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삶에 활력을 찾고 하나의 작은 희망을 갖기 위해서라 생각한다. 또한 프로이트의 주장처럼 신의 존재를 심리적인 방어로만 간주하는 것도 단편적인 주장이라 생각한다. 마지막의 악의 문제에서 선성설을 예로 들어 비판하자면, 인간은 본래 선하였지만, 살아가면서 악하게 변할 수도 있다는 것으로 미루어 악의 문제로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 또한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상으로 신의 존재에 대한 논증을 들고 그에 대해 내 생각과 비판을 해보았다. 신의 존재에 대한 것은 오직 신만이 알 수 있는 것 같다. 살아가면서 신의 존재의 유무에 대한 것은 결코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생각한다. 자신이 신을 믿음으로써 삶에 활력이 되고, 마음의 안정을 되찾을 수 있다면 신이 실재로 존재하느냐 하는 것은 중요치 않다고 생각한다.
이상으로 신의 존재에 대한 논증을 들고 그에 대해 내 생각과 비판을 해보았다. 신의 존재에 대한 것은 오직 신만이 알 수 있는 것 같다. 살아가면서 신의 존재의 유무에 대한 것은 결코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생각한다. 자신이 신을 믿음으로써 삶에 활력이 되고, 마음의 안정을 되찾을 수 있다면 신이 실재로 존재하느냐 하는 것은 중요치 않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선험적 자아와 본능적 초월성
성경 해석의 신학
서양 근대 철학(데카르트)
1.안셀무스의 논증
신앙론의 다양성
[서양 근대 철학][철학]서양 근대 철학 개관(철학 각 분과의 과제, 경험주의와 합리주의, 주...
[서양철학론] 서양철학의 발전에 대해서
[하나님][하나님의 본질][하나님의 삼위일체][하나님과 틸리히의 신학][하나님과 신관]하나님...
르네 데카르트(Ren Descartes)
<디펜시오 크리티아누스>를 읽고
[종교]중세 스콜라신학에 관한 소고
르네 데카르트(Rene Descartes)
신비주의와 이성주의의 순환과 한계 -플로티노스와 칸트의 철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