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수민족의 전통복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소수민족의 전통복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역사와 문화적 배경

Ⅱ. 전통복식의 종류 및 특징
1. 강족
2. 짱족과 뚱족
3. 투자족
4. 티베트족

Ⅲ. 전통복식의 색상
1. 동북 . 내몽골 지구
(1) 어원커족
(2) 허저족
(3) 어른첸족
2. 서북 지구
(1) 회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2) 투족
(3) 유구족
(4) 위구르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3. 서남 지구
(1) 티베트족
(2) 이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3) 바이족
① 남자복식
② 여자복식
(4) 묘족
① 상서형
② 검동형
③ 검중남형
④ 천검전형
⑤ 해남형
(5) 부의족
4. 중남 . 동남 지구
(1) 짱족
(2) 요족

본문내용

부에서 착용하는 복식형태인데, 지리적 위치상 검동형과 천검전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여자는 우임인 상의와 중간 길이의 주름치마, 각반 등을 착용한다. 등에는 자수를 놓은 천을 두르며, 바틱. 십자수. 평수. 아플리케 등으로 장식한다. 여자의 머리형태는 지역에 따라서 다양하다. 머리띠를 사용하는 지역도 있고, 머릿수건이나 모자를 착용하기도 한다. 은장신구는 검동형보다 적은 편이다.
④ 천검전형
천검전형은 사천성. 귀주성. 운남성 등에서 착용한는 복식형태이다. 마직물을 많이 사용하고검동형에 비하여 색상이 밝은 것이 특징이다. 우림인 상의와 기하학 문양으로 화려하게 바틱을 한 주름치마를 입는다. 치마에는 붉은색. 노란색. 녹색 실 등으로 자수를 하며, 자수문양도 기하학 문양이 많다. 등에는 자수를 놓은 천을 두르고 각반을 한다. 머리에는 터번을 하거나 가발을 넣어서 풍성하게 형태를 만드는데, 은장신구는 거의 착용하지 않고 머리에는 장식용 나무빗을 꽂는다.
⑤ 해남형
해남형은 광동성 남부의 섬인 해남에서 착용하는 복식형태이다. 아열대기후 지역이므로, 계절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다. 여자는 깃이 없고 우임인 상의와 바틱으로 염색을 한 치마를 입는다. 치마에는 장식을 많이 하지 않으며, 허리띠를 하고 추울 때는 각반을 착용한다. 남자는 밴드칼라가 달린 연한 파란색 상의와 터번. 바지를 착용한다.
(5) 부의족
부의족은 귀주성 남부. 서부지역, 운남. 귀주성 고원지대에 주로 거주하며, 인구는 약 250만 명이다. 기원전2세기까지 역사가 거슬러 올라가는 민족으로 당 말엽에는 큰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 바틱을 잘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여자아이들은 어려서부터 염색을 배우기 시작한다. 흰색 면직물에 인디고로 염색하는데, 검푸른색에서 연한 파란색까지 다양하다.
여자는 우임인 삼과 치마. 바지를 입는다. 삼은 가장자리에 바틱과 자수로 장식한 선을 두르며, 앞치마를 착용하기도 한다. 미혼여성은 머리카락을 땋아서 사각형 머릿수건 아래로 말아 넣는데 결혼 후 7~8년이 지나면 머리카락을 머리 뒤로 높게 틀어 올리고, 약 30cm가 되는 대나무 틀을 댄 후 어두운 색의 머릿수건으로 싼다. 노년에는 터번을 한다.
남자는 맞깃 형태의 상의와 헐렁한 바지를 입는데 여기에 파란색 민무늬나 격자무늬 면직물로 터번을 두르고, 허리띠를 한다.
4. 중남 . 동남 지구
(1) 짱족
