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검사도구
1. 자율성
2. 자기규칙
3. 심리적역량
4. 자아실현
*검사요강
1. 자기결정이란?
2. 검사의 구성
3. 검사자를 위한 정보
4. 채점 방법
1. 자율성
2. 자기규칙
3. 심리적역량
4. 자아실현
*검사요강
1. 자기결정이란?
2. 검사의 구성
3. 검사자를 위한 정보
4. 채점 방법
본문내용
지 지능의 측정에 역점을 두었고, 객관주의 패러다임이 주관주의 패러다임으로 이동하면서 감성 지능 측정의 필요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교육과 삶의 질 제고가 탈현대의 중요 과제가 되면서, 자기 결정 능력은 교육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자기 결정 능력은 자기 검색, 목표 설정, 정보 수집, 결과 예측, 선택하기, 문제해결 능력, 자기 평가, 타협과 약속하기, 자기 강화, 자아 존중, 자기 규칙, 심리적 역량, 자아 실현, 자아 효능, 자기권리 주장, 자기 주도성, 자기 관리(조절)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나, 요소간의 상당한 중복도 있다고 봅니다. 이 자기 결정 능력 검사는 4가지 하위검사, 즉 자율성, 자기규칙, 심리적 역량, 자아실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 자기 결정 능력 검사의 구성
자기 결정 검사는 4가지 하위영역에 총 72문항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 위 영 역
문 항 수
문 항 번 호
1. 자율성
32
1-32
1A. 독립성A
6
1-6
1B. 독립성B
4
7-10
1C. 여가휴식
6
11-16
1D. 사회참여
5
17-21
1E. 졸업후 방향
6
22-27
1F. 자신의 표현
5
28-32
2. 자기규칙
9
33-41
2A. 개인간 인식
6
33-38
2B. 목표설정
3
39-41
3. 심리적 역량
16
42-57
4. 자아실현
15
58-72
3. 검사 실시 교사부모를 위한 정보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고 학생이 자신의 표현을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검사 실시자가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검사 실시자는 영역별 검사 항목에 관해 친숙해져야 하고, 검사 시간은 학생들 수업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되어야 합니다.
2. 학생이 읽기에 문제가 없거나, 필요한 지원을 해 줄 사람이 있으면 한번에 15명까지 집단으로 검사할 수 있으며, 이 때 개인에 따라 진행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교사는 개별지원을 해 줄 수 있습니다. 또, 정신지체 학생은 집단검사가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런 때는 교사와의 일대일 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3. 개별검사는 한 회기에 끝내야 합니다. 만일 1회기에 끝내기 어려우면 2회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검사에 필요한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이 될 것입니다.
4. 심한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는 질문을 읽어주거나 대답하는데 필요한 편의를 제공해야 합니다. 검사가 1회기에 끝나도록 시간계획을 조정해야 합니다.
5. 일반적 검사 실시방법은 구두와 쓰기로 응답할 수 있습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읽기 능력과 어휘력에 큰 개인차가 있습니다. 읽고 쓸 수 있는 학생은 스스로 답을 쓰도록 해야 합니다.
6. 구두로 응답하는 학생들에게는 특정항목의 질문내용을 상기하도록 해야 합니다.
7. 검사시 학생은 편안한 자리에 앉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답안지를 보고 쓰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8. 검사시 학생은 연필 2자루를 준비해야 합니다. 모든 검사는 검사지 원본에 기록해야 합니다.
9. 학생들은 검사실시 전에 검사를 받아야 하는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검사에 대한 거부나 분노의 감정을 없앨 뿐만 아니라 검사의 중요성을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학생들은 이 검사 결과가 자신에게 필요하다는 것을 느껴야 하며 교사 역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합니다.
10. 지시사항은 큰소리로 읽어 주어야 하며 반복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번만 읽어줍니다. 학생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면 스스로 답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11. 학생이 검사문항을 이해하지 못하면, 문항에 사용된 어휘를 설명해 줄 수 있으며 응답에 영향을 미치면 안 됩니다.
12. “심리적 역량”에서의 응답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고, “자아실현”에서는 ‘맞음’, ‘틀림’으로 응답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신을 잘 표현하는 쪽에 표하도록 해야 합니다.
13. 이 검사에는 정답이나 오답이 없음을 강조하고 자신의 믿음을 진솔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14. 이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3, 4학년 수준의 읽기 능력만 있으면 됩니다.
