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사]남과 북의 단독정부 수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현대사]남과 북의 단독정부 수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한민국의 수립
1) 남한단선의 결정
2) 5.10 선거와 대한민국의 수립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1) 북조선인민위원회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제주 4.3사건

본문내용

제주 도민의 무장전위대인 '자위대' 5백여명과 그 동조자 1천여 명은 도내 20여 개의 경찰지서 중 10여 개의 경찰지서 습격을 시작으로 경찰과 서북청년단의 숙사 및 국민회, 독립촉성회, 대한청년단 등 우익단체의 요인과 관공리의 집을 공격하였으며 인민유격대를 조직 본격적으로 전투체계를 갖추었다.
미군정은 이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하여 4월 5일 제주도 비상경비사령 부를 설치한 후 통행증제를 실시하고, 4월 10일에는 부산 주둔의 국방경비대 제5연대 제2대대를 제9연대에 배속하여 경비대의 병력을 증강시켰으며, 또한 유격대와의 연고가 짙어서 진압작전을 효율적으로 치르기에 부적당한 제주 출신의 경찰 대신 타도로부터 차출한 1,700여 명의 경찰을 파견하였다.
한편, 이러한 무력충돌 상황에서 국방경비대(국군)과 평화협상이 체결되었다. 하지만, 우익측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서서히 우익들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초토화 작적으로 마을 전체를 몰살하는 방식으로 진압이 시작되어 제주도에서는 엄청난 희생이 발생하였다. 무자비한 학살이 자행된 후 1949년 4월 9일 이승만이 제주도에 직접 와서 더 이상의 저항이 없음을 본 뒤 5월 재선거를 실시하였다. 최근 제주도의회 특별위원회는 피해자수를 14125명으로 잠정집계하였다.
제주 4.3 항쟁의 역사적 의의는 바로 1945년 해방이후 남한은 독자적으로 인민정부를 수립하고 또 이를 유지해 나갈 수 있은 역량이 충분히 있었음에도 미국과 일부 극우세력들의 무자비한 폭력에 의해 인민의 뜻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남한만의 단독 정부가 수립되었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주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2.14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