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래지향적 게임의 개요
1.1 게임의 특성
1.2 세계 게임산업의 동향
1.3 새로운 소프트웨어 및 멀티미디어컨텐츠산업으로서의 게임산업
2. 게임제작 정보기술개발 동향
2.1 게임의 유형과 발전 동향
2.2 게임제작 기술에 필요한 정보기술의 동향
3. 미래의 게임산업 모델
4. 미래의 게임 유형 전망
4.1 Computer Games 및 PC
4.2 Video Games 및 비디오게임기
4.3 Arcade Games
4.4 Internet-based Games
4.5 Web-TV Games
4.6 Local-based Entertainment(Game)
5. 우리나라의 게임산업의 발전 전망과 전략
5.1 비디오게임의 개발 기회 확보 시급
5.2 아케이드 게임의 독자적인 연구 개발 필요
5.3 온라인게임의 국제화로 수출확대
5.4 컴퓨터게임(패키지PC게임)
5.5 게임창작 그룹의 전문인력 양성 시급
6. 결 언
1.1 게임의 특성
1.2 세계 게임산업의 동향
1.3 새로운 소프트웨어 및 멀티미디어컨텐츠산업으로서의 게임산업
2. 게임제작 정보기술개발 동향
2.1 게임의 유형과 발전 동향
2.2 게임제작 기술에 필요한 정보기술의 동향
3. 미래의 게임산업 모델
4. 미래의 게임 유형 전망
4.1 Computer Games 및 PC
4.2 Video Games 및 비디오게임기
4.3 Arcade Games
4.4 Internet-based Games
4.5 Web-TV Games
4.6 Local-based Entertainment(Game)
5. 우리나라의 게임산업의 발전 전망과 전략
5.1 비디오게임의 개발 기회 확보 시급
5.2 아케이드 게임의 독자적인 연구 개발 필요
5.3 온라인게임의 국제화로 수출확대
5.4 컴퓨터게임(패키지PC게임)
5.5 게임창작 그룹의 전문인력 양성 시급
6. 결 언
본문내용
크 기능 및 온라인화로 새로운 게임창출 예상
4.4 Internet-based Games
온라인게임으로 가상사회를 구성하여 가상화폐 통용, 가상국가, 가상학교, 가상기업, 가상가정 등 건설과 다양한 유형의 인터넷 사회망 구현으로 새로운 게임의 유형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됨.
4.5 Web-TV Games
인터넷과 컴퓨터 및 방송과 TV의 연결로 새로운 유형의 게임컨텐츠의 개발이 예측되며, 비디오게임 및 온라인게임, 컴퓨터게임의 통합화를 구현할 수 있는 환경 제공도 가능하리라는 전망이다.
4.6 Local-based Entertainment(Game)
디즈니랜드, 에버랜드 등과 같은 테마파크에 게임머신 및 게임컨텐츠를 탑재시켜 새로운 유형의 물리적인 게임화로 강한 신체적인 감각을 경험할 수 있는 유형의 게임과 플레이어가 직접 참가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현실과 가상의 조화를 경험할 수 있는 게임플레이 환경제공.
5. 우리나라의 게임산업의 발전 전망과 전략
5.1 비디오게임의 개발 기회 확보 시급
비디오게임기(Playstaion, Dreamcast, Nintendo 등)에 탑재할 수 있는 기술의 습득은 물론 일본의 비디오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며,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하고 있는 ‘X-Box’ 게임기용 게임을 개발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거대한 비디오게임의 세계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선결과제라고 생각하며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일본의 비디오게임기용 게임개발 기회 획득
- 국내 게임개발사의 게임시나리오, 게임기획 및 게임디자인 기술의 우수성 확보 및 마케팅 전략 연구
- 게임제작 기술력(그래픽 및 프로그래밍 등) 향상으로 우수한 게임제작 능력 확보 및 국제 경쟁력 강화
- 관련 기관 및 민간단체의 외교통상 노력 절대 필요
- 일본어 자막 및 음성이 삽입된 게임소프트웨어의 국내 유통의 조속한 개방 및 허용
- 비디오게임의 불법 복제 근절로 신뢰도 회복
◈ 마이크로소프트의 전용게임기용 게임개발에 참여기회 획득
- 게임소프트웨어 개발전략 및 마케팅 전략 수립
- 국내 게임개발사들의 MS사와 전략적 제휴 모색
- 국제 감각 및 국제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게임컨텐츠의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
◈ 국산 비디오게임기의 개발
거대한 세계 비디오게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국산 비디오게임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게임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5.2 아케이드 게임의 독자적인 연구 개발 필요
흥행성과 부가가치가 높은 아케이드게임의 창의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시기이며, 이를 위하여 아케이드 게임의 개발의 전문인력 양성과 게임연구 및 개발을 통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 지향적인 게임개발에 노력 필요하며, 게임개발사의 지적 소유권을 보호하는 차원의 국제 지적소유권 법제화를 분명하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게임제작 기술 관련의 국제 지적 소우권 분쟁에서 국내 게임개발사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조속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5.3 온라인게임의 국제화로 수출확대
인터넷의 확산 보급과 정보통신 기술의 경쟁력 강화로 인터넷 게임인 온라인게임의 컨텐츠의 국제화로 수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5.4 컴퓨터게임(패키지PC게임)
멀티미디어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한 게임개발로 국산 게임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게임의 국제화로 수출전략 마케팅 및 게임디자인 창작의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5.5 게임창작 그룹의 전문인력 양성 시급
국내의 게임제작 기술 중 게임그래픽 및 게임 프로그래밍은 어느 정도 국제 수준에 도달하고 있으나, 게임시나리오 및 게임디자인 창작 부문은 상당하게 뒤진 상태이므로, 우수한 게임창작 전문가의 육성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6. 결 언
게임산업을 소프트웨어 및 문화, 영상, 예술, 첨단기술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우리의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발전시켜 나아가는 지혜가 필요한 때이다.
