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소요법의 종류
2)산소투여의 적응증
3) 산소 투여의 위험성
2)산소투여의 적응증
3) 산소 투여의 위험성
본문내용
질소가 산소와 대치되어 제거되는 것과 또한 폐의 계면활성제에 대한 산소의 영향 때문이다. 즉 산소의 과다증은 계면활성제의 생산을 방해하고, 계면활성제의 손실은 침범받은 폐포군을 허탈시키는 표면 장력의 힘을 증가시킨다.
⑥수정체 후방 섬유증식증
미숙아에게서 고농도 산소로 호흡을 시킬 때 볼 수 있다. 혈중 산소분압이 200mmHg이상인 산소 농도에 노출된 어린이는 렌즈 뒤가 섬유화되어 망막에 빛을 텅과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어린이의 시력은 정규적으로 검사하지 않으므로 눈이 보이지 않는 것을 즉시 알 수는 없다. 성인도 각막과 렌즈에 산소독성으로 눈물, 부종, 시야 손상이 초래된다.
⑦산소-유도 무호흡
만성 탄산가스 정체 환자의 호흡 자극은 연수와 뇌교안에 있는 중추감수체에서 하지 않고 동맥궁과 목동맥에 있는 말초화학감수체에서 한다. 이들 감수체는 동맥혈중에 산소가 부족할 때 자극되므로 만성 탄산가스 정체환자에게 산소를 투여하면 호흡에 대한 자극을 없애 과소환기와 호흡 부전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만성 호흡부전 환자나 탄산가스 정체 환자에게 산소요법이 필요할 때는 반드시 25~ 35%의 낮은 농도의 산소를 아주 천천히 조심스럽게 투여해야 한다
⑥수정체 후방 섬유증식증
미숙아에게서 고농도 산소로 호흡을 시킬 때 볼 수 있다. 혈중 산소분압이 200mmHg이상인 산소 농도에 노출된 어린이는 렌즈 뒤가 섬유화되어 망막에 빛을 텅과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어린이의 시력은 정규적으로 검사하지 않으므로 눈이 보이지 않는 것을 즉시 알 수는 없다. 성인도 각막과 렌즈에 산소독성으로 눈물, 부종, 시야 손상이 초래된다.
⑦산소-유도 무호흡
만성 탄산가스 정체 환자의 호흡 자극은 연수와 뇌교안에 있는 중추감수체에서 하지 않고 동맥궁과 목동맥에 있는 말초화학감수체에서 한다. 이들 감수체는 동맥혈중에 산소가 부족할 때 자극되므로 만성 탄산가스 정체환자에게 산소를 투여하면 호흡에 대한 자극을 없애 과소환기와 호흡 부전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만성 호흡부전 환자나 탄산가스 정체 환자에게 산소요법이 필요할 때는 반드시 25~ 35%의 낮은 농도의 산소를 아주 천천히 조심스럽게 투여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