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교육과정과 교육평가 (1차 교육과정부터 7차교육과정까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교육과정과 교육평가 (1차 교육과정부터 7차교육과정까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 해방 직후 과도기 및 교수요목기 (1946~1954)

나. 제 1차 교육과정 (1954~1963)

다. 제2차 교육 과정 (1963~1973)

라. 제3차 교육과정 (1973~1981)

마. 제4차 교육 과정 (1981~1987)

바. 제5차 교육 과정 (1987~1992)

사. 제6차 교육 과정 (1992~1997)

아. 제 7차 교육과정

자.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본문내용

학 교과에 적용된다.
ㄷ.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
다양한 종류의 교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등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 관심과, 흥미, 진로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3) 재량활동
-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하고, 학교 교육과정편성과 운영의 자율성 및 학생 의 선택권을 부여하기 위해 ‘재량활동’을 하나의 교육 과정 영역으로 학교급에 따라 신설 혹은 확대하였다.
-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구분된다.
(4) 고교 2-3학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 공급자 중심의 획일성, 경직성, 폐쇄성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능력, 흥미, 관심, 적성, 진 로 등을 중시하여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하여 학생이 선택하게 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융통성과 적합성, 수월성을 추구하기 위한 교육과정 체제를 확립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 교육과정 선택의 주체가 교육부, 교육청, 학교, 학생으로 사원화 되어 제시되어 있고 일 차적인 선택의 주체는 학생이다.
자.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교육과정기
교 육 과 정 개 념
교수요목기
교수 내용의 주제
제 1차 교육과정
교과목 및 교육활동의 편제
제 2차 교육과정
학생들이 경험하는 모든 학습 활동의 총화
제 3차 교육과정
교과와 학문의 본질에 내재된 구조화된 지식체계
제 4차 교육과정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규정하는 계획
제 5차 교육과정
학생의 교육적 성취를 의도하여 마련된 계획
제 6차 교육과정
학습자의 교육 경험을 관리하는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계획
제 7차 교육과정
6차 개념을 따름
1. 학교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과정 개념의 변천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교육과정의 개념도 학습자란 정해진 교과 지식을 효율적으로 조직하여 제시하기만 하면 그대로 수용하는 존재가 아니라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의미를 구성해 가는 능동적인 존재로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2. 교육적 인간상의 변천
교육과정기
교육과정개념
교수요목기
교육법상의 목적: 홍익인간의 개인적, 국가적, 세계적 이념
교육 방침 : 건강한심신, 국가관, 문화창조, 지적인능력 사회성, 심미적 정서, 생산성
제 1차 교육과정
교육법상의 교육목적과 방침을 따름
제 2차 교육과정
자주성, 생산성, 유용성 강조, 민주시민, 자주적 국민, 지식, 경제적 능력, 건강한 심신, 심미적 정서, 반공정신, 도덕성
“교육과정 구성의 일반 목표” 항목에서 간접적으로 제시
제 3차 교육과정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구현
국가주의적, 인간주의적, 발전주의적 교육이념
제 4차 교육과정
건강한 사람, 심미적인 사람, 능력있는 사람, 도덕적인 사람, 자주적인 사람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항목에서 명시적으로 제시
제 5차 교육과정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
제 6차 교육과정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직접적으로 진술을 시도
제 7차 교육과정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민주 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추구하는 인간상”이라는 독립된 항목으로 제시
해방 이후 현재까지 우리 학교 교육에서는 7차에 이르는 교육과정 개정을 통하여 교육적으로 지향하는 바를 계속적으로 재규정해 왔다. 7차에 걸친 교육과정 개정에서 함축적으로 혹은 명시적으로 추구되어 온 교육적 인간상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학교 교육이 추구해 온 근본적 가치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

키워드

교육,   사범,   교직,   레포트,   평가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3.07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