4. 검사 결과의 채점
검사가 끝나면 총점, 영역별, 하위영역별로 원점수를 채점하고, 다음 환산표를 이용하여 환산점수를 계산한 다음 프로파일을 작성하게 되어 있습니다. 채점표는 검사지 7쪽에 제시되어 있고, 채점과 환산점수계산은 “자기 결정 능력 검사 안내” 책자의 제5장을 참조하도록 합니다.
1) 자율성의 채점
자율성 검사로 4가지 답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고, 채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그런 일을 해 본 적이 있다 - 0점 ② 몇 번 해 본 적이 있다 - 1점
③ 내가 대부분 한다 - 2점 ④ 내가 모두 한다 - 3점
2) 자기 규칙
자기 규칙은 (1)개인의 인식문제 해결과 (2)목표 설정과 과제 수행으로 제시되었고, (1)개인의 인식문제 해결은 0점에서 2점을 배점하고, (2)목표 설정과 과제 수행은 0점에서 3점까지 배점합니다. 채점의 예시로 “자기 결정 능력 검사 안내” 책자의 5장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3) 심리적 역량
심리적 역량은 2가지 선택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 있고, 채점은 0점과 1점으로 하고 채점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항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문장1
0
1
0
1
1
0
1
0
1
0
1
0
1
0
1
0
문장2
1
0
1
0
0
1
0
1
0
1
0
1
0
1
0
1
4) 자아실현
자아실현 검사는 주어진 문장 내용에 대해 맞음, 틀림으로 답하게 되어 있습니다. 채점은 0점과 1점으로 한다. 채점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항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맞음
1
1
1
1
0
1
1
1
0
0
1
0
1
1
1
틀림
0
0
0
0
1
0
0
0
1
1
0
1
0
0
0
채점이 끝나면 원점수를 환산표에 의해 규준점수와 실행점수로 환산하여 채점표 3단계에 써 넣습니다. 환산표는 “자기 결정 능력 검사 안내” 책자의 5장을 참조해야 합니다.
환산점수 기록이 끝나면 그 점수에 의한 4단계와 5단계의 그래프를 그립니다. 이 자료는 해석에 필요합니다.
자기 결정 능력은 자기 검색, 목표 설정, 정보 수집, 결과 예측, 선택하기, 문제해결 능력, 자기 평가, 타협과 약속하기, 자기 강화, 자아 존중, 자기 규칙, 심리적 역량, 자아 실현, 자아 효능, 자기권리 주장, 자기 주도성, 자기 관리(조절)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나, 요소간의 상당한 중복도 있다고 봅니다. 이 자기 결정 능력 검사는 4가지 하위검사, 즉 자율성, 자기규칙, 심리적 역량, 자아실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 자기 결정 능력 검사의 구성
자기 결정 검사는 4가지 하위영역에 총 72문항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 위 영 역
문 항 수
문 항 번 호
1. 자율성
32
1-32
1A. 독립성A
6
1-6
1B. 독립성B
4
7-10
1C. 여가휴식
6
11-16
1D. 사회참여
5
17-21
1E. 졸업후 방향
6
22-27
1F. 자신의 표현
5
28-32
2. 자기규칙
9
33-41
2A. 개인간 인식
6
33-38
2B. 목표설정
3
39-41
3. 심리적 역량
16
42-57
4. 자아실현
15
58-72
3. 검사 실시 교사부모를 위한 정보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고 학생이 자신의 표현을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검사 실시자가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검사 실시자는 영역별 검사 항목에 관해 친숙해져야 하고, 검사 시간은 학생들 수업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되어야 합니다.
2. 학생이 읽기에 문제가 없거나, 필요한 지원을 해 줄 사람이 있으면 한번에 15명까지 집단으로 검사할 수 있으며, 이 때 개인에 따라 진행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교사는 개별지원을 해 줄 수 있습니다. 또, 정신지체 학생은 집단검사가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런 때는 교사와의 일대일 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3. 개별검사는 한 회기에 끝내야 합니다. 만일 1회기에 끝내기 어려우면 2회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검사에 필요한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이 될 것입니다.
4. 심한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는 질문을 읽어주거나 대답하는데 필요한 편의를 제공해야 합니다. 검사가 1회기에 끝나도록 시간계획을 조정해야 합니다.
5. 일반적 검사 실시방법은 구두와 쓰기로 응답할 수 있습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읽기 능력과 어휘력에 큰 개인차가 있습니다. 읽고 쓸 수 있는 학생은 스스로 답을 쓰도록 해야 합니다.
6. 구두로 응답하는 학생들에게는 특정항목의 질문내용을 상기하도록 해야 합니다.
