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 제 1 장 신체적 특징>
1.크기
2.외모
3.성차
<제 2 장 기본적 욕구>
1.수면
2.배설
3.섭생
< 제 3 장 운동발달>
1.이행능력의 발달
2.조작능력의 발달
< 제 1 장 신체적 특징>
1.크기
2.외모
3.성차
<제 2 장 기본적 욕구>
1.수면
2.배설
3.섭생
< 제 3 장 운동발달>
1.이행능력의 발달
2.조작능력의 발달
본문내용
⇒2개월: 누워서 팔을 뒤로 쳐든다.
⇒3~4개월: 손을 폈다가 주먹을 쥐곤 한다. 대상을 보고 손을 뻗는다.
⇒4~5개월: 물건을 어설프게 쥔다.
⇒6~7개월: 물건을 쥐고 손목을 돌린다.
⇒7~8개월: 손가락 움직임이 나타난다.
⇒10~12개월: 손가락을 사용하여 물건을 집는다.
⇒24~30개월: 손가락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대소변 통제가 가능하다.
3.운동기능 발달
중추 신경계와 근육, 골격이 적당히 성숙되고, 적절한 자세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여건이 주어지면 아기는 자연히 머리를 쳐들 수 있을 것이다. 아기들은 머리를 들도록 특별히 학습할 필요가 없으며, 연습을 많이 하면 할수록 더 잘할 수 있게 된다.
⇒머리조절: 영아의 경우 출생하면서부터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양옆으로 머리를 돌릴 수
있고, 배를 바닥에 대고 엎드린 채로 머리를 돌릴 수 있을 만큼 머리를 들 수 있다. 먼저 엎드린 상태에서 머리 들기에 숙달하고 그 다음에 앉아서 머리를 꼿꼿이 세우기에 숙달하며, 그리고 나서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들기에 숙달하게 된다.
⇒앉기: 어떤 영아는 7개월 반쯤 되었을 때 팔에 기대지 않고 혼자 앉는 방법을 알아내었고, 한시간도 채 되지 않아서, 처음으로 발로 설 수 있게 되었다. 아기들은 누워있는 자세에서 일어서거나, 서 있는 자세에서 밑으로 내려감으로써 앉기를 배운다. 평균적으로 보아 4개월 째에는 도움을 받아서 앉을 수 있고, 6개월에는 의자에 앉으며, 7개월에는 혼자 앉는다.
⇒뒤집기: 약 5개월쯤 되면 배에서 등으로 뒤집고, 그 다음에는 등에서 배쪽으로 뒤집는다.
⇒걷기 전 이동동작: 걷기를 하기 전에도 아기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주위를 돌아다닌다. 엎드려서 몸을 비틀고 팔로 몸을 앞으로 끌어당기고, 발은 뒤에서 질질 끌면서 기어다닌다. 앉은 자세에서 앞으로 움직이고 팔과 다리로 앞을 향해 밀면서 끌어당기기도 하고 밀며 다니기도 한다. 아기들은 두 손과 두 발을 땅에 닿게 해서 마치 곰처럼 네 발로 걷기도 한다. 그리고 몸통을 쳐들고 손과 무릎으로 엉금엉금 기어다니기도 한다. 대부분의 아기들은 약 9, 10개월이 되면 기어다닌다.
⇒서기: 손으로 붙잡아 주면 8개월 째에 설 수 있고, 그러다가 1개월 후에는 가구를 붙잡고 설 수 있으며, 약 1년째에는 서기 자세를 취할 수 있고 13개월 또는 14개월에는 혼자 설 수 있다.
⇒걷기: 어떤 영아의 경우, 처음 혼자 선 1개월 이내에 첫 걸음을 내딛었고 곧 바닥에 넘어진 후에는 다시 기어다니다가, 또 다시 걷기를 시도해 보았다. 며칠 내에 비틀거리지만 균형을 잡아 걸었다. 11개월에는 도움을 받아 걸었고, 14개월에는 혼자서 걸었고, 18개월에는 부자연스럽게 뛰었다. 18개월에는 한 손을 잡고서 계단을 올랐으며 20개월에는 두발모아 뛰기를 하였다.
⇒조작: 영아는 5개월쯤 되면 물건을 꼭 쥘 수는 없으나 만질 수는 있다. 7개월에는 물건을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손바닥으로 쥘 수 있게 된다. 9개월에는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성숙한 수행을 보여준다. 그러나 도구를 조작하게 위해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은 훨씬 이후에야 가능하다.
⇒눈과 손의 협응: 정적인 시각탐색
능동적이고 반복적인 시각 탐색
파악과 조작의 시도
운동기술이 가져다주는 오락적 가치 외에도, 아이가 신체에 대한 통제력을 늘려나가는 것은 다른 중요한 인지적 사회적인 결과를 갖는다. 다양한 운동능력의 성취는 지각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기기와 걷기는 둘 다 거리관계의 이해와 높이에 대한 건강한 공포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인간발달은 총체적인 기획이며, 운동기술의 변화는 다른 측면의 발달이 일어났다는 중요한 표시임을 알게된다.
⇒3~4개월: 손을 폈다가 주먹을 쥐곤 한다. 대상을 보고 손을 뻗는다.
⇒4~5개월: 물건을 어설프게 쥔다.
⇒6~7개월: 물건을 쥐고 손목을 돌린다.
⇒7~8개월: 손가락 움직임이 나타난다.
⇒10~12개월: 손가락을 사용하여 물건을 집는다.
