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실험장치 및 준비물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및 고찰
5.1 실험결과
5.2 고찰
2. 실험원리
3. 실험장치 및 준비물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및 고찰
5.1 실험결과
5.2 고찰
본문내용
빼냈었다. 이때 잠시 온도가 낮아졌다 다시 물에 담그고 바로 기전력을 읽는 과정에서 실험자의 부주의로 인해 45°C의 기전력 값을 바로 읽지 못해 차이가난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직접적인 오차의 요인으로는 온도계를 읽는 실험자의 부주의가 꽤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온도계가 디지털 온도계였으면 바로 온도가 바뀌는 순간을 알 수 있어 그 순간의 기전력 변화를 바로 읽을 수 있지만 수은 온도계는 온도를 읽는데 있어서 실험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가므로 우리 조에서 한 것처럼 5°C마다 기전력을 읽는 경우 정확히 온도가 바뀌는 순간을 맞추지 못하여 온도의 오차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외의 실험오차 원인으로는 보온병 안에 넣은 얼음이 녹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측정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온병내의 온도가 약간 상승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험관 안의 열전대 연결선의 온도변화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시험관 안에 열용량을 크게 하기위한 실리콘을 넣은 것도 완전히 열을 막아주지는 못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세한 오차는 생기게 마련이지만 측정데이터를 많이 내고 오차를 줄이는 요인들을 생각하면서 실험을 하면 더욱 정확한 실험이 되었을 것이다.
또 다른 직접적인 오차의 요인으로는 온도계를 읽는 실험자의 부주의가 꽤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온도계가 디지털 온도계였으면 바로 온도가 바뀌는 순간을 알 수 있어 그 순간의 기전력 변화를 바로 읽을 수 있지만 수은 온도계는 온도를 읽는데 있어서 실험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가므로 우리 조에서 한 것처럼 5°C마다 기전력을 읽는 경우 정확히 온도가 바뀌는 순간을 맞추지 못하여 온도의 오차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외의 실험오차 원인으로는 보온병 안에 넣은 얼음이 녹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측정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온병내의 온도가 약간 상승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험관 안의 열전대 연결선의 온도변화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시험관 안에 열용량을 크게 하기위한 실리콘을 넣은 것도 완전히 열을 막아주지는 못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세한 오차는 생기게 마련이지만 측정데이터를 많이 내고 오차를 줄이는 요인들을 생각하면서 실험을 하면 더욱 정확한 실험이 되었을 것이다.
추천자료
[기계실험]발표용 온도센서 파워포인트
인화점 측정 및 태양열 복사에너지 측정 - 인화점 측정 실험, 태양열 복사 에너지 실험
실험보고서 - 고체시료의 녹는점 측정 [ 고체시료를 이용하여 녹는점을 측정하고 이론값과 비...
일반화학실험 - 화합물의 물리적 특성, 융점 측정용 모세관, 녹는점 측정
[거리측정, 적외선거리측정, 미소거리측정]거리측정과 적외선거리측정, 거리측정과 미소거리...
[질량측정, 부체 질량측정, 물체 질량측정, 기체 질량측정, 모래시계 질량측정, 감쇠진동 질...
[점도측정, 점도측정과 점도계, 점도측정과 점도실험, 점도측정과 아밀로그래프, 점도측정과 ...
[화학적 산소요구량]COD(화학적 산소요구량)측정과 COD(화학적 산소요구량)시험, GOD(글루코...
[측정, 라돈측정, 식물호흡량측정]측정과 라돈측정, 측정과 식물호흡량측정, 측정과 절대연대...
측정과 먼지농도측정, 측정과 비산먼지측정, 측정과 빌리루빈측정, 측정과 포름알데히드측정,...
[일반화학실험] 주머니 난로의 열량측정 : 화학반응에서 발열하거나 흡수되는 반응열의 측정...
화학공학 기초 실험 - 수은 온도계의 보정
[일반화학실험] 밀도 측정 : 전자저울과 눈금실린더를 이용하여 물질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
수소이온농도(pH), 온도(Tem.), 전기전도도(EC.), 탁도(Turb.)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