7. 검사시 학생은 편안한 자리에 앉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답안지를 보고 쓰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8. 검사시 학생은 연필 2자루를 준비해야 합니다. 모든 검사는 검사지 원본에 기록해야 합니다.
9. 학생들은 검사실시 전에 검사를 받아야 하는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검사에 대한 거부나 분노의 감정을 없앨 뿐만 아니라 검사의 중요성을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학생들은 이 검사 결과가 자신에게 필요하다는 것을 느껴야 하며 교사 역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합니다.
10. 지시사항은 큰소리로 읽어 주어야 하며 반복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번만 읽어줍니다. 학생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면 스스로 답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11. 학생이 검사문항을 이해하지 못하면, 문항에 사용된 어휘를 설명해 줄 수 있으며 응답에 영향을 미치면 안 됩니다.
12. “심리적 역량”에서의 응답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고, “자아실현”에서는 ‘맞음’, ‘틀림’으로 응답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신을 잘 표현하는 쪽에 표하도록 해야 합니다.
13. 이 검사에는 정답이나 오답이 없음을 강조하고 자신의 믿음을 진솔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14. 이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3, 4학년 수준의 읽기 능력만 있으면 됩니다.
4. 검사 결과의 채점
검사가 끝나면 총점, 영역별, 하위영역별로 원점수를 채점하고, 다음 환산표를 이용하여 환산점수를 계산한 다음 프로파일을 작성하게 되어 있습니다. 채점표는 검사지 7쪽에 제시되어 있고, 채점과 환산점수계산은 “자기 결정 능력 검사 안내” 책자의 제5장을 참조하도록 합니다.
1) 자율성의 채점
자율성 검사로 4가지 답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고, 채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그런 일을 해 본 적이 있다 - 0점 ② 몇 번 해 본 적이 있다 - 1점
③ 내가 대부분 한다 - 2점 ④ 내가 모두 한다 - 3점
2) 자기 규칙
자기 규칙은 (1)개인의 인식문제 해결과 (2)목표 설정과 과제 수행으로 제시되었고, (1)개인의 인식문제 해결은 0점에서 2점을 배점하고, (2)목표 설정과 과제 수행은 0점에서 3점까지 배점합니다. 채점의 예시로 “자기 결정 능력 검사 안내” 책자의 5장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3) 심리적 역량
심리적 역량은 2가지 선택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 있고, 채점은 0점과 1점으로 하고 채점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항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문장1
0
1
0
1
1
0
1
0
1
0
1
0
1
0
1
0
문장2
1
0
1
0
0
1
0
1
0
1
0
1
0
1
0
1
4) 자아실현
자아실현 검사는 주어진 문장 내용에 대해 맞음, 틀림으로 답하게 되어 있습니다. 채점은 0점과 1점으로 한다. 채점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항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맞음
1
1
1
1
0
1
1
1
0
0
1
0
1
1
1
틀림
0
0
0
0
1
0
0
0
1
1
0
1
0
0
0
채점이 끝나면 원점수를 환산표에 의해 규준점수와 실행점수로 환산하여 채점표 3단계에 써 넣습니다. 환산표는 “자기 결정 능력 검사 안내” 책자의 5장을 참조해야 합니다.
환산점수 기록이 끝나면 그 점수에 의한 4단계와 5단계의 그래프를 그립니다. 이 자료는 해석에 필요합니다.
추천자료
자기 긍정도 검사
진로 자기 효능감 이론에 관한 개괄적 이해
mbti 와 holland 검사를 토대로한 자기 분석 하기
[직업재활]장애인의 직업평가에 있어 의사결정권에 관한 고찰
성격심리검사 활용으로 자기성격분석
나 자신의 성격을 분석하시오. 우선 내 성격을 성격결정요인별로 설명하고, 그 다음에는 유형...
심리검사를 통해 본 자기 분석
[자기개념, 자아개념, 자아존중감]자기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기개념(자아개념)의 내용, ...
[진로탐색][직업탐색][진로]진로탐색(직업탐색)의 의미, 진로탐색(직업탐색)의 필요성, 진로...
[교육심리학] 「지능이론과 지능검사의 종류 및 특징」 지능의 정의, 지능이론(g요인설, 기본...
홀랜드의 자기지향적 탐색 직업흥미의 6가지 유형과 관련 직업에 대하여 논하시오.
[성인기 지적발달] 성인기 지능검사의 종류(유동성 지능검사와 결정성 지능검사, 속도검사와 ...
[성격검사] 성격의 측정 - 자기보고식 검사(미네소타 다면성격검사, 캘리포니아 성격검사,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