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슬레 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네슬레 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본론.
제1절. 네슬레 변천 과정.
제2절. 네슬레 주요 마케팅 전략.

제3장. 결 론.

본문내용

부드러운 맛과 풍부한 향을 중요시 하는데, 이를 포착한 네슬레는 최첨단 VAX(vacuum Aroma Extracion)공법을 한국에 처음 도입함으로써 한국 시장을 여는 초석을 닦았다. 현재에도 국내에서 생산되는 네슬레의 모든 제품은 현지 생산을 함으로써 보다 local 소비자들에게 가깝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시대적 상황 : 미국인에게 네슬레가 어느 나라 기업인가를 물었을 때 절반 이상이 미국 회사라고 답변했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네슬레가 그만큼 현지화를 성공적으로 이뤄냈다는 사실을 잘 드러내는 사례다.
식품업체는 각국의 소비자들이 서로 다른 음식 문화와 기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단일화하기 매우 어렵다. 네슬레가 현지화에 몰입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제품기획, 생산, 마케팅,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현지 법인에 자율권을 보장한 점은 네슬레의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이다.
(3) 네슬레의 브랜드 전략.
Taster's Choice, Nescafe, Nestea, Milo, Coffee-mate, Nesquik, Cerelac, Alpo, Polo 등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이 많은 브랜드들이 모두 Nestle에서 만들어 진다. 이 같이 하나의 브랜드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기란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쉽지 않은 일이다. 그 브랜드가 '식품'일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왜냐하면 세계의 소비자들은 서로 다른 다양한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이 '입맛'이란 것은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네슬레는 각국의 이질적인 시장의 변화를 파악해 전 세계에 통용될 수 있는 '브랜드'를 채택하였다. 모든 문제의 핵심은 '브랜드'에 있다는 브랜드 중심 철학에서 비롯된 것이다. 네슬레는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최고의 식품을 제공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확고한 철학으로부터 네슬레의 기업브랜드 개념을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각기 각국에 개별 브랜드를 정착시킴으로써 기업브랜드와 개별 브랜드간의 상호 시너지 효과를 거두고 있다. 즉, 기업브랜드 네슬레로는 소비자가 기대할 수 있는 가치, 신뢰, 품질 보증을 보장해 주면서 개별브랜드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고 개성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밸런스 있는 브랜드 체계를 관리해 온 것이다. 특히 네슬레는 식품제조회사 임에도 불구하고 제품 제조 위주의 생각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입장에서 브랜드를 관리한 점이 성공의 비결이라 하겠다.
삶이 풍요로워 지면서 이제 음식이란 끼니를 때우는 수단이 아니라 생활에 활기와 즐거움을 주는 한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바쁜 생활과 각종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음식이 주는 즐거움은 그 어떤 것 보다 크다. 앙리 네슬레는 설립 초부터 이러한 점을 네슬레의 기초 철학으로 삼았다. '인간의 신체를 건강하게 하는 것 뿐 아니라, 정신적인 즐거움까지 주어야 한다'는 철학은 그 동안 네슬레가 확장해온 브랜드들만 보아도 알 수 있을 것이다. 확고한 기업 브랜드의 철학은 제품 브랜드의 상호 연계를 강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여실한 증거가 되고 있는 것이다.
아이에서부터 어른에 이르기 까지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건강과 즐거움을 주는 식품회사를 꿈꾸는 네슬레는 환경운동을 통해 그 철학을 실천하고 있다. 네슬레 환경 경영 체제인 'NEMS'를 적용하여 지속적인 환경 정착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능동적인 사회적 책임감, 환경 투명성의 실현을 위한 투자로 다른 여러 기업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소비자에게 '신뢰'라는 더할 수 없이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시대적 상황 : 1991년에는 '네슬레 환경 원칙(Nestle Policy on The Environment)'을 수립하고 모든 사업장에서 천연자원을 보존하고 낭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이를 바탕으로 네슬레는 생산량을 유지하면서도 지난해 물 소비량을 전년보다 8.8% 줄이고 에너지 소비량도 3.6% 절감하는 등 자원 수요를 꾸준히 줄일 수 있었다.
네슬레의 이러한 능동적인 사회적 역할의 실천은 다른 여러 기업들에게 귀감이 돼왔으며 소비자에게 '신뢰'라는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는 데에도 일조했다.
네슬레는 이 밖에도 공공재단을 설립해 전 세계의 영양 문제를 연구하고 있으며 긴급 구호 식품은 물론 보건 위생 교육에도 적극 힘쓰고 있다.
네슬레의 이러한 사회공헌, 신념, 환경에 대한 헌신 등은 고객들로 하여금 네슬레라는 회사가 정말로 고객의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깨끗한 회사라는 생각을 갖게 됐다. 고객들은 환경을 아끼기 위해서는 네슬레의 식품을 사용해야 한다는 신뢰를 갖고 있다.
대표적 브랜드 : 네스카페
9세기경 페르시아인 들은 카와(Qahwa)라는 음료를 즐겼다. 루이 14세도 이 음료와 비슷한 것을 맛보았는데,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오늘날 커피는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대표적인 기호식품이다. 이러한 커피시장의 주종은 분말커피인데, 이 부문에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브랜드라면 네스카페이다. 현재 네스카페 커피의 소비량을 초 단위로 계산하면 3,000컵 정도다.
제3장. 결 론.
네슬레의 주요 마케팅 전략을 살펴보면서 우리는 네슬레가 세계 최대 식품 회사로 성장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을 알 수 있었다.
네슬레는 고객을 중심으로 생각하여 다국적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빠른 현지화를 시켰다. 그리하여 러시아와 유럽의 네스카페 커피 맛이 틀리고 중국과 일본의 초콜릿 맛이 틀리다. 이와 같이 빠른 현지화를 갈 수 있었던 것은 현지 기업의 인수 합병을 통하여 더욱 빨리 고객에게 다가 갔다고 할 수 있다.
빠른 현지화와 더불어 친 환경적인 기업이라는 인식을 고객에게 알리게 되었다. 이와 같은 네슬레의 노력으로 네슬레의 브랜드 이미지는 누구나 인정하게 되는 그런 식품 회사가 된 것이다.
얼마 전 뉴스에 네슬레 제품이 유럽에서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 나오자마자 네슬레는 바로 리콜을 하였다. 이와 같은 모습은 소비자들에게 더욱 네슬레에 대한 신뢰를 쌓게 하는 것이다.
네슬레의 이러한 주요 마케팅 전략은 오늘날 네슬레를 세계 최대의 식품 회사로 만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3.18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1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