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다.
팔과 손의 척골부위와 3, 4, 5번째 손가락 근처에서 오는 림프관은 활차상박 림프절(epitrochlear node)로 유입되며, 림프관의 대부분은 액와 림프절로 들어가고, 그 외의 나머지는 직접 쇄골 림프절로 들어간다.
하지의 림프관은 심부림프관과 표재성 림프관으로 구성되는데 이중 표재성 림프절만을 촉진할 수 있다.
4. 체액의 이동과 모세혈관
혈액- 동맥에서 모세혈관을 통하여 정맥으로 순환
체액- 확산에 의해 모세혈관 벽을 통해 혈관과 간질강 사이를 이동
5. 연령에 따른 변화
노화 자체는 말초순환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검진방법
1. 상지(Arms)
손가락에서 어깨까지 시진한다.
주의점
·상지의 크기, 대칭성과 부종을 확인한다. (팔과 손의 림프부종은 액와림프절의 절개와 방사선 치료에 의해 발생)
·정맥의 분포양상을 확인한다. (부종이 있는 팔에 돌출된 정맥은 정맥혈관의 폐쇄를 의미)
·피부와 손톱의 색 및 피부결을 확인한다.
요골맥박을 촉진하며 증가, 정상, 감소, 소실로 기록한다.
배부분 활차상박 림프절은 확인하기 어려우나 촉진이 된다면 크기, 경도와 압통유무를 확인한다.
2. 하지(Legs)
양쪽 다리의 서혜부와 둔부에서부터 발까지 시진한다.
·양쪽다리의 크기와 대칭성, 부종의 유무를 확인한다.
·정맥의 분포양상과 정맥확장의 유무를 확인한다.
·색의 침착, 발진, 상처(딱지), 궤양의 존재유무를 확인한다.
·피부색과 피부결, 발톱의 색, 발과 발가라게 분포된 털의 정도를 확인한다.
1) 대퇴맥박(Femoral pulse)
서혜인대의 하부 및 전상장골극과 치골 사이의 중간 부위를 깊게 누른다. 대퇴맥박의 감소나 소실은 가까운 부위 동맥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폐쇄를 의미한다.
2) 슬와맥박(Poplitdal pulse)
대상자의 무릎을 약간 굽히게 하고 두 손가락 끝으로 중간 부위의 슬와를 깊숙히 누른다. 이 방법으로 촉진할 수 없다면 대상자를 엎드리게 하며 무릎을 90도로 구부리고 슬와 부위를 양쪽 엄지손가락으로 깊게 누르면 촉진할 수 있다. 강하고 지연된 슬와맥박은 슬와동맥류를 의심할 수 있다.
3) 족배맥박(Dorsalis pedis pulse)
엄지발가락의 신전건(extensor tendon) 바로 외측 발등에서 촉진이 가능하다. 대퇴맥박과 슬와맥박이 촉진되는데 족배맥박이 감소되거나 소실되면 슬와동맥 이하 부분의 폐쇄를 의미한다.
4) 후경골동맥(Posterior tibial pulse)
검진자의 손가락을 둥그렇게 하여 발목의 내측과(medial malleous)중간 밑부분에서 촉진이 가능하다.
촉지가 어려운 맥박을 촉진 시
·검진자는 편안한 자세에서 촉진한다.
·촉진하려는 동맥에 손을 놓고 손가락의 압력을 변동시켜 약한 맥박을 찾는다.
·대상자 맥박과 검진자의 맥박을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서로간의 심박동이나 경동맥 맥박을 이용한다.
검진자의 손등으로 발과 다리의 체온을 확인하여 양쪽을 비교한다.
부종을 확인하여 양쪽 다라와 발의 정맥, 건, 뼈의 돌출과 크기에 대해 검진한다.
검진자는 엄지손가락으로 발등, 내측과 뒤쪽, 경골을 5초 정도 눌렀다 뗀 후 함요가 있는지 검진하며 정도는 4점 척도로 나눈다.
