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 사회정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정서 발달
1) 정서표현 발달이론
2) 정서발달의 결정인자
3) 정서의 이해능력
4) 정서의 규제능력

2. 기질의 발달

3. 애착 발달
1) 애착의 발달
2) 애착의 대상
3) 애착의 영향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해서 부모의 행동을 통제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이러한 관찰결과 영아기에 형성된 애착유형이 지속적이며, 각기 독특한 방식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애착유형의 지속성과 관련하여 애착유형이 세대간 전달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주목을 끈다. 이들 연구에서는 어린 아기를 둔 젊을 부모에게 자신의 어린 시절 애착형성 양상을 회고하게 하여 진단하고, 이들 젊은 부모와 아기간의 애착유형을 실험실에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이 연구결과 두 세대의 애착양상간에 62에 이르는 높은 상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 시절 부모와 가졌던 애착경험이 성인기까지 지속하여 부모로서의 자녀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나아가 자신과 자녀와의 애착관계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잇다. 그러나 현재로는 이러한 인과적 설명의 타당성 여부는 더 많은 검토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②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애착이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유명한 연구가 Harlow 등(1977)의 사회성 박탈(social deprivation) 실험이다. 이들은 갓 태어난 새끼원숭이를 어미원숭이에게서 뗀 뒤 3개월간 다른 원숭이와 접촉할 수 없는 상자 속에 분리시켜 양육하였다. 이러한 생후 첫 3개월간의 사회성 박탈은 새끼원숭이에게 큰 정서적인 충격을 남겼다.
분리 성장한 원숭이를 다른 원숭이가 있는 상자 속에 다시 넣었을 때 이들은 다른 원숭이와의 접촉을 피하고, 두려워하며, 얼굴을 파묻고 몸을 웅크리는 등 정서적 불안과 공포를 드러내었다.
이들 사회성박탈 원숭이들도 정상적인 또래 집단 속에 넣어주면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정상적인 사회성을 회복할 수 있으나. 생후 1년을 전후하는 시기에 정상적으로 성장한 원숭이에 비해 극심한 공격적 성향을 보인다.
원숭이의 사회성박탈 실험결과는 유아의 애착과 정서발달과의 관계에 그 대로 유추되고 있다. 따라서 애착형성이 불안정한 영아는 성장 후에 정서적으로 불안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격리불안과 낯선이 불안도 지속적인 정서적 영향을 미친다. 애착형성시기에 장기간의 출타입원 등으로 애착대상과 떨어지거나, 간헐적으로 낯선 사람에게 맡겨진 유아는 정상적으로 성장한 유아에 비해 나선 상황에서 보다 높은 불안을 갖는다. 이러한 불안이 성장 후에 대인불안으로 지속될 가능성도 있으나. 경험적인 증거를 찾기는 어렵다.
모성박탈(maternal deprivation)이나 격리불안 경험이 불안정 애착을 형성하거나 정서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은 취업모의 아기나 시설에서 자라는 아기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될 있다. 특히 아기의 출생 직후부터 어머니가 일하러 나가면서 보육환경이 좋지 않은 영아원에 아기를 맡기는 저소득 계층의 많은 유아들이 불안정 애착을 형성하며, 3~4세 경에 강한 공격성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문제가 된다. 가정에서 애착형성에 문제가 있더라도 영아 대 보모의 비율이 낮고 상호작용의 양과 질이 놓은 보육원에서 양육하면 부정적 영향이 크게 감소된다. 아버지, 조부모, 또래 등 어머니를 대신하는 애착대상을 갖는 것도 권장되고 있다.
③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아기에 형성된 애착의 질은 성장 후 아동의 또래관계와 상관이 있다. Sroufe등은 12개월에 안정 및 불안정 애착으로 식별된 아기를 3세6개월까지 추적하여 관찰하였다. 안정적으로 애착이 형성된 3세6개월의 유아는 불안정 애착형성 유아의 비해 또래 아이에게 더 많은 애정과 관심을 보이고, 놀이장면에서 주도권을 가지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많고, 덜 공격적이었다. 교사들도 안정애착 유아를 자아존중감이 높고, 공감적이며, 사회적 기술이 높고, 친구가 많은 아이로 평가하였다. 또한 또래 사이에서도 보다 인기가 있는 아이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경향을 그 후에 다른 연구들에 의해서 저지되었으며, 초등학교 시기에도 지속되었다.
Sroufe 등은 같은 아동을 11세에 다시 추적하여 관찰하였다. 이 연령에서도 안정애착유형의 아동은 불안정 애착 아동에 비해 친구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더 밀접한 우정관계를 가졌다. 학교 상담교사도 이들을 보다 자신감이 있고, 자아존중감이 놓으며, 사회적으로 유능하고, 성인에 덜 의존하는 아동으로 평가하였다.
애착형성양상을 자아인지 발달과도 관계가 있다. 안정애착형성 유아는 6세 경에 보다 긍정적인 자아인지를 보이면서도 자신의 한계를 수용하고 인정하는 반면에, 불안정 회피유형의 유아는 자신을 완벽하게 보이려는 경향이 높았다.
④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Ainsworth(1973)는 안정애착 영아는 ‘낯선 상황’에서 어머니를 안전기지로 삼음으로써 새로운 환경을 탐색하려는 보다 적극적인 탐색행동과 인지적 호기심을 보인다는 사실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안전기지현상은 유아기까지 지속되는 것 같다. 안정애착유형의 유아는 낯설거나 복잡한 대상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탐색행동을 보인다. 이에 반하여 불안정 애착유아는 지적호기심이 낮고, 문제 해결과제나 놀이를 주었을 때 과업몰입정도가 낮고, 지속적이지 못하며, 즐거워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종단적 연구결과를 보면 영아기에 안정된 애착을 형성한 아동은 초등학교 시기에 전반적으로 성적이 놓다.
초기 애착형성이 인지발달에 미치는 지속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자료는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자료에 비해 충분하지 못하지만 제시된 자료들은 논란의 여지없이 애착형성이 인지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참 고 문 헌 】
발달심리학 / 정옥분 / 학지사 2004.
아동심리학 / 장희숙 / 박영사 2001.
아동발달심리 / 김경중 외 / 학지사 1999.
발달심리학 / 송명자 / 학지사 1998.
아동의 세계 / 이영 외 / 양서원 1997.
영아기 발달/ 티파니필드 / 이화여대 출판부 1997.
+http://toeduco.pe.kr/counseling/attachment.htm
+http://plaza.snu.ac.kr/~dikimedu/chapter7.htm
+http://www.psycheworld.co.kr/study/family_08.html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02.06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3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