다. 어떤 사람들은 아주 빨리 남용적인 음주로 발달하는 반면에 대부분은 장기적인 사회적 음주를 통해서 발달한다. 이 기간 동안에는 음주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횟수도 많아지고 알콜에 의한 기분변화효과에 의존적이 된다. 알콜소비가 증가함에따라 많은 사람들은 “필림 끊기는 것(blackout)”을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 알콜의 영향하에서 의식이 있고 정상적인 양식으로 수행을 했지만 다음날 기억이 없는 시간범위이다. 알콜중독이 될 사람은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사람보다 앞서기 위해 그들이 모르도록 “은밀한 음주(sneaking drink)”(예, 남자화장실에 가는 길에 술집에 들리는것)를 시작한다. 다른 심각한 위험징후는 스스로를 “홍콩보내는(going)” 아침음주이다. 실제로 이러한 사람은 술을 마실때마다 취한다. 이들은 몇일간 지속적으로 흥청거리는 알콜중독 술자리를 계속할 것이다.
어떤 형태이던 간에 알콜의존성이 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이 일 주일에 적어도 두세번 취하게 되고 그리고 더 이상 마시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된다. 사람이 자제할 수 없고 자신이 의도한 것보다 습관적으로 많이 마시는 것으로 정의되는 “알콜에 대한 통제상실”은 중요한 초기 경고신호로 간주된다(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흥이 있는(spree)\" 술꾼으로 있으며 오래동안 취하지 않고 있다가 스트레스가 있으면 이에 대한 반응으로 종종 흥청되게 된다). 이러한 많은 형태들을 기술한 Jellinek(1946)는 술을 많이 마시기 시작하여 술에 의해 완전히 망가질 때까지의 전체 여정은 12년에서 18년 걸리지만 많은 사람들의 경우 이러한 여정은 더 짧다고 주장했다. 알콜의존성 과정은 흥미롭게도 충동적 도박과 같은 다른 행동황폐화 장애의 과정과 병행한다(<쉬어가기 11-2>를 보라).
남성이 여성보다 음주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더 크다. 오늘날 평가에 의하면 남성의 9%가 알콜남용의 고통을 겪고 있는데 이것은 여성의 1.5%와 대조적이다(Robins, Helzer, Przybeck, et al., 1988). 그리고 음주형태에서는 현저한 성차가 있다. 첫째, 여성들은 보편적으로 늦게 술을 마시기 시작하고 처음으로 술취하는 경험도 늦다. 그리고 알콜의존성도 늦게 발달되고 남성들보다 음주문제의 역사가 짧음으로 치료에 유용하다. 여성들은 음주문제를 갖게 되는 이유로 남성들보다 스트레스 사건을 많이 열거하고, 남성들에 비해 음주문제를 가진 배우자나 애인을 가질 가능성이 많다. 알콜의존성을 가진 여성은 그들의 상대 남성보다 혼자 술마시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여성이 어떤 사람과 술을 마실 때 그 사람은 그 여성과 가까워지는 것 같다. 반대로 남성은 여성에 비해 공적인 장소에서 그리고 낯선 사람과 술을 많이 마시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여성은 많은 양을 마시는 경우는 적고 흥청대는 것도 적다. 그리고 아침에 술마시는 경우도 적고 술자리 시간도 짧다. 마지막으로 여성들은 술과 함께 다른 약물 즉 진정제, 바르비투르산염(barbiturates), 암페타민(amphetamines), 최면제, 항우울제, 또는 비처방 약물을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Gomberg, 1981). 이런 다양한 음주형태가 사회적 역할차이와 관계가 있는지 아니면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와 관계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알콜의존성에 대한 조망
알콜의존성의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가 이후 단락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여기에는 많은 이론들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어떤 한 이론도 모든 상이한 의존성 사례들 예컨대 혼자 집에서 술을 마시는 여성, 핀볼기계 앞에서 시끄러운 남성, 상공인 청년회의소 연차대회(the Junior Chamber of Commerce Man of the Year)에서의 음주자, 길거리의 낙오자들의 음주 등에 적용될 수 없다. 이 점에서 우리가 알고있는 확실한 것은 모든 알콜의존성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유일한 특질인 알콜에 대한 요구라는 것이다. 대부분 종류의 이상행동과 마찬가지로 각각 사례의 알콜의존성 기저에는 다중요인들이 있을 것이고 어떤 한 요인의 중요성은 개인에 따라 다를 것이다.
정신역동적 조망
음주로 정서적 요구에
장기적인 알콜의존성에서 자주 나타나지는 않지만 심각한 병발은 delirium tremens로 글자대로 번역하면 “진전섬망증(trembling delirium)”인데 이것은 DTs로 잘 알려져있다. 이런 심각한 반응은 혈중알콜농도가 갑자기 떨어질 때 나타나는 금단증상이다. DTs 환자가 필요로 하는 용량이 박탈되면 심하게 떨고 땀을 많이 흘리고, 방향감각을 잃게된고 악몽착란(nightmarish delusion)을 겪게된다. 이러한 상태는 일반적으로 3일에서 6일까지 지속되는데 이 후에는 환자들이 다시는 술을 마시지 않겠다고 맹세를 하지만 많은 경우에 치료센터에서 나오면 곧 이 맹세는 깨어진다.
요약하면, 알콜남용은 건강을 손상시킨다. 사망율은 알콜남용자가 그렇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남성의 경우는 사망율이 2배에서 4배나 높고 여성의 경우는 3배에서 7배나 높다(G. Edwards, 1989).
