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DEX
Ⅰ. 서론
☉ 애니메이션에 대한 정의와 종류
Ⅱ. 본론
① 한국의 유명한 애니메이션
② 일본의 애니메이션
③ 일본 만화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④ 한국애니메이션의 문제점
Ⅲ. 결론
☉ 결론
* 조원들의 소감
Ⅰ. 서론
☉ 애니메이션에 대한 정의와 종류
Ⅱ. 본론
① 한국의 유명한 애니메이션
② 일본의 애니메이션
③ 일본 만화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④ 한국애니메이션의 문제점
Ⅲ. 결론
☉ 결론
* 조원들의 소감
본문내용
때 편안하게 수업에 참여하라는 그런 말씀에 정말 힘이 얻어서 열심히 해보겠다는 그런 다짐을 하게 되었다.
‘만화와 애니메이션’ 이라는 주제로 조사를 하면서 정말 즐기기만 했었던 그런 문화에 대해서 모두 알 수 는 없지만, 조금이나마 알게 되고 생각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해서 정말 의미가 있었던 것 같다. 만화와 애니메이션이라는 분야에 관한 대한 우리 세대 생각과 기존 세대들의 생각의 차이점이라든지, 관점을 생각하면서 이웃 나라 일본과 비교해 보기도 했다.
‘토토로’나 ‘피카츄’, ‘햄토리’ 등의 애니메이션은 이를 이용해서 캐릭터 상품이라던지 ‘토토로 하우스’와 같은 전 세계적인 프렌차이즈 카페를 확장해가고 있고, 그 나라의 산업이나 어린이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일본은 애니라는 분야에 대해 막대한 자본 투자와 국민적인 호응에 힘입어 캐릭터 분야라던지 그것을 이용해 하나의 거대 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고 있는데, 한국의 실정은 그렇지 못하다는 현실에 대해서 조사를 하면서 안타까웠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도 이러한 상황에 단순히 보고 즐기는 방관의 자세를 가질 것이 아니라, 국민적인 호응을 해주고 계속적인 발전을 했으면 좋겠다.
< 김 문수 >
만화와 애니메이션이라는 주제를 잡고 여기에 대해서 조사해 보니 나도 하나 느끼는 것이 있었다. 나도 솔직히 만화책을 보거나 애니메이션을 보면 대부분 일본의 것이다. 우리나라의 것들은 재미있는 것도 몇 개 없고 내용도 너무 진부하다. 그리고 일단 종류에서 상대가 안 되는 것 같다.
그리고 발표를 위해서 여러 조사를 하면서 우리나라가 일본에 비해 부진한 이유를 보니 다 이해가 가는 것들이었다. 보통 책을 보면 공부한다고 생각하고 만화책을 보면 논다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결국엔 같은 책을 읽는 것이 아닌가 싶다. 애니메이션을 볼 때도 그렇다. 영화를 볼 때와 애니메이션을 볼 때에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보면 만화를 보는 사람을 별로 좋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각인 것이다.
나도 우리나라의 만화나 애니메이션이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재미가 없다고 해서 싫은 것은 아니다. 그리고 여기에 대해서 조금이라고 조사해본 사람이라면 왜 부진한 지도 알 것이다. 우리나라의 만화나 애니메이션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을 먼저 바랄 것이 아니라 일단 여기에 대한 좋은 않은 선입견을 버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박 경 훈 >
여기에 대한 발표를 하기 위해 조사를 하기 전까지는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에 대해서 크게 관심을 가지지 못하였다. 하지만 발표 준비를 위해 여러 가지를 준비하면서 일본이나 미국의 애니메이션 문화가 많이 발달해 있는 데에 비해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하다는 사실에 놀라게 되었다. 그런 나 자신도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대한 시각은 그렇게 좋지 못했었고 이번을 개기로 다시 생각하기로 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이런 일본이나 미국처럼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으면 좋겠고 일본처럼 애니메이션에 따르는 캐릭터 산업, 애니메이션 노래 등도 발전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만화와 애니메이션’ 이라는 주제로 조사를 하면서 정말 즐기기만 했었던 그런 문화에 대해서 모두 알 수 는 없지만, 조금이나마 알게 되고 생각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해서 정말 의미가 있었던 것 같다. 만화와 애니메이션이라는 분야에 관한 대한 우리 세대 생각과 기존 세대들의 생각의 차이점이라든지, 관점을 생각하면서 이웃 나라 일본과 비교해 보기도 했다.
‘토토로’나 ‘피카츄’, ‘햄토리’ 등의 애니메이션은 이를 이용해서 캐릭터 상품이라던지 ‘토토로 하우스’와 같은 전 세계적인 프렌차이즈 카페를 확장해가고 있고, 그 나라의 산업이나 어린이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일본은 애니라는 분야에 대해 막대한 자본 투자와 국민적인 호응에 힘입어 캐릭터 분야라던지 그것을 이용해 하나의 거대 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고 있는데, 한국의 실정은 그렇지 못하다는 현실에 대해서 조사를 하면서 안타까웠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도 이러한 상황에 단순히 보고 즐기는 방관의 자세를 가질 것이 아니라, 국민적인 호응을 해주고 계속적인 발전을 했으면 좋겠다.
< 김 문수 >
만화와 애니메이션이라는 주제를 잡고 여기에 대해서 조사해 보니 나도 하나 느끼는 것이 있었다. 나도 솔직히 만화책을 보거나 애니메이션을 보면 대부분 일본의 것이다. 우리나라의 것들은 재미있는 것도 몇 개 없고 내용도 너무 진부하다. 그리고 일단 종류에서 상대가 안 되는 것 같다.
그리고 발표를 위해서 여러 조사를 하면서 우리나라가 일본에 비해 부진한 이유를 보니 다 이해가 가는 것들이었다. 보통 책을 보면 공부한다고 생각하고 만화책을 보면 논다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결국엔 같은 책을 읽는 것이 아닌가 싶다. 애니메이션을 볼 때도 그렇다. 영화를 볼 때와 애니메이션을 볼 때에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보면 만화를 보는 사람을 별로 좋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각인 것이다.
나도 우리나라의 만화나 애니메이션이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재미가 없다고 해서 싫은 것은 아니다. 그리고 여기에 대해서 조금이라고 조사해본 사람이라면 왜 부진한 지도 알 것이다. 우리나라의 만화나 애니메이션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을 먼저 바랄 것이 아니라 일단 여기에 대한 좋은 않은 선입견을 버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박 경 훈 >
여기에 대한 발표를 하기 위해 조사를 하기 전까지는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에 대해서 크게 관심을 가지지 못하였다. 하지만 발표 준비를 위해 여러 가지를 준비하면서 일본이나 미국의 애니메이션 문화가 많이 발달해 있는 데에 비해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하다는 사실에 놀라게 되었다. 그런 나 자신도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대한 시각은 그렇게 좋지 못했었고 이번을 개기로 다시 생각하기로 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이런 일본이나 미국처럼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으면 좋겠고 일본처럼 애니메이션에 따르는 캐릭터 산업, 애니메이션 노래 등도 발전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