⇒24~30개월: 손가락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대소변 통제가 가능하다.
3.운동기능 발달
중추 신경계와 근육, 골격이 적당히 성숙되고, 적절한 자세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여건이 주어지면 아기는 자연히 머리를 쳐들 수 있을 것이다. 아기들은 머리를 들도록 특별히 학습할 필요가 없으며, 연습을 많이 하면 할수록 더 잘할 수 있게 된다.
⇒머리조절: 영아의 경우 출생하면서부터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양옆으로 머리를 돌릴 수
있고, 배를 바닥에 대고 엎드린 채로 머리를 돌릴 수 있을 만큼 머리를 들 수 있다. 먼저 엎드린 상태에서 머리 들기에 숙달하고 그 다음에 앉아서 머리를 꼿꼿이 세우기에 숙달하며, 그리고 나서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들기에 숙달하게 된다.
⇒앉기: 어떤 영아는 7개월 반쯤 되었을 때 팔에 기대지 않고 혼자 앉는 방법을 알아내었고, 한시간도 채 되지 않아서, 처음으로 발로 설 수 있게 되었다. 아기들은 누워있는 자세에서 일어서거나, 서 있는 자세에서 밑으로 내려감으로써 앉기를 배운다. 평균적으로 보아 4개월 째에는 도움을 받아서 앉을 수 있고, 6개월에는 의자에 앉으며, 7개월에는 혼자 앉는다.
⇒뒤집기: 약 5개월쯤 되면 배에서 등으로 뒤집고, 그 다음에는 등에서 배쪽으로 뒤집는다.
⇒걷기 전 이동동작: 걷기를 하기 전에도 아기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주위를 돌아다닌다. 엎드려서 몸을 비틀고 팔로 몸을 앞으로 끌어당기고, 발은 뒤에서 질질 끌면서 기어다닌다. 앉은 자세에서 앞으로 움직이고 팔과 다리로 앞을 향해 밀면서 끌어당기기도 하고 밀며 다니기도 한다. 아기들은 두 손과 두 발을 땅에 닿게 해서 마치 곰처럼 네 발로 걷기도 한다. 그리고 몸통을 쳐들고 손과 무릎으로 엉금엉금 기어다니기도 한다. 대부분의 아기들은 약 9, 10개월이 되면 기어다닌다.
⇒서기: 손으로 붙잡아 주면 8개월 째에 설 수 있고, 그러다가 1개월 후에는 가구를 붙잡고 설 수 있으며, 약 1년째에는 서기 자세를 취할 수 있고 13개월 또는 14개월에는 혼자 설 수 있다.
⇒걷기: 어떤 영아의 경우, 처음 혼자 선 1개월 이내에 첫 걸음을 내딛었고 곧 바닥에 넘어진 후에는 다시 기어다니다가, 또 다시 걷기를 시도해 보았다. 며칠 내에 비틀거리지만 균형을 잡아 걸었다. 11개월에는 도움을 받아 걸었고, 14개월에는 혼자서 걸었고, 18개월에는 부자연스럽게 뛰었다. 18개월에는 한 손을 잡고서 계단을 올랐으며 20개월에는 두발모아 뛰기를 하였다.
⇒조작: 영아는 5개월쯤 되면 물건을 꼭 쥘 수는 없으나 만질 수는 있다. 7개월에는 물건을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손바닥으로 쥘 수 있게 된다. 9개월에는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성숙한 수행을 보여준다. 그러나 도구를 조작하게 위해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은 훨씬 이후에야 가능하다.
⇒눈과 손의 협응: 정적인 시각탐색
능동적이고 반복적인 시각 탐색
파악과 조작의 시도
운동기술이 가져다주는 오락적 가치 외에도, 아이가 신체에 대한 통제력을 늘려나가는 것은 다른 중요한 인지적 사회적인 결과를 갖는다. 다양한 운동능력의 성취는 지각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기기와 걷기는 둘 다 거리관계의 이해와 높이에 대한 건강한 공포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인간발달은 총체적인 기획이며, 운동기술의 변화는 다른 측면의 발달이 일어났다는 중요한 표시임을 알게된다.
추천자료
[통계학]제 1 장 통계학에의 초대
노인 케어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노인케어 서비스 사례 분석(볼티모어 Guide Care 프로그램...
과제1) 아동발달적 특성은 무엇이며 에릭슨과 프로이드의 발달단계론의 차이에 대해 논하시오...
영아기 신체, 인지 발달특성을 알아보고 이에 기초하여 그림책1권씩을 선정 분석.
영아기(만0세~만2세) 와 유아기(만3세~만5세)의 발달특성을 신체,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
인간의 발달단계 특징에 대해 조사하기 - 태아기,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
[아동영양학]영아기와 유아기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각 시기의 특징을 고려하여 영아기...
[영아발달]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의 인간발달 8단계에 대해 설명하고 영아기 시...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의 인간발달 8단계에 대해 설명하고 영아기 시기인 1단계...
노인교육프로그램 하나를 선정하여 (1) 현황, 내용, 교육방법 등을 조사하여 기술하고, (2) ...
영아기 문자 언어 발달의 특징과 문자 언어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
[노인교육론] 노인교육프로그램 하나를 선정하여 (1)현황, 내용, 교육방법 등을 조사 (2)이 ...
영아기의 정서발달 특징과 중요성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노인교육론] 노인교육프로그램 하나를 선정하여 (1) 현황, 내용, 교육방법 등을 조사하여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