알콜의존성의 발달
이 장의 뒤에서 보겠지만 어떤 유형의 사람이 알콜의존성이 될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많은 혼란이 있다. 또한 어떻게 사람들이 알콜의존적이 되는가에 대해서도 많은 가변성이 있다. 그러나 몇가지 일반적인 형태는 언급된다. 어떤 사람들은 아주 빨리 남용적인 음주로 발달하는 반면에 대부분은 장기적인 사회적 음주를 통해서 발달한다. 이 기간 동안에는 음주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횟수도 많아지고 알콜에 의한 기분변화효과에 의존적이 된다. 알콜소비가 증가함에따라 많은 사람들은 “필림 끊기는 것(blackout)”을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 알콜의 영향하에서 의식이 있고 정상적인 양식으로 수행을 했지만 다음날 기억이 없는 시간범위이다. 알콜중독이 될 사람은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사람보다 앞서기 위해 그들이 모르도록 “은밀한 음주(sneaking drink)”(예, 남자화장실에 가는 길에 술집에 들리는것)를 시작한다. 다른 심각한 위험징후는 스스로를 “홍콩보내는(going)” 아침음주이다. 실제로 이러한 사람은 술을 마실때마다 취한다. 이들은 몇일간 지속적으로 흥청거리는 알콜중독 술자리를 계속할 것이다.
어떤 형태이던 간에 알콜의존성이 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이 일 주일에 적어도 두세번 취하게 되고 그리고 더 이상 마시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된다. 사람이 자제할 수 없고 자신이 의도한 것보다 습관적으로 많이 마시는 것으로 정의되는 “알콜에 대한 통제상실”은 중요한 초기 경고신호로 간주된다(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흥이 있는(spree)\" 술꾼으로 있으며 오래동안 취하지 않고 있다가 스트레스가 있으면 이에 대한 반응으로 종종 흥청되게 된다). 이러한 많은 형태들을 기술한 Jellinek(1946)는 술을 많이 마시기 시작하여 술에 의해 완전히 망가질 때까지의 전체 여정은 12년에서 18년 걸리지만 많은 사람들의 경우 이러한 여정은 더 짧다고 주장했다. 알콜의존성 과정은 흥미롭게도 충동적 도박과 같은 다른 행동황폐화 장애의 과정과 병행한다(<쉬어가기 11-2>를 보라).
남성이 여성보다 음주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더 크다. 오늘날 평가에 의하면 남성의 9%가 알콜남용의 고통을 겪고 있는데 이것은 여성의 1.5%와 대조적이다(Robins, Helzer, Przybeck, et al., 1988). 그리고 음주형태에서는 현저한 성차가 있다. 첫째, 여성들은 보편적으로 늦게 술을 마시기 시작하고 처음으로 술취하는 경험도 늦다. 그리고 알콜의존성도 늦게 발달되고 남성들보다 음주문제의 역사가 짧음으로 치료에 유용하다. 여성들은 음주문제를 갖게 되는 이유로 남성들보다 스트레스 사건을 많이 열거하고, 남성들에 비해 음주문제를 가진 배우자나 애인을 가질 가능성이 많다. 알콜의존성을 가진 여성은 그들의 상대 남성보다 혼자 술마시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여성이 어떤 사람과 술을 마실 때 그 사람은 그 여성과 가까워지는 것 같다. 반대로 남성은 여성에 비해 공적인 장소에서 그리고 낯선 사람과 술을 많이 마시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여성은 많은 양을 마시는 경우는 적고 흥청대는 것도 적다. 그리고 아침에 술마시는 경우도 적고 술자리 시간도 짧다. 마지막으로 여성들은 술과 함께 다른 약물 즉 진정제, 바르비투르산염(barbiturates), 암페타민(amphetamines), 최면제, 항우울제, 또는 비처방 약물을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Gomberg, 1981). 이런 다양한 음주형태가 사회적 역할차이와 관계가 있는지 아니면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와 관계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알콜의존성에 대한 조망
알콜의존성의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가 이후 단락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여기에는 많은 이론들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어떤 한 이론도 모든 상이한 의존성 사례들 예컨대 혼자 집에서 술을 마시는 여성, 핀볼기계 앞에서 시끄러운 남성, 상공인 청년회의소 연차대회(the Junior Chamber of Commerce Man of the Year)에서의 음주자, 길거리의 낙오자들의 음주 등에 적용될 수 없다. 이 점에서 우리가 알고있는 확실한 것은 모든 알콜의존성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유일한 특질인 알콜에 대한 요구라는 것이다. 대부분 종류의 이상행동과 마찬가지로 각각 사례의 알콜의존성 기저에는 다중요인들이 있을 것이고 어떤 한 요인의 중요성은 개인에 따라 다를 것이다.
정신역동적 조망
음주로 정서적 요구에
추천자료
약물남용의 이론과 그 이해
약물남용(drug abuse)에 대해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개선방안 -청소년가출, 약물남용, 폭력을 중심으로-
약물남용의 종류와 현황 및 실채 해결방안
청소년약물남용 예방과 치료
약물남용의 원인과 종류 및 약물남용 방지 노력
약물남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약물남용의 치료모델과 해결방안
약물남용에 대한 레포트를 적은 후 소감
[사회문제론] 『알콜중독과 약물남용』 알콜중독과 약물남용의 개념과 실태, 알콜중독과 약물...
[★PPT발표자료★][Drug Abuse] 약물남용의 실태, 원인, 약남 남용 통계, 약물 남용 심각성 및 ...
노인의 약물, 노인의 음주, 노인의 흡연, 노인의 약물사용실태, 노인에게 흔히 처방되는 약,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현장 사례 [알코올 중독, 약물남용, 성폭행 사회복지사 개입 사례]
[약물남용의 개념] 약물남용의 원인, 약물의 종류, 약물남용 문제의 이론적 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