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문화와 사회 경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조선 전기와 청동기 문화
(1) 비파형동검 이전의 청동기문화
(2) 비파형동검 시기의 고조선문화

2. 후기 고조선과 철기문화(B.C 4~2C)
(1) 기원전 4세기 고조선지역
(2) 기원전 3~2세기의 철기문화

3. 고조선의 사회경제
(1) 사회성격
(2) 경제성격

본문내용

때 위만조선은 복잡한 사회와 빈번해진 중국과의 관계로 여러 가지 법이 제정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처음에 제정되었다는 8조금법은 위만조선의 단계에 와서 인위적으로 늘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법률을 시행하고 통제하기 위해 강력한 군사력과 경찰력이 합법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이는 고고학적으로 발견되는 무기로 추측할 수 있다. 결국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위만조선은 초기에 주위의 유이민집단을 흡수해 나간 정복국가였으며, 87년간 왕위를 세습하면서 더욱 완벽한 국가체제를 갖추었으리라 짐작된다.
(2) 경제성격
《관자》와 《국어》의 기록을 살펴보면 고조선시대에도 중국과의 교역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강상무덤에서 발견된 부장품 가운데 보배조개는 그 원산지가 동남아시아나 남부 중국의 아열대지방이어서 타 지역과의 교역이 활발했음을 보여준다. 초기에는 이러한 단편적인 증거가 보이며, 본격적인 무역중심지 역할은 위만조선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무역중심지 역할을 통해서 위만조선은 크게 발전할 수 있었는데, 그 증거로 중국과의 조공관계와 명도전의 존재를 들 수 있다.
㉮ 조공무역
중국과 우리 나라의 조공무역에서 오고가는 품목으로서 삼국시대에는 우리 나라에서 말금공녀포 등 실제 생활에서 이용되는 물품을 보냈으며, 반대로 중국으로부터 받는 물품은 예왕지인(穢王之印) 등의 신분의 상징에 필요한 것들이었다. 이처럼 신분을 상징하는 위세품을 받으려는 것은 족장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뚜렷한 양상 중의 하나이며 이 증거로 평양지역에서 출토된 인장이 있다.
신분을 상징하는 물품 외에도 선진적인 철기문화가 도입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철검과 활 같은 병기를 들여오는 조공무역은 위만조선이 강력한 군사력을 가지는 토대가 되었고 강력한 군사력을 가지게 된 위만조선은 곧 조공관계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또한 《사기》조선열전에도 위만조선의 철기문화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한나라와의 관계를 짐작 할 수 있다.
㉯ 명도전
만주지방과 한반도에서 출토된 명도전의 유적 상황을 보면 대부분 城址(성지)나 주거지와 같은 생활유적에서 단지나 나무상자에 담겨서 담장 옆이나 외딴 곳의 구덩이에 묻힌 경우가 대부분이다. 발견된 유적들은 대부분 일제시대에 수습된 것으로, 해방 후에는 세죽리와 노남리 등에서 발견되었고, 중국에서도 근래에 많이 발견되고 있다. 그런데 명도전 유적은 대부분 지상에 표식이 없이 지하에 묻혀 있기 때문에 특별한 유구의 특징을 알아내기는 힘들다. 기원전 3세기 말에 주로 제작된 명도전은 전국시대 말부터 진대에 걸쳐 북중국에서 사용된 것이므로 중국과 만주 및 한반도와 상업적인 빈번한 왕래(교역을)뚜렷이 보여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포전, 반량전, 고조선의 화폐인 일화전과 명화전이 출토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가장 출토례가 많은 화폐가 연의 화폐인 명도전이라는 것은 후기 고조선과 위만조선시기에 고조선이 연과 교역을 활발히 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명도전이 무역의 중요한 수단이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을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2.05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