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전략]크리스피 크림 도넛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전략]크리스피 크림 도넛 마케팅전략 성공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기 업 소 개 】
▶ 기 업 소 개 ▶ 제 품 소 개

【 환 경 분 석 】
▶ 내부환경분석
▶ 외부환경분석
▶ 경쟁사분석 ▷ DUNKIN DONUTS
⇒ 4 P 분석 - Product - Promotion - Place - Price

【 마케팅전략 분석 】
▶ S W O T
▷ Strength (강점) ▷ Weakness (약점)
▷ Opportunity (기회) ▷ Threat (위협)
▶ S T P 분석
▷ Segmentation(세분화)
▷ Targeting(타겟 선정)
▷ Positioning(위치화)
▶ 4 P 분석
▷ Product ▷ Promotion ▷ Place ▷ Price
▶ BCG 모델

【 결론 및 제언 】
【 Interview 】
【 참고자료 및 관련 홈페이지 링크 】

본문내용

것은 이정도입니다.
질문 3.크리스피의 주 경쟁상대는 무엇이며 이에 대한 대응은 어떤 방식으로 하고 계신지요?
▷ 던킨도넛을 염두에 두신 것 같은데, 던킨도넛에 대해서는 본사가 현재 경쟁상대로 인식하지 않고 있습니다. 메뉴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원가나 매출 규모등 면에서 경쟁할 수가 없어요. 만약에 크리스피 크림의 지점이 많이 늘어날 경우에는 경쟁상대가 될 수도 있겠죠. 그런데 우리 업체는 맛집형식(입소문 형식을 말함)으로 고객층을 확보하기 때문에 고객점유에 대한 경쟁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질문 4. 사회적으로 웰빙 열풍이 지속되는 가운데서 귀사가 대응하는 전략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요?
▷ 국내 크리스피 크림은 미국 본사 규정에 맞는 동일 수준의 제품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특별한 전략, 대책을 간구할 수가 없는 형편입니다. 그치만 근본적으로 식사개념이 아닌 스낵개념의 포지셔닝 자체는 바뀌지 않을 예정이구요, 또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단순히 제품개념으로 도넛만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스타벅스와 같이 브랜드를 소비하는 형태의 전략을 추구하는 전략은 지속할 겁니다. 그런데, 웰빙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 기업이 진출에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도넛에 대한 문화나 개념이 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는데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넛 자체가 튀긴 케익이라는 뜻인데, 도넛을 굽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고객이 있다든지 하는 개념부족에서 나온 현상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요.
질문 5 롯데 라는 대기업이라면 많은 점포를 동시 개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직까지 점포수가 많지 않다. 이것도 마케팅의 일종인가요?
▷ 점포가 많아지면 희소성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이것이 큰 이유는 아닙니다. 크리스피 크림은 한군데 오픈하는데만도 기초 투자비가 너무 많이 들고, 노하우나 경험이 부족하죠, 또 아직 초기단계이고 현실적으로 좋은 상권의 확보가 어려운 것도 그 이유에요.
질문 6. 크리스피 크림에게는 가장 큰 경쟁업체로 여겨지는 던킨도너츠가 있다. 아직 점포 수는 미미하지만 빠른 속도로 추격하고 있는데 신촌점만이 따로 추진하고 계신 마케팅 방법이 있으신지요?
▷ 저희가 본사와 구별되어 따로 추진하는 마케팅 방법은 특별한 건 없고, 제품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내실에 충실하고 있습니다. 친절한 손님 접대나 제품구매를 위한 대기줄 관리 등이 그런 일환들인데요, 할인 티켓이나 온라인을 통한 행사 티켓 배포와 같은 간단한 오픈 행사등도 같이 겸하고 있습니다.
질문 7. 신촌 점의 경우, 한 달 매출이 3~4억에 이른다고 한다. 그런데 성장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책은 있나? 또한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느끼는 음료분야는 개선, 발전 계획을 하고 있는 것인지? 크리스피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음료부문과 인테리어 부문의 변화가 필요할 듯 한데?
▷ 현재 국내 상황자체가 전체적으로는 음식문화의 패턴이 바뀌며 패스트푸드 계열이 급성장을 거듭하고 있어요. 그치만 최근 웰빙문화의 보편화로 그 성장이 일시적으로 주춤하고 있는 상태에요. 스타벅스의 경우도 점포를 늘이며 처음부터 고성장을 하였으나 현재는 성장이 멈추었고, 제과점의 경우에만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죠. 요즘엔 특히 믹스 앤 베이커리와 같은 형태의 점포가 성장하는 추세에요.
그리고 우리 업체는 도넛과 음료부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메뉴의 단순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 내의 도넛 메뉴는 30여 가지나 되지만 국내는 신제품 개발 쪽은 아직 논의된 사항이 없고 이것 또한 미국 본사와의 협의 하에서만 가능한 실정입니다. 음료는 아직 런칭 만 1년도 채 되지 않아 전문성과 노하우가 많이 부족한 상태죠.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전문점에 비해 음료의 품질이 떨어지는 건 사실이에요. 일부 음료는 계열사(롯데)의 음료 제품을 사용하고 있고, 비교적 비싼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크리스피 크림의 국내 진출시 인테리어는 한국인의 기호에 맞추는 local marketing
에 입각해서 디자인했습니다. 저희 신촌점의 경우는 최대한 미국식으로 꾸미고, 분당점과 같은 경우는 바닥을 대리석으로 까는 등 다소 고급스러운 매장 분위기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질문 8. 크리스피 크림 도넛만의 강점과 또한 가장 위협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지?
▷ 크리스피 크림의 강점은 제품과 시스템 측면이 되겠죠. 기본적으로 도넛과 설탕의 유통기한은 없기 때문에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위협으로는 웰빙바람과 같은 음식문화계의 바람에 따른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매출 감소 또는 날씨 요인이 될 수 있어요. 따듯한 계절에는 판매가 부진하고 또 폭우 시에는 테이크 아웃이 급감하게 되죠.
질문 9. 크리스피 도넛의 지점 형태 및 비용?
▷ 미국 같은 경우는 드라이브 스토어와 현 매장과 같은 일반 매장 형태가 50:50으로 공존하고 있어요. 국내에서 드라이브 스토어는 공간의 제약 상 힘들고, 지방라인에서는 고려 중에 있습니다. 이후에 강남역, 코엑스몰과 같은 인구 밀집지역에 점포를 개설하려고 노력중이지만 조건과 손익분기점 등의 문제로 쉽지만은 않아요. 또 크리스피 크림은 점포 오픈 시에 초기비용이 많이 들잖아요. 도넛 극장 내 기계 가격부터가 7~8억 하는 데다가 총 기초설비만 10억 이상이 들기 때문에 이런 고비용이 드는 점포를 개설하기가 어려운거죠.
- 2005.11 월 4일 크리스피 신촌점에서 --
어렵게 느껴졌던 인터뷰는 맛있는 도넛과 고소한 커피 속에서 시종일관 유쾌한 분위기로 계속 되었습니다. 오히려 준비해간 질문보다 , 더 많은 것을 알려주시고 , 적극적으로 인터뷰에 응해주신 신촌점 부점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참고자료 및 관련 홈페이지 링크 】
크리스피 크림 도넛 홈페이지 http://www.krispykreme.com/
던킨 도넛 홈페이지 http://www.dunkindonuts.co.kr/
* 매일 경제, MARKETING MANAGEMENT (교재) , 중앙일보, 조선일보
* 이기정님의 홈페이지 http://myhome.naver.com/donuts77/ 등 다수

키워드

경영,   경제,   사회,   행정,   도넛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6.04.08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3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