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학습장애
1. 정의 및 특성
2. 지도방법
Ⅱ. 언어장애
1. 정의 및 특성
2. 유형 및 지도
1) 조음장애
2) 언어발달지체
3) 음성장애
4) 말더듬이
5) 구개열에 의한 언어장애
6) 뇌성마비에 의한 언어장애
7) 실어증
-참고문헌-
1. 정의 및 특성
2. 지도방법
Ⅱ. 언어장애
1. 정의 및 특성
2. 유형 및 지도
1) 조음장애
2) 언어발달지체
3) 음성장애
4) 말더듬이
5) 구개열에 의한 언어장애
6) 뇌성마비에 의한 언어장애
7) 실어증
-참고문헌-
본문내용
92)이며, 이는 발음 기관 등 언어능력의 마비나 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교정지도 방법으로는 뇌성마비에 의한 장애나 마비를 극복하기 위한 발성이나 호흡훈련, 발화회화훈련 등이 제시되고 있다.(김홍주 외 공저, 2001:p.293)
7) 실어증
실어증이란 뇌손상, 감각기관의 손상, 정신지체 등의 원인에 의해 언어라는 상징을 형성하거나 생각하고 해석하는 능력이 파손된 경우이다.(송준만유효순 공저, 1997:p.224) 이러한 실어증은 단지 말하기 뿐만 아니라 읽기, 말하기 등은 물론 몸짓 등 의사소통 전반에 걸친 장애를 수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여기서 언어의 부분적인 손실을 지칭할 때에는 부분실어증이라 하며, 치료에 있어서는 낱말을 음운으로 나누어 각 음운의 발음을 정확하게 하도록 훈련하고, 그 다음에 단어를 가르치며, 가르친 단어로 문장을 가르치도록 훈련한다.(김홍주 외 공저, 2001:p.294)
-참고문헌-
김윤옥, 2000,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서울:교육과학사
김홍주 외 공저, 2001, 《개정 특수교육학》, 서울:교육출판사
송준만유효순 공저, 1997, 《특수아지도》, 서울: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7) 실어증
실어증이란 뇌손상, 감각기관의 손상, 정신지체 등의 원인에 의해 언어라는 상징을 형성하거나 생각하고 해석하는 능력이 파손된 경우이다.(송준만유효순 공저, 1997:p.224) 이러한 실어증은 단지 말하기 뿐만 아니라 읽기, 말하기 등은 물론 몸짓 등 의사소통 전반에 걸친 장애를 수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여기서 언어의 부분적인 손실을 지칭할 때에는 부분실어증이라 하며, 치료에 있어서는 낱말을 음운으로 나누어 각 음운의 발음을 정확하게 하도록 훈련하고, 그 다음에 단어를 가르치며, 가르친 단어로 문장을 가르치도록 훈련한다.(김홍주 외 공저, 2001:p.294)
-참고문헌-
김윤옥, 2000,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서울:교육과학사
김홍주 외 공저, 2001, 《개정 특수교육학》, 서울:교육출판사
송준만유효순 공저, 1997, 《특수아지도》, 서울: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추천자료
[특수교육] 일본 특수(장애인) 교육의 분석
[특수아교육] 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하여 논하시오.
특수교육 - 장애인교육.ppt
특수아교육4A)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통합 방...
(A+ 레포트) [특수아교육]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
(A+), [특수아교육]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특수아교육 4B)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
(특수아교육 4B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아 ...
특수아교육 B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정서 및 행동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