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2.간호진단
2.간호진단
본문내용
용하는 것이다. 영상은 비디오 화면 또는 telescope eyepiece를 통해 볼 수 있다. 내시경의 끝은 네 방향으로 움직여 광범위한 각도로 볼 수 있게 한다. 관찰하고자 하는 위장계의 부위에 따라 내시경을 직장 또는 구강으로 삽입할 수 있다.
내시경은 공기투입, 세척, 체액흡인과 특별한 기구의 통로 기능을 위해 생검 겸자, 세포검사를 위한 솔, 바늘, wire baskets, laser probe, electrocautery snares 등의 기구를 사용한다. 관찰 외에도 내시경은 병변의 생검 또는 세포검사, 이물질 또는 폴립의 제거, 내출혈의 조절과 협착된 부분을 확장시키는 기능이 있다.
♧ 심혈관 조형술(angiography)
- 영상 활동혈관조영술(빠르게 변화하는 필름 또는 명암도가 높은 형광투시 화면에의 영상)과 병행하여 조영제를 혈관내로 주입하여 (심장과 혈관의 윤곽을 파악하기 위해) 혈관분지를 통과하는 조영제의 통로를 기록하는 것이다.
관상동맥의 구조, 구조적 기형(페쇄, 결손, 누공형성)또는 비정상적인 심장판막 기능 파악에 유용하다.
심혈관 조영술의 형태
a. 선택된 심혈관 조영: 카테타를 통해 심방, 관상동맥 또는 대혈관 주의 어느 한 곳에 조영제를 직접 주사한다.
b. 대동맥 조영술: 대동맥의 관강과 대동맥에서 위로 분지하는 주요 동맥의 윤곽을 파악하기 위한 혈관 조영술이다.
c. 관상동맥 조영술(선택된 심혈관 조영술의 가장 흔한 형태): 관상동맥수술 또는 심근의 혈관재생술을 하기 전과 수술 후 이식조직의 개방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도구로서 사용된다.
d. 말초동맥 조영술: 사지동맥의 개존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다.
<간호>
a. 조영술을 하기 전 공복상태를 유지한다.-구토로 인한 폐 흡인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b. 조영술 후
-15분마다 4회정도 또는 그 이상,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활력징후가 안정될 때까지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천자 또는 정맥 절개부위의 출혈에 대해 검사한다.
-말초사지의 정상적인 피부색과 맥박을 검사한다.
-환자는 경한 두통이나 서혜부 또는 조영제가 투여된 부위에 따라 다른부위의 불편감을 호소 할 수 있다.
-침상안정과 특정한 수액을 투여한다.
결과
단위
정상범위
calcium
8.4
mg/dl
8.2~10.8
phosphours
2.9
mg/dl
성인 2.25~5.5
소아 4.0~7.0
glucose
89
mg/dl
70~110
creatinine
0.9
mg/dl
성인 0.6-1.2
소아 0.3-7.0
BUN
44
mg/dl
8.0~20.0
uric acid
4.9
mg/dl
3.0~7.0
cholesterol
139
mg/dl
130~230
protein
4.9
g/dl
6.5~8.2
albumin
3.0
g/dl
3.5~5.1
AST
17
iu/l
0~40
ALT
17
iu/l
0~40
alk.phosphatase
108
iu/l
65~220
billirubin.total
0.7
mg/이
0.2~1.1
(PT>
결과
단위
정상범위
P.T(%)
103.2
%
80~100
P.T(sec)
10.8
sec
10.1~13.1
P.T(INR)
0.98
이하
1.2
결과
단위
정상범위
aPTT
24.5
sec
25.0~35.5
결과
color
straw
tubitity
clear
RBC
0~1 / HPF
WBC
0~1 / HPF
Blood
- neg
bilirubin
- neg
urobilinogen
+ norm
ketones
- neg
albumin
- neg
nitrite
- neg
pH
5.0
SG
1.020
결과
단위
정상범위
WBC
9.85
ul
4.0~10.0
Lympo
25.4
%
42~75
Mono
5.5
%
20~50
EOSI
2.5
%
2~10
baso
0.6
%
0~5
RBC
2.87
ul
M :4.2~6.3
F :4.0~5.4
Hb
8.5
g/dl
M:13~17
F:12~16
Hct
25.7
%
M :39~52
F :36~48
PLT
204.0
ul
150~400
MCV
89.5
fi
M :80~95
F :81~100
MCH
29.6
pg
M :27~33
F :26~32
MCHC
33.1
g/dl
32~36
PDW
9.7
%
15.5~17.5
RDW
14.4
%
11.5~14.5
2.간호진단
<간호진단>
진단명Ⅰ
진단검사와 관련된 그 이후의 통증
과학적 근거
혈관조영술검사이후 경한 두통이나 서혜부 또는 조영제가 투여된 부위에 따라 다른 부위의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다.