◈ 풍부한 고급두뇌 인적자원의 창의력 교육 필요
◈ 국내의 고급 소프트웨어 기술을 가진 엔진니어의 유입
◈ 게임강국 3위 목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발전계획안 수립
◈ 국내 게임시장의 확대를 위한 개방정책 필요
빠친코 산업의 양성화 정책으로 게임산업 발전에 기여하게 함
비디오게임의 개발 기회 제공
◈ 정부 차원의 간섭배제로 민간 중심의 게임발전 모델 확대
◈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기회 획득에 범정부 차원의 노력 경주
◈ 국산 게임 및 지적소유권 보호를 위한 법적 제도장치 조속 마련
◈ 게임제작 전문인력 양성 교육시스템 구축 절실
◈ 대규모 국제게임시회 유치 및 개최로 게임산업 발전 모색
◈ 국제 게임개발 컨퍼런스 개최
2005년에는 세계 제3위의 게임강국이 될 수 있도록 게임관련 관계자들의 희생 및 상호협력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며, 이상과 같이 제안한 세계 게임산업의 미래 예측을 통하여 “철강신화”, “자동차신화”, “반도체신화”와 같은 제3의 “게임신화”를 이룩해야 하겠다.
<참고자료>
- PC Gamer(Monthly), 1999.1 - 2000.4
- Electronic Gaming Monthly, 1999.1 - 2000.4
- Developer's Guide to Computer Game Design, 2000
- Game Archtecture, 1999
- Game 입국의 미래상, 1996
- Game Developer's Source book, 1997
- Game Developer's Markrtplace, 1997
- 감성정보리처리, 1995
- 주정규, 초성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게임산업 발전 방안,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99.12
- 주정규, 게임컨텐츠 창작 연구, 1999.
- 주정규, 게임디자인 기초, 2000. 2
- www.gamasutra.com
- www.sce.co.jp
- www.nintendo.co.jp
- www.gameinfinity.or.kr
4.4 Internet-based Games
온라인게임으로 가상사회를 구성하여 가상화폐 통용, 가상국가, 가상학교, 가상기업, 가상가정 등 건설과 다양한 유형의 인터넷 사회망 구현으로 새로운 게임의 유형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됨.
4.5 Web-TV Games
인터넷과 컴퓨터 및 방송과 TV의 연결로 새로운 유형의 게임컨텐츠의 개발이 예측되며, 비디오게임 및 온라인게임, 컴퓨터게임의 통합화를 구현할 수 있는 환경 제공도 가능하리라는 전망이다.
4.6 Local-based Entertainment(Game)
디즈니랜드, 에버랜드 등과 같은 테마파크에 게임머신 및 게임컨텐츠를 탑재시켜 새로운 유형의 물리적인 게임화로 강한 신체적인 감각을 경험할 수 있는 유형의 게임과 플레이어가 직접 참가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현실과 가상의 조화를 경험할 수 있는 게임플레이 환경제공.