말초정맥계에서 부종의 원인
·최근 심부의 정맥혈전증
·정맥판막의 기능부전이나 과거에 앓은 심부정맥혈전증에 의한 만성 정맥기능 부전증
·림프부종
피부의 색깔을 확인한다.
대상자를 서있게 한 후 복재정맥계를 시진하다.
3. 특수검진
1) 정맥류의 위치 확인
대상자를 서게 한 후 검진자는 한쪽 손을 대상자의 확장된 정맥부위에 갖다대고 다른 손은 20cm위의 정맥을 압박한다. 아랫부분의 손가락에 파동이 느껴지는지 확인하다.
2) 정맥의 판막기능 평가
역행성 충만검사(retrograde filling test, Trendelenburg test)- 교통정맥과 복재정맥계의 판막기능을 사정. 대상자를 앙와위로 눕힌 후 한쪽 다리를 90도로 올려 정맥을 비우고 지혈대로 대퇴 상부를 묶고 대상자를 일어나게 한다. 복재정맥은 하부의 정맥모세혈관에서부터 채워지기 시작하여 35초안에 다리의 정맥계로 채워지므로 대상자를 20초 동안 서 있게 한 후 지혈대를 제거하고서 빠르게 정맥이 충만되는지 살펴본다. 양쪽 다리 모두 정상적인 반응을 나타내면 음성-음성으로 기록한다.
3) 오래 누워 있는 대상자에 대한 평가
오래 누워 있는 대상자들은 피부손상 및 궤양이 생기기 쉽다. 욕창이 발생되기 쉬운 대상자의 둔부와 천골, 대퇴골의 대전자, 무릎, 발꿈치 등의 피부를 주위 깊게 관찰한다. 천골 부위를 5초 동안 깊게 눌러 함요가 있는지 관찰한다.
4) 손에 분포한 동맥순환찾기
대상자의 손이나 팔의 동맥기능 부전이 의심되면 척골맥박, 요골맥박, 상완맥박을 촉진해 본다. 손목을 약간 굽힌 상태에서 손목의 중앙 부위를 깊게 눌러 척골맥박을 확인해 본다.
Allens test- 대상자의 손바닥을 위로 한 채 주먹을 꼭쥐도록 하고 검진자는 양손의 엄지로 대상자의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에 압력을 가한 후 주먹을 펴도록 한다. 손바닥이 창백하다가 압력을 제거하면 3~5초 이내에 붉게 변한다.
5) 만성 동맥기능 부전증시 체위에 따른 피부 색깔변화
맥박감소나 통증이 있다면 동맥기능부전을 의미하며, 체위의 변화에 따른 피부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양쪽 다리를 60도 정도까지 상승시켜 최대의 창백증이 나타나도록 한다. 피부색이 밝은 사람은 평상시의 피부색을 유지하거나 약간 창백한 색으로 보이는 것이 정상이다.
대상자를 침대에 걸터앉게 한 후 다리를 밑으로 내려 뜨려 양쪽 다리의 피부색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잰다. 정상적으로 10초 이내에 분홍빛으로 변한다. 양쪽 발과 발목 정맥에 혈액이 채워지는 시간을 재는데 보통 15초 이내에 채워진다.
동맥박동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체위에 따른 색깔변화 검사에 정상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이는 폐쇄된 동맥 주위에 측부순환로가 잘 발달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증진과 상담
운동, 균형 잡힌 식사, 혈압조절, 금연 등과 같은 건강증진 행위를 시행하는 것이 말초혈관질환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팔과 손의 척골부위와 3, 4, 5번째 손가락 근처에서 오는 림프관은 활차상박 림프절(epitrochlear node)로 유입되며, 림프관의 대부분은 액와 림프절로 들어가고, 그 외의 나머지는 직접 쇄골 림프절로 들어간다.
