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케이스스터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렴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2.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련된 불안
4) 복합적 요인(수면 장소 변화,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기침, 침습적 기구)과 관련된 수면패턴방해
5) 신체의 침습적 처치 및 기구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6) 호흡기계의 변화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7)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8)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자가 건강관리
간호진단 2) 복합적 요인(불안정적인 침습적 기구, 이동시 동행인 없음, 낙상의 과거력, 시력저하 등)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낙상위험성 : 신체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낙상의 우려가 있는 상태
사정
주관적 자료 :
“계속 침대에 있다가 화장실가거나 할 때 기구들 주렁주렁 달고 가니까 넘어질까봐 걱정이다.” - 환자, 보호자
“요게(chest bottle) 계속 떨어지려고 하니까 이거 떨어지는지 안떨어지는지 보느라 신경쓰여 죽겠다.” - 환자, 보호자
“늙어서 그런가, 눈 때문에 그런가 잘 보이지도 않아.” - 환자
객관적 자료 : 나이가 75세, 낙상 과거력 있음, 낙상위험점수 5점, 당뇨병성 망막병증, chest tube와 infusion pump로 침상에서 내려올 때 거동이 불편한 것을 관찰함, 보호자없는 시간이 많은 것을 관찰함, 이동시 폴대의 chest bottle이 불안정적임.
목표
장기목표 : 2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에 대한 걱정이 없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대상자의 chest bottle은 1일 이내에 대상자가 이동 시에 안정적으로 보인다.
대상자의 보호자가 2일 이내에 간호사의 병실 방문 5번 중 3번 이상 환자와 함께 있는 모습이 관찰된다.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1. 보호자에게 낙상위험성을 설명한다.
2. 보호자에게 환자를 혼자 두지 않도록 교육한다.
3.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한다.
4. 낙상주의 스티커를 손목명찰에 부착한다.
5. 환자에게 이동 시 보호자와 항상 함께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6. chest bottle을 폴대에 단단히 고정한다.
1. 위험성을 설명하여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3, 4. 주위에 두고, 수시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인지할 수 있다.
5. 보호자가 함께 있기 때문에 낙상의 원인이 제거된다.
6. 이동 시 심리적 및 신체적 장애물이 제거된다.
1. 보호자들에게 낙성위험사정도구를 이용해서 구체적인 이유를 알려주면서 낙상의 위험성을 설명해주었다.
2. 보호자들에게 환자와 되도록 함께 있어 낙상에 대하여 주의깊게 관찰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3. 낙상주의 표지판을 폴대와 침대 머리 맡에 부착하였다.
4. 낙상주의 스티커를 손목명찰에 부착하였다.
5. 환자에게 본인이 낙상 위험성이 있으니 이동 시에는 보호자와 항상 동행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교육하였다.
6. chest bottle 걸이를 폴대의 바퀴부분으로 지지하고, 폴대에 반창고로 부착하였다.
평가
장기목표에 대한 평가 : 2주 후 대상자는 낙상에 대한 걱정이 없어졌다고 말하였다.
단기목표
대상자의 chest bottle은 1일 후에 대상자가 이동 시에 안정적으로 보인다.
대상자의 보호자가 2일 이내에 간호사의 병실 방문을 5번 하였을 때, 4번 환자와 옆에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3) 간호과정
간호진단 4) 복합적 요인(수면 장소 변화,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기침, 침습적 기구)과 관련된 수면패턴방해
수면패턴방해 :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수면의 양과 질의 한정적 방해
사정
주관적 자료 :
“난 원래 잠자리 바뀌는 거에 예민해.” - 환자
“자리가 복도랑 화장실 쪽이라 밤에 계속 사람들이 왔다갔다 거리니까 신경쓰여.” - 환자
“숨차고, 가슴 답답하고, 기침이 자꾸만 나와서 제대로 잠을 못 자겠어.” - 환자
“밤에 제대로 잠을 못자니까 낮에 가끔씩 쪽잠 자게 돼.” - 환자
“숨이 차서 그런지, 주사랑 폐에 피 빼는 이거 때문인지 밤에 계속 뒤척거리고 잘 못자는 것 같아요.” - 보호자
객관적 자료 : SaO2 92.8%, 94.8%, SpO2 92~95% checked, O2 nasal cannula 사용하는 것 관찰함, 기침하는 것 관찰함, 호흡 시 어깨 근육을 사용하는 것을 관찰함, rounding 시 수면 후에도 피곤한 모습 보임, 낮 시간에 3~5회 정도 낮잠을 청함, 자리가 화장실 옆이면서 문과 가까운 곳임.
목표
장기 목표 :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잠자는 것에 불편함이 줄어들었다고 말한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1주일 내에 2회 이상 낮잠을 청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1주일 내에 밤수면 중 3회 이상 깨지 않는다.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1. 호흡곤란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침상을 수면에 도움이 되는 환경으로 바꿀 수 있도록 교육한다.
3. 대상자의 침상을 수면에 도움이 되는 환경으로 바꾼다.
4. 호흡곤란 완화를 위한 치료 이행을 교육한다.
5. 호흡곤란 완화를 위한 방법을 교육한다.
1. 호흡곤란 양상, 정도에 따라 더욱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다.
2. 낯선 환경을 익숙하게 바꾸어 주면 심리적으로 도움이 된다.
3. 대상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줄일 수 있다.
4, 5. 수면패턴방해의 주원인을 완화한다.
1. 매 duty 당 3회 이상 호흡곤란을 사정하고, notify하여 적절한 중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보호자에게 집에서 사용하는 베개나 이불을 이용하거나 과거에 수면에 도움이 되었던 환경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3. 대상자의 침상을 인기척이 적게 느껴지는 창문자리로 옮길 수 있도록 하였다.
4. 수면시간 외에 호흡곤란을 완화 시키는 약물복용, 흡입치료, O2 inhalation을 잘 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5. 심호흡과 기침이 효과적이라고 교육하고 시범을 보였고 제대로 수행하는 지 확인하였다.
평가
장기 목표 : 대상자는 2주 후에 수면하는 것이 비교적 편안해졌다고 말하였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1주일 후 낮잠을 하루 2회 이상 자지 않았다.
대상자는 1주일 후 밤수면 중 2회 이상 깨지 않았다.
Ⅲ.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 전시자 외 / 현문사 / 2019
성인간호학 Ⅰ / 신경림 외 / 현문사 / 2020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 최정신 편역 / 현문사
  • 가격1,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25.06.06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3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