5. 우리나라의 게임산업의 발전 전망과 전략
5.1 비디오게임의 개발 기회 확보 시급
비디오게임기(Playstaion, Dreamcast, Nintendo 등)에 탑재할 수 있는 기술의 습득은 물론 일본의 비디오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며,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하고 있는 ‘X-Box’ 게임기용 게임을 개발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거대한 비디오게임의 세계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선결과제라고 생각하며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일본의 비디오게임기용 게임개발 기회 획득
- 국내 게임개발사의 게임시나리오, 게임기획 및 게임디자인 기술의 우수성 확보 및 마케팅 전략 연구
- 게임제작 기술력(그래픽 및 프로그래밍 등) 향상으로 우수한 게임제작 능력 확보 및 국제 경쟁력 강화
- 관련 기관 및 민간단체의 외교통상 노력 절대 필요
- 일본어 자막 및 음성이 삽입된 게임소프트웨어의 국내 유통의 조속한 개방 및 허용
- 비디오게임의 불법 복제 근절로 신뢰도 회복
◈ 마이크로소프트의 전용게임기용 게임개발에 참여기회 획득
- 게임소프트웨어 개발전략 및 마케팅 전략 수립
- 국내 게임개발사들의 MS사와 전략적 제휴 모색
- 국제 감각 및 국제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게임컨텐츠의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
◈ 국산 비디오게임기의 개발
거대한 세계 비디오게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국산 비디오게임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게임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5.2 아케이드 게임의 독자적인 연구 개발 필요
흥행성과 부가가치가 높은 아케이드게임의 창의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시기이며, 이를 위하여 아케이드 게임의 개발의 전문인력 양성과 게임연구 및 개발을 통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 지향적인 게임개발에 노력 필요하며, 게임개발사의 지적 소유권을 보호하는 차원의 국제 지적소유권 법제화를 분명하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게임제작 기술 관련의 국제 지적 소우권 분쟁에서 국내 게임개발사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조속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5.3 온라인게임의 국제화로 수출확대
인터넷의 확산 보급과 정보통신 기술의 경쟁력 강화로 인터넷 게임인 온라인게임의 컨텐츠의 국제화로 수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5.4 컴퓨터게임(패키지PC게임)
멀티미디어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한 게임개발로 국산 게임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게임의 국제화로 수출전략 마케팅 및 게임디자인 창작의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5.5 게임창작 그룹의 전문인력 양성 시급
국내의 게임제작 기술 중 게임그래픽 및 게임 프로그래밍은 어느 정도 국제 수준에 도달하고 있으나, 게임시나리오 및 게임디자인 창작 부문은 상당하게 뒤진 상태이므로, 우수한 게임창작 전문가의 육성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6. 결 언
게임산업을 소프트웨어 및 문화, 영상, 예술, 첨단기술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우리의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발전시켜 나아가는 지혜가 필요한 때이다.
◈ 풍부한 고급두뇌 인적자원의 창의력 교육 필요
◈ 국내의 고급 소프트웨어 기술을 가진 엔진니어의 유입
◈ 게임강국 3위 목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발전계획안 수립
◈ 국내 게임시장의 확대를 위한 개방정책 필요
빠친코 산업의 양성화 정책으로 게임산업 발전에 기여하게 함
비디오게임의 개발 기회 제공
◈ 정부 차원의 간섭배제로 민간 중심의 게임발전 모델 확대
◈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기회 획득에 범정부 차원의 노력 경주
◈ 국산 게임 및 지적소유권 보호를 위한 법적 제도장치 조속 마련
◈ 게임제작 전문인력 양성 교육시스템 구축 절실
◈ 대규모 국제게임시회 유치 및 개최로 게임산업 발전 모색
◈ 국제 게임개발 컨퍼런스 개최
2005년에는 세계 제3위의 게임강국이 될 수 있도록 게임관련 관계자들의 희생 및 상호협력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며, 이상과 같이 제안한 세계 게임산업의 미래 예측을 통하여 “철강신화”, “자동차신화”, “반도체신화”와 같은 제3의 “게임신화”를 이룩해야 하겠다.
<참고자료>
- PC Gamer(Monthly), 1999.1 - 2000.4
- Electronic Gaming Monthly, 1999.1 - 2000.4
- Developer's Guide to Computer Game Design, 2000
- Game Archtecture, 1999
- Game 입국의 미래상, 1996
- Game Developer's Source book, 1997
- Game Developer's Markrtplace, 1997
- 감성정보리처리, 1995
- 주정규, 초성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게임산업 발전 방안,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99.12
- 주정규, 게임컨텐츠 창작 연구, 1999.
- 주정규, 게임디자인 기초, 2000. 2
- www.gamasutra.com
- www.sce.co.jp
- www.nintendo.co.jp
- www.gameinfinity.or.kr
추천자료
일본 비디오게임 산업의 실태연구
case study - 온라인 게임 산업
일본 게임 산업의 현황 및 발전환경
한국 게임 산업의 문제점과 발전전략
문화산업과 게임의 재발견
온라인게임의 산업구조분석
비디오 게임 산업에 대한 고찰
한국 온라인 게임 산업의 현재와 미래
[인터넷비즈니스]국내 온라인게임 산업분석 및 2009년 전망(A+리포트)
게임 산업 분석
게임 산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모바일 콘텐츠와 모바일 게임 산업
모바일 게임 산업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IT분야 중 게임 산업에 관련한 저작권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