하지의 림프관은 심부림프관과 표재성 림프관으로 구성되는데 이중 표재성 림프절만을 촉진할 수 있다.
4. 체액의 이동과 모세혈관
혈액- 동맥에서 모세혈관을 통하여 정맥으로 순환
체액- 확산에 의해 모세혈관 벽을 통해 혈관과 간질강 사이를 이동
5. 연령에 따른 변화
노화 자체는 말초순환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검진방법
1. 상지(Arms)
손가락에서 어깨까지 시진한다.
주의점
·상지의 크기, 대칭성과 부종을 확인한다. (팔과 손의 림프부종은 액와림프절의 절개와 방사선 치료에 의해 발생)
·정맥의 분포양상을 확인한다. (부종이 있는 팔에 돌출된 정맥은 정맥혈관의 폐쇄를 의미)
·피부와 손톱의 색 및 피부결을 확인한다.
요골맥박을 촉진하며 증가, 정상, 감소, 소실로 기록한다.
배부분 활차상박 림프절은 확인하기 어려우나 촉진이 된다면 크기, 경도와 압통유무를 확인한다.
2. 하지(Legs)
양쪽 다리의 서혜부와 둔부에서부터 발까지 시진한다.
·양쪽다리의 크기와 대칭성, 부종의 유무를 확인한다.
·정맥의 분포양상과 정맥확장의 유무를 확인한다.
·색의 침착, 발진, 상처(딱지), 궤양의 존재유무를 확인한다.
·피부색과 피부결, 발톱의 색, 발과 발가라게 분포된 털의 정도를 확인한다.
1) 대퇴맥박(Femoral pulse)
서혜인대의 하부 및 전상장골극과 치골 사이의 중간 부위를 깊게 누른다. 대퇴맥박의 감소나 소실은 가까운 부위 동맥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폐쇄를 의미한다.
2) 슬와맥박(Poplitdal pulse)
대상자의 무릎을 약간 굽히게 하고 두 손가락 끝으로 중간 부위의 슬와를 깊숙히 누른다. 이 방법으로 촉진할 수 없다면 대상자를 엎드리게 하며 무릎을 90도로 구부리고 슬와 부위를 양쪽 엄지손가락으로 깊게 누르면 촉진할 수 있다. 강하고 지연된 슬와맥박은 슬와동맥류를 의심할 수 있다.
3) 족배맥박(Dorsalis pedis pulse)
엄지발가락의 신전건(extensor tendon) 바로 외측 발등에서 촉진이 가능하다. 대퇴맥박과 슬와맥박이 촉진되는데 족배맥박이 감소되거나 소실되면 슬와동맥 이하 부분의 폐쇄를 의미한다.
4) 후경골동맥(Posterior tibial pulse)
검진자의 손가락을 둥그렇게 하여 발목의 내측과(medial malleous)중간 밑부분에서 촉진이 가능하다.
촉지가 어려운 맥박을 촉진 시
·검진자는 편안한 자세에서 촉진한다.
·촉진하려는 동맥에 손을 놓고 손가락의 압력을 변동시켜 약한 맥박을 찾는다.
·대상자 맥박과 검진자의 맥박을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서로간의 심박동이나 경동맥 맥박을 이용한다.
검진자의 손등으로 발과 다리의 체온을 확인하여 양쪽을 비교한다.
부종을 확인하여 양쪽 다라와 발의 정맥, 건, 뼈의 돌출과 크기에 대해 검진한다.
검진자는 엄지손가락으로 발등, 내측과 뒤쪽, 경골을 5초 정도 눌렀다 뗀 후 함요가 있는지 검진하며 정도는 4점 척도로 나눈다.
말초정맥계에서 부종의 원인
·최근 심부의 정맥혈전증
·정맥판막의 기능부전이나 과거에 앓은 심부정맥혈전증에 의한 만성 정맥기능 부전증
·림프부종
피부의 색깔을 확인한다.
대상자를 서있게 한 후 복재정맥계를 시진하다.