짱족은 광서성 짱족자치구에 주로 거주하며, 광동성. 귀주성. 운남성. 호남성 등에도 분포한다. 중국의 소수민족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으로 약 1.550만 명 정도이다. 다신교이며, 바위. 나무. 산. 새 등도 신앙의 대상으로 섬긴다. 짱족자치구는 아름다운 경치로 유명한 계림이 있는 지역이며, 기후는 온화하고 강수량이 풍부하다. 홀치기. 바틱. 협힐 등의 다양한 염색방법으로 아름다운 직물을 만들며, 섬세한 자수로도 유명하다.
인구가 많고 거주지여고 넓으므로, 지역에 딸서 복식의 형태도 다양하다. 초기에는 검은색이나 파란색 상의에 검은색 주름치마를 입었지만 근래에는 바지를 입는 경우가 많다. 치마와 바지의 밑단에는 자수선을 덧대서 장식한다. 상의는 앞중심이 트인 것과 우임인 것, 허리길이 정도인 짧은 것, 포처럼 길이가 긴 것 등이 있다. 성장을 할 때는 검은색 터번과 수놓은 신발을 신는다.
운남성의 문산 지방은 머리카락을 정수리에 올리고, 여러 가지 색의 술로 장식한 파란색 천을 두른다. 상의에는 밴드칼라를 달고 소맷부리는 좁게 하며, 앞중심과 밑단 등에는 은장식을 한다. 반면, 광서성 북부지역에서는 남색 삼 위에 흰색 상의를 덧입는다. 나이 또는 지역에 따라서 머릿수건의 재료나 착용방법이 다른데, 요즘에는 흰색나염천이나 자수를 놓은 머릿수건을 두르는 경우가 많다.
남자복식은 한족과 유사하나 천으로 만든 허리띠와 휴대용 칼을 착용하는 것이 다르다.
(2) 요족
요족은 광서성 짱족자치구에 주로 거주하며, 호남성. 운남성. 광동성. 귀주성 등에도 분포한다. 인구는 약 213만 명 정도이고 조상과 정령을 숭배하며 각 부족의 옷색을 기준으로 부족의 이름을 붙인 경우가 많다. 자수. 직조. 금속공예. 구슬공예 등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일반적으로 여자들은 짧은 상의, 치마, 바지, 자수를 놓은 허리띠, 각반 등을 착용하며, 남자들은 검푸른색 짧은 상의나 포, 다양한 길이의 바지, 터번, 각반 등을 착용한다.
광서성 남단의 백고요족은 남자들이 흰색 바지를 입는 것에서, 명칭이 유래 하였다. 길이는 무릎길이이며, 밑단에는 붉은색 직선이 다섯 줄 있다. 이것은 요족의 전설적인 왕의 요맹을 기념하는 의미이며, 피묻은 손바닥자국을 상징한다고 한다. 뒤에는 파란색 선을 두른 상의와 터번을 착용하고, 다리에는 천을 감는다. 여자는 바틱을 한 주름치마와 터번. 각반을 착용한다.
광서성 금수 지방의 화남요족은 복식이 화려하고 남색을 많이 사용하는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검은색 상의, 파란색. 녹색 바지 등의 가장자리에 화려한 색으로 자수를 하며, 정교한 목걸이를 착용한다. 머리에는 흰색에 자수와 구슬로 장식을 하고, 붉은색 술을 늘어뜨린 터번을 착용한다.
광서성 용승 지방의 미혼여자들은 붉은색 상의를 많이 입어서 홍요라고 한다. 상의에는 화려한 꽃자수를 하며, 아래에는 무릎길이의 흰색 주름치마를 입는다. 미혼여자와 출산하지 않은 기혼여자는 머릿수건을 착용하지만, 출산 후에는 착용하지 않는다.
광서성의 융수 지방에서는 색동소매가 달린 포를 많이 입으며, 금속으로 만든 틀을 머리 위에 올린 후 천을 덮고 술과 구슬로 장식한다. 광서성 하현 지방의 기혼여자는 십여 층으로 겹친 탑모양 모자를 착용한다.
광동성 연남의 팔배요족 여자는 파란색 선을 두른 검은색 상의와 검은색 치마, 붉은색 각반을 착용하는데, 미혼여자는 머리에 흰색 깃털을 장식하다. 중년부인은 대나무를 틀 위에 검은색. 흰색 천을 씌운 높은 모자를 착용한다. 남자는 긴 머리카락을 둥글게 말아 올리고, 붉은 천을 덮은 다음 꿩 깃털로 장식한다.
[ 참고문헌 ]
홍나영 외, 아시아 전통복식, 교문사, 2004.
황춘섭, 세계전통복식, 수학사, 2000.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3.22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