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포석정
*보리사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 약사여래좌상(藥師如來坐像)
*보리사 마애여래좌상
*부처골(佛谷) 감실석조여래좌상(龕室石造如來坐像)
*보리사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 약사여래좌상(藥師如來坐像)
*보리사 마애여래좌상
*부처골(佛谷) 감실석조여래좌상(龕室石造如來坐像)
본문내용
높이 3m, 폭 4m 정도 되는 바위에 높이는 1.7m, 폭 1.2m, 깊이 60cm의 감실을 파고 그 안에 고부조(高浮彫)로 새긴 것으로 높이는 1.4m 정도이다. 감실은 입구가 아치형으로 되어 있고, 석굴의 느낌을 준다.
불안은 고부조로 조각하였으며, 불신과 대좌는 상대적으로 저부조(抵浮彫)로 새겨 서로 조각기법을 달리하고 있다. 낮은 육계가 솟아 있는 큰 머리, 초생달 같은 눈썹, 지그시 내려감은 눈, 도톰한 입술과 뺨 등은 다소곳이 숙인 둥근 얼굴과 어울리게 선각(線刻)없이 부드럽게 조각하였다. 목에 삼도(三道)는 없으며, 각진 어깨는 넓게 결과부좌로 앉은 다리와 함께 안정된 구도를 이루고 있다. 신체 굴곡은 거의 표현하지 않았으며, 통견(通肩)의 법의(法衣)는 두 팔 위로 흘러내려 양 무릎을 감싼 뒤 상현좌(裳懸座)를 이루고 있다. 두 손은 소맷자락 안에서 서로 맞잡은 공수(拱手) 자세인 듯 하나 정확한 수인(手印)은 알 수 없다. 깊은 명상에 잠긴 듯한 불상은 감실 속에서 절대로 일어설 것 같지 않은 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 불상이 만들어진 시기는 양식으로 보아 고신라에 속하며, 현재 남아 있는 남산의 불상 중에서 가장 나이가 많다.
불안은 고부조로 조각하였으며, 불신과 대좌는 상대적으로 저부조(抵浮彫)로 새겨 서로 조각기법을 달리하고 있다. 낮은 육계가 솟아 있는 큰 머리, 초생달 같은 눈썹, 지그시 내려감은 눈, 도톰한 입술과 뺨 등은 다소곳이 숙인 둥근 얼굴과 어울리게 선각(線刻)없이 부드럽게 조각하였다. 목에 삼도(三道)는 없으며, 각진 어깨는 넓게 결과부좌로 앉은 다리와 함께 안정된 구도를 이루고 있다. 신체 굴곡은 거의 표현하지 않았으며, 통견(通肩)의 법의(法衣)는 두 팔 위로 흘러내려 양 무릎을 감싼 뒤 상현좌(裳懸座)를 이루고 있다. 두 손은 소맷자락 안에서 서로 맞잡은 공수(拱手) 자세인 듯 하나 정확한 수인(手印)은 알 수 없다. 깊은 명상에 잠긴 듯한 불상은 감실 속에서 절대로 일어설 것 같지 않은 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 불상이 만들어진 시기는 양식으로 보아 고신라에 속하며, 현재 남아 있는 남산의 불상 중에서 가장 나이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