3. 특수검진
1) 정맥류의 위치 확인
대상자를 서게 한 후 검진자는 한쪽 손을 대상자의 확장된 정맥부위에 갖다대고 다른 손은 20cm위의 정맥을 압박한다. 아랫부분의 손가락에 파동이 느껴지는지 확인하다.
2) 정맥의 판막기능 평가
역행성 충만검사(retrograde filling test, Trendelenburg test)- 교통정맥과 복재정맥계의 판막기능을 사정. 대상자를 앙와위로 눕힌 후 한쪽 다리를 90도로 올려 정맥을 비우고 지혈대로 대퇴 상부를 묶고 대상자를 일어나게 한다. 복재정맥은 하부의 정맥모세혈관에서부터 채워지기 시작하여 35초안에 다리의 정맥계로 채워지므로 대상자를 20초 동안 서 있게 한 후 지혈대를 제거하고서 빠르게 정맥이 충만되는지 살펴본다. 양쪽 다리 모두 정상적인 반응을 나타내면 음성-음성으로 기록한다.
3) 오래 누워 있는 대상자에 대한 평가
오래 누워 있는 대상자들은 피부손상 및 궤양이 생기기 쉽다. 욕창이 발생되기 쉬운 대상자의 둔부와 천골, 대퇴골의 대전자, 무릎, 발꿈치 등의 피부를 주위 깊게 관찰한다. 천골 부위를 5초 동안 깊게 눌러 함요가 있는지 관찰한다.
4) 손에 분포한 동맥순환찾기
대상자의 손이나 팔의 동맥기능 부전이 의심되면 척골맥박, 요골맥박, 상완맥박을 촉진해 본다. 손목을 약간 굽힌 상태에서 손목의 중앙 부위를 깊게 눌러 척골맥박을 확인해 본다.
Allens test- 대상자의 손바닥을 위로 한 채 주먹을 꼭쥐도록 하고 검진자는 양손의 엄지로 대상자의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에 압력을 가한 후 주먹을 펴도록 한다. 손바닥이 창백하다가 압력을 제거하면 3~5초 이내에 붉게 변한다.
5) 만성 동맥기능 부전증시 체위에 따른 피부 색깔변화
맥박감소나 통증이 있다면 동맥기능부전을 의미하며, 체위의 변화에 따른 피부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양쪽 다리를 60도 정도까지 상승시켜 최대의 창백증이 나타나도록 한다. 피부색이 밝은 사람은 평상시의 피부색을 유지하거나 약간 창백한 색으로 보이는 것이 정상이다.
대상자를 침대에 걸터앉게 한 후 다리를 밑으로 내려 뜨려 양쪽 다리의 피부색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잰다. 정상적으로 10초 이내에 분홍빛으로 변한다. 양쪽 발과 발목 정맥에 혈액이 채워지는 시간을 재는데 보통 15초 이내에 채워진다.
동맥박동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체위에 따른 색깔변화 검사에 정상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이는 폐쇄된 동맥 주위에 측부순환로가 잘 발달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증진과 상담
운동, 균형 잡힌 식사, 혈압조절, 금연 등과 같은 건강증진 행위를 시행하는 것이 말초혈관질환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추천자료
심혈관계질환과 영양
정상신생아 건강사정(아동간호학)
심혈관계 대상자 CASE STUDY
심혈관계 간호관련 article.
건강사정 상담 케이스
노화에 따른 심혈관계 변화
여성 건강사정
근골격계 건강사정
신경계 건강사정
성인 아티클(심혈관계- 심장마비가 뇌에 미치는 영향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하여)
분만직후 신생아 간호(건강사정, 호흡, 근육긴장도, 반사반응, 눈간호, 기도관리, 제대간호)
시험대비 의학용어, 단어 요약 & 정리 (소화기계, 호흡기계, 심혈관계, 신경계, 골격계, ...
1.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 설명,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질환 중 심혈관계 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