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감수로 위환하야 색이하고 내복단감초탕이오.
갑작스런 이롱에는 감수를 사용하여 환약을 만들어 귀를 막고 단감초탕을 내복한다.
稍久면, 用松香 五錢을 溶化하야, 入巴豆 [卄]粒하야, 蔥汁으로 搗丸하야, 綿 塞耳하라,
초구면 용송향 오전을 용화하야 입파두 입립하야 총즙으로 도환하야 면과 색이하라.
폭롱이 조금 오래되면 송향 20g을 사용하여 녹여서 파두 20알을 넣고 파 즙으로 찧어 환을 만들어 솜으로 싸서 귀를 막는다.
左聾이면 塞右하고, 右聾이면 塞左하고, 雙聾이면 次第로 塞之니라.
좌롱이면 색우하고 우롱이면 색좌하고 쌍롱이면 차제로 색지니라.
좌측 이롱이면 우측귀를 막고, 우측 이롱이면 좌측 귀를 막고 양쪽 이롱이면 차례대로 막는다.
○凍耳는, 用欖核을 燒灰하야, 油로 調요,
동이는 용람핵을 소회하야 유로 조차요.
언 귀는 감람씨를 사용하여 태워 재를 내어 기름으로 조절해 바른다.
如爛엔, 貝母末을 乾이니라.
여란엔 패모말을 건삼이니라.
(나물죽, 차지게 하다 삼; 米-총17획; shen,san,san)
귀가 만약 문드러지면 패모 가루를 건조하여 뿌린다.
○百蟲이 入耳엔, 用淸油를 灌入하고, 口로 吸氣, 久면 自出이오.
백충이 입이엔 용청유를 관입하고 구로 흡기 구면 자출이오.
모든 벌레가 귀로 들어가면 맑은 기름을 사용하여 부어 넣게 하고 입을 숨을 들이쉼이 오래되면 스스로 나온다.
如이 入耳엔, 用信花, 雄黃 各一錢을 爲末하야, 先用一字를 點耳中하라,
여유연이 입이엔 용신화 웅황 각일전을 위말하야 선용일자를 점이중하라.
(그리마, 절족동물 유; -총11획; you)
(구불구불할, 그리마 연; -총13획; yan)
*그리마 동물 절지동물 그리맛과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지네와 가까운 종류로 다리가 여러 쌍이며 머리에 긴 더듬이가 있다. 어둡고 습한 곳에서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다.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유연11()육니02(니@).
만약 절지곤충이 귀에 들어가면 신화 웅황 각 4g을 가루내어 먼저 1g을 귀 속에 점으로 넣는다.
次用猫尿를 灌之니, 取猫尿는 以生姜[薑]으로 擦牙면 自出이니라.
차용묘뇨를 관지니 취묘뇨는 이생강으로 찰아면 자출이니라.
다음에 고양이 소변을 사용하여 관주하니 고양이 소변을 취함은 생강으로 어금니를 문지르면 스스로 나온다.
又方은 用琴絃의 一段하대, 將紋頭를 略軟二分하야, 膠, 入耳하야 粘出이니라.
우방은 용금현의 일단하되 장문두를 약연이분하야 잠리교 입이하야 점출이니라.
(끈끈이, 새잡는 풀 리{이}; 黍-총23획; li)
또 한 방법은 거문고의 한 줄을 사용하여 장차 무늬 머리를 대략 2푼을 연하게 하여 끈끈이 아교에 담가서 귀에 넣어서 끈적하게 나오게 한다.
凡臥에 不宜厚被로 覆塞耳氣니, 久則不通, 故로 養生者는, 常摩耳廓하야, 以防聾也니라.
범와에 불의후피로 부색이기니 구즉불통 고로 양생자는 상마이곽하야 이방롱야니라.
누음에 두터운 이불로 귀의 기를 덮고 막으면 안되니 오래되면 소통하지 않으므로 양생하는 사람은 항상 귀바퀴를 문질러서 이롱을 방지하였다.
갑작스런 이롱에는 감수를 사용하여 환약을 만들어 귀를 막고 단감초탕을 내복한다.
稍久면, 用松香 五錢을 溶化하야, 入巴豆 [卄]粒하야, 蔥汁으로 搗丸하야, 綿 塞耳하라,
초구면 용송향 오전을 용화하야 입파두 입립하야 총즙으로 도환하야 면과 색이하라.