주관적 근거
혈관조영술이후
‘어디 아프시거나 불편하신 곳 없으세요?’
여쭈어 봤더니 시술한 다리를 가르키시면서
‘다리가 저리고 가슴이 답답해.’
라고 말씀하시면서 얼굴을 찡그리셨다.
<간호계획>
진단명Ⅰ
진단검사와 관련된 그 이후의 통증
목표: ①대상자는 통증이 없고 편안하다고 말한다.
②통증조절 방법을 습득한다.
간호지시
기대결과
①점진적 이완요법을 시행하도록 한다.
②전환요법을 이용한다.
③피부자극요법을 시행한다.
④환자를 교육한다.
①환자가 16일 저녁 7시에 편안한 표정을 짓는다.
②환자가 16일 저녁 통증이 나아졌다고 이야기 한다.
<간호수행>
중 재 내 용
진단명Ⅰ
진단검사와 관련된 그 이후의 통증
① 환자가 서서히 복식호흡을 하도록 옆에서 도왔다(8/14)
(긴장을 풀게하고 배꼽 밑으로 숨을 들이 마시게 한 후에 잠시 멈추었다가 입으로 숨을 내뱉게 했다. 이것을 10회 이상 실시했다. )
② 할아버지 군대시절 인민군과 싸우던 이야기를 들어두고 피드백을 하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다.(8/15)
③ 통증부위와 상과없는 팔을 주물러드렸다.(8/15)
④ 할아버지와 함께한 것들을 스스로 하도록, 또 왜 해야하는지 설명했다.(8/16)
<간호평가>
평 가 내 용
진단명Ⅰ
진단검사와 관련된 그 이후의 통증
① 저녁 8시에 환자를 찾아갔을 때 보다 편안한 얼굴이였다.(8/16)
② 환자가 통증이 나아졌다고 이야기 했다.(8/16)
③ 환자 스스로 복식호흡을 할 수 있다.(8/16)
내시경은 공기투입, 세척, 체액흡인과 특별한 기구의 통로 기능을 위해 생검 겸자, 세포검사를 위한 솔, 바늘, wire baskets, laser probe, electrocautery snares 등의 기구를 사용한다. 관찰 외에도 내시경은 병변의 생검 또는 세포검사, 이물질 또는 폴립의 제거, 내출혈의 조절과 협착된 부분을 확장시키는 기능이 있다.
♧ 심혈관 조형술(angiography)
- 영상 활동혈관조영술(빠르게 변화하는 필름 또는 명암도가 높은 형광투시 화면에의 영상)과 병행하여 조영제를 혈관내로 주입하여 (심장과 혈관의 윤곽을 파악하기 위해) 혈관분지를 통과하는 조영제의 통로를 기록하는 것이다.
관상동맥의 구조, 구조적 기형(페쇄, 결손, 누공형성)또는 비정상적인 심장판막 기능 파악에 유용하다.
심혈관 조영술의 형태
a. 선택된 심혈관 조영: 카테타를 통해 심방, 관상동맥 또는 대혈관 주의 어느 한 곳에 조영제를 직접 주사한다.
b. 대동맥 조영술: 대동맥의 관강과 대동맥에서 위로 분지하는 주요 동맥의 윤곽을 파악하기 위한 혈관 조영술이다.
c. 관상동맥 조영술(선택된 심혈관 조영술의 가장 흔한 형태): 관상동맥수술 또는 심근의 혈관재생술을 하기 전과 수술 후 이식조직의 개방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도구로서 사용된다.
d. 말초동맥 조영술: 사지동맥의 개존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다.
<간호>
a. 조영술을 하기 전 공복상태를 유지한다.-구토로 인한 폐 흡인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b. 조영술 후
-15분마다 4회정도 또는 그 이상,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활력징후가 안정될 때까지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천자 또는 정맥 절개부위의 출혈에 대해 검사한다.
-말초사지의 정상적인 피부색과 맥박을 검사한다.
-환자는 경한 두통이나 서혜부 또는 조영제가 투여된 부위에 따라 다른부위의 불편감을 호소 할 수 있다.
-침상안정과 특정한 수액을 투여한다.
