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사회교육 - 경제:돈의 사용에 대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경제교육에 대하여

Ⅱ. 돈
1. 돈에 대한 주제의 가치
2. 돈의 일생
3. 화폐의 본질 및 기능, 필요성
4. 화폐의 역사
5. 화폐의 종류

Ⅲ. 활동의 실제
1. 주제선정
2. 월간 교육 계획안
3. 주간 교육 계획안
4. 일일 교육 계획안
5. 활동 계획안

Ⅳ. 경제교육자료

Ⅴ. 결론

본문내용

2
(10)
돈의 발달 과정
돈의 편리한 점을 알고, 돈의 발달 과정과 종류 조사하기
돈의 올바른 사용 태도 갖기
교:81-82
탐:78-83
돈의 발달과정 조사
3
(11)
은행의 구실
온라인 통장 활용 사례 이야기하기
은행이 하는 일 조사하여 발표하기
교:83-86
탐:84-85
인터넷 활용 자료
4
(12)
금융 기관의 구실
가족들이 거래하는 금융 기관 발표하기
금융 기관의 종류에 따라 도표 만들기
교:87
탐:84-85
5
(13)
은행의 이용
은행에 예금할 경우 얻는 이로운 점 토의하기
목적에 따른 예금 방법 선택하기
교:88-92
탐:86-90
여러 가지 예금 통장
6
(14)
저축의 힘
은행 예금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토의하기
은행에 예금된 돈의 쓰임 정리하기
교:88-92
탐:87-90
VCR자료
7
(15)
더 공부해보기
화폐의 발달 모습 정리해 보기
금융 기관이 하는 일 이해하기
교:93
※ 관련 홈페이지
http://www.stampcoin.co.kr/coin/coan.htm 조선 화폐의 역사 등 전반적 사항
http://www.komsco.com/ 한국 조폐공사
* 그 외의 참고할만한 홈페이지
http://www.bok.or.kr/index.jsp
http://jbob.dothome.co.kr/home.htm
http://www.stamplove.co.kr/contents/history.html
http://www.komsco.com/currency/korea/history/main.htm
http://www.gnedu.net/
※ 한국은행 화폐 금융 박물관/한은갤러리 안내
1. 관람시간: 화~일요일 10:00~17:00
2. 휴관일: 월요일, 공휴일, 근로자의 날, 12월 29일~ 다음 해 1월 2일. 공휴일(설날과 추석 연휴 제외)이 토요일이나 일요일인 경우는 개관.
3. 입장료: 무료
4. 화폐금융박물관 문의: 02) 759-4881~2
※ 고대의 교환수단
약 2000년전 기자조선(箕子朝鮮) 흥평왕(興平王) 9년(B.C.957)의 자모전(字母錢) 사용에 관한 기록이 우리나라 화폐사상 최고 기록이다. 이외도 해동역사(海東繹史)에 따르면 B.C.169년경 마한(馬韓)의 동전(銅錢), 진한(辰韓) 철전(鐵錢), 동옥저(東沃沮)의 금은무문전(金銀無文錢)이 사용되었다고 하나 근대에 와서는 고증이 어렵다. 화폐이전의 교환매체로 유통된 것은 곡물(穀物), 포백(布帛), 피혁(皮革),농기구(農器具)등 생활필수품이 주종이고 차츰 인문(人文)이 발전됨에 따라 유통가치를 가진 화폐제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Ⅴ. 결론
경제교육은 이미 현대 사회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것이며, 조기부터의 바른 경제교육은 경제적 마인드나 태도, 소비 형태, 경제 윤리 등에 관한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일상생활과 관련된 면이 많으며, 실물교육이 가능한 경험과 흥미 중심의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욱 유아교육에서 갖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아동은 물론 교사 역시 큰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소재이므로, 즐겁고 유의미한 주제 진행이 가능하다. 다만 ‘돈’ 자체에 가지고 있는 편견이나 부정적 이미지는 부모나 기타 타인으로부터 동의와 인정을 받기 힘들게 하는 요인일 수 있다고 예상된다. 또한 돈이라는 소재를 순수하게 다루며, 여러 활동에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교사의 역량도 중시되는 주제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미 경제교육은 피할 수 없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한 국가의 국민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경제적인 본바탕 형성에 도움을 주어 장차 경쟁력 신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장점과 단점 모두를 고려해서 적절하게 적용한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미 현장에서도 경제에 관련된 교육적 시도를 많이 행하고 있으며, 상호 정보 공유와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 이 주제를 택할 때, 매우 흥미있고 활동을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았으나 직접 해보니 생각보다 제약이 많았으며, 무엇보다 사전 조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검토해 보는 과정에서 아동들이 우리의 생각만큼 경제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다소 어려웠다. 따라서 전체 계획이나 활동 선정시 “모두 알게 한다” 또는 “지식을 전달한다” 보다는 아동이 장기적으로 관심을 갖을 수 있는 흥미를 유발하는 시간을 만들어 보자고 결심하였다. 또한 한 가지 더 생각한 것은 정확히 그 근원과 배경을 따지자는 것이었다. 우리들 스스로도 이미 평소의 경제생활과 그에 대한 관념에 익숙해져 있어서 자칫 잘못된 지식을 근거도 없이 전달하게 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최대한 편견과 추측이 개입되지 않고, 순수하고 정제된 지식을 적합한 매체와 적용을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 생각되었다. 아동의 경제개념 이해에 필요한 인지적 발달 수준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으며, 수차례 시도 끝에 활동을 준비하게 되었다. 다소 일정과 내용이 과다하지 않은가 하는 우려가 있었으나, 이는 교사가 실제로 활동을 할 때,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경제 교육은 이제 인간이 사회에 적응하여 구성원으로서 제역할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되었다. 앞으로도 이에 대해 많은 연구와 성과 보고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지금부터의 작지만 근원적인 노력이 장차 우리가 몸담은 사회인 국가가 발전하며 스스로도 성장하고, 능력을 갖추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경제는 이제 필수다. 이를 아동의 발달수준에 맞추어 교육하고, 상급학교로 연결시켜 잘 이어져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실생활 중심으로 교육하여 이론적인 사장된 지식이 아니라 실제로 유용한 것이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 목 차
Ⅰ. 경제교육에 대하여
Ⅱ. 돈
1. 돈에 대한 주제의 가치
2. 돈의 일생
3. 화폐의 본질 및 기능, 필요성
4. 화폐의 역사
5. 화폐의 종류
Ⅲ. 활동의 실제
1. 주제선정
2. 활동 영역별 계획안
3. 월간 교육 계획안
4. 주간 교육 계획안
5. 일일 교육 계획안
6. 활동 계획안
Ⅳ. 경제교육자료
Ⅴ. 결론
  • 가격1,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3.24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