폭롱이 조금 오래되면 송향 20g을 사용하여 녹여서 파두 20알을 넣고 파 즙으로 찧어 환을 만들어 솜으로 싸서 귀를 막는다.
左聾이면 塞右하고, 右聾이면 塞左하고, 雙聾이면 次第로 塞之니라.
좌롱이면 색우하고 우롱이면 색좌하고 쌍롱이면 차제로 색지니라.
좌측 이롱이면 우측귀를 막고, 우측 이롱이면 좌측 귀를 막고 양쪽 이롱이면 차례대로 막는다.
○凍耳는, 用欖核을 燒灰하야, 油로 調요,
동이는 용람핵을 소회하야 유로 조차요.
언 귀는 감람씨를 사용하여 태워 재를 내어 기름으로 조절해 바른다.
如爛엔, 貝母末을 乾이니라.
여란엔 패모말을 건삼이니라.
(나물죽, 차지게 하다 삼; 米-총17획; shen,san,san)
귀가 만약 문드러지면 패모 가루를 건조하여 뿌린다.
○百蟲이 入耳엔, 用淸油를 灌入하고, 口로 吸氣, 久면 自出이오.
백충이 입이엔 용청유를 관입하고 구로 흡기 구면 자출이오.
모든 벌레가 귀로 들어가면 맑은 기름을 사용하여 부어 넣게 하고 입을 숨을 들이쉼이 오래되면 스스로 나온다.
如이 入耳엔, 用信花, 雄黃 各一錢을 爲末하야, 先用一字를 點耳中하라,
여유연이 입이엔 용신화 웅황 각일전을 위말하야 선용일자를 점이중하라.
(그리마, 절족동물 유; -총11획; you)
(구불구불할, 그리마 연; -총13획; yan)
*그리마 동물 절지동물 그리맛과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지네와 가까운 종류로 다리가 여러 쌍이며 머리에 긴 더듬이가 있다. 어둡고 습한 곳에서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다.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유연11()육니02(니@).
만약 절지곤충이 귀에 들어가면 신화 웅황 각 4g을 가루내어 먼저 1g을 귀 속에 점으로 넣는다.
次用猫尿를 灌之니, 取猫尿는 以生姜[薑]으로 擦牙면 自出이니라.
차용묘뇨를 관지니 취묘뇨는 이생강으로 찰아면 자출이니라.
다음에 고양이 소변을 사용하여 관주하니 고양이 소변을 취함은 생강으로 어금니를 문지르면 스스로 나온다.
又方은 用琴絃의 一段하대, 將紋頭를 略軟二分하야, 膠, 入耳하야 粘出이니라.
우방은 용금현의 일단하되 장문두를 약연이분하야 잠리교 입이하야 점출이니라.
(끈끈이, 새잡는 풀 리{이}; 黍-총23획; li)
또 한 방법은 거문고의 한 줄을 사용하여 장차 무늬 머리를 대략 2푼을 연하게 하여 끈끈이 아교에 담가서 귀에 넣어서 끈적하게 나오게 한다.
凡臥에 不宜厚被로 覆塞耳氣니, 久則不通, 故로 養生者는, 常摩耳廓하야, 以防聾也니라.
범와에 불의후피로 부색이기니 구즉불통 고로 양생자는 상마이곽하야 이방롱야니라.
누음에 두터운 이불로 귀의 기를 덮고 막으면 안되니 오래되면 소통하지 않으므로 양생하는 사람은 항상 귀바퀴를 문질러서 이롱을 방지하였다.
추천자료
생물 알레르기 보고서
[최강자료] 안락사에 대해서...리포트 작성시 유용한참고글
Overloading
무중력상태 & 운동부족에 따른 골격∘근의 형태적, 기능적 변화
[운동학습]소뇌의 자동화된 운동학습 방법 및 모델의 탐색
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확립
이상심리학, 불안 및 정신지체적 장애,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사회적 및 대인관계적 장애
기저핵(Basal Ganglia)
스트레스의 개념과 대처방안
기저핵(Basal Ganglia)
뇌의혈액순환에 대하여 (A+)
분석심리학 [ANALYTICAL PSYCHOTHERAPY] (심리치료 실제)
MRI(Magnetic Resonance Image)에 대한 이해 [MRI, 자기공명, CT, MRI 구성, MRI 원리]
성격이론 3가지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성격측정 검사 3가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