결과
단위
정상범위
calcium
8.4
mg/dl
8.2~10.8
phosphours
2.9
mg/dl
성인 2.25~5.5
소아 4.0~7.0
glucose
89
mg/dl
70~110
creatinine
0.9
mg/dl
성인 0.6-1.2
소아 0.3-7.0
BUN
44
mg/dl
8.0~20.0
uric acid
4.9
mg/dl
3.0~7.0
cholesterol
139
mg/dl
130~230
protein
4.9
g/dl
6.5~8.2
albumin
3.0
g/dl
3.5~5.1
AST
17
iu/l
0~40
ALT
17
iu/l
0~40
alk.phosphatase
108
iu/l
65~220
billirubin.total
0.7
mg/이
0.2~1.1
(PT>
결과
단위
정상범위
P.T(%)
103.2
%
80~100
P.T(sec)
10.8
sec
10.1~13.1
P.T(INR)
0.98
이하
1.2
결과
단위
정상범위
aPTT
24.5
sec
25.0~35.5
결과
color
straw
tubitity
clear
RBC
0~1 / HPF
WBC
0~1 / HPF
Blood
- neg
bilirubin
- neg
urobilinogen
+ norm
ketones
- neg
albumin
- neg
nitrite
- neg
pH
5.0
SG
1.020
결과
단위
정상범위
WBC
9.85
ul
4.0~10.0
Lympo
25.4
%
42~75
Mono
5.5
%
20~50
EOSI
2.5
%
2~10
baso
0.6
%
0~5
RBC
2.87
ul
M :4.2~6.3
F :4.0~5.4
Hb
8.5
g/dl
M:13~17
F:12~16
Hct
25.7
%
M :39~52
F :36~48
PLT
204.0
ul
150~400
MCV
89.5
fi
M :80~95
F :81~100
MCH
29.6
pg
M :27~33
F :26~32
MCHC
33.1
g/dl
32~36
PDW
9.7
%
15.5~17.5
RDW
14.4
%
11.5~14.5
2.간호진단
<간호진단>
진단명Ⅰ
진단검사와 관련된 그 이후의 통증
과학적 근거
혈관조영술검사이후 경한 두통이나 서혜부 또는 조영제가 투여된 부위에 따라 다른 부위의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다.
주관적 근거
혈관조영술이후
‘어디 아프시거나 불편하신 곳 없으세요?’
여쭈어 봤더니 시술한 다리를 가르키시면서
‘다리가 저리고 가슴이 답답해.’
라고 말씀하시면서 얼굴을 찡그리셨다.
<간호계획>
진단명Ⅰ
진단검사와 관련된 그 이후의 통증
목표: ①대상자는 통증이 없고 편안하다고 말한다.
②통증조절 방법을 습득한다.
간호지시
기대결과
①점진적 이완요법을 시행하도록 한다.
②전환요법을 이용한다.
③피부자극요법을 시행한다.
④환자를 교육한다.
①환자가 16일 저녁 7시에 편안한 표정을 짓는다.
②환자가 16일 저녁 통증이 나아졌다고 이야기 한다.
<간호수행>
중 재 내 용
진단명Ⅰ
진단검사와 관련된 그 이후의 통증
① 환자가 서서히 복식호흡을 하도록 옆에서 도왔다(8/14)
(긴장을 풀게하고 배꼽 밑으로 숨을 들이 마시게 한 후에 잠시 멈추었다가 입으로 숨을 내뱉게 했다. 이것을 10회 이상 실시했다. )
② 할아버지 군대시절 인민군과 싸우던 이야기를 들어두고 피드백을 하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다.(8/15)
③ 통증부위와 상과없는 팔을 주물러드렸다.(8/15)
④ 할아버지와 함께한 것들을 스스로 하도록, 또 왜 해야하는지 설명했다.(8/16)
<간호평가>
평 가 내 용
진단명Ⅰ
진단검사와 관련된 그 이후의 통증
① 저녁 8시에 환자를 찾아갔을 때 보다 편안한 얼굴이였다.(8/16)
② 환자가 통증이 나아졌다고 이야기 했다.(8/16)
③ 환자 스스로 복식호흡을 할 수 있다.(8/16)
추천자료
위암환자 간호과정
위암환자 케이스 스터디 (외과성인실습)
[간호][간호사례][가와사키병 간호 사례][위암 간호 사례][실어증환자 간호][수혈 간호][뇌수...
[척추협착증 Spinal Stenosis] 간호과정, Case Study입니다.
상완골절 대상자 간호과정
분만 간호과정
[간호학 case study]중환자실ICU 상부위장관출혈(UGI bleeding)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ICH환자, 뇌내출혈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입니다.
폐렴 간호과정 case study -Pneumonia-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유방암에 대한 연구 필요성과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간호과정-소아과 (쯔쯔가무시병)
소화기계 (급성 대장염) case study